$\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심층처분 부지조사를 위한 암반공학적 요소: 국내외 현황 및 사례 조사
Rock Mechanical Aspects in Site Characterization for HLW Geological Disposal: Current Status and Case Studies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30 no.2, 2020년, pp.136 - 148  

최승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방사성폐기물지층처분연구단) ,  김유홍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방사성폐기물지층처분연구단) ,  김은경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방사성폐기물지층처분연구단) ,  천대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방사성폐기물지층처분연구단)

초록

우리나라는 1978년부터 원자력발전소를 운영해왔으며 그에 따른 고준위방사성폐기물 발생이 누적되고 있다. 이를 안전하게 처분하기 위한 영구 처분시설이 시급한 실정이나 처분 부지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광범위하고 정밀한 부지조사가 요구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친 조사가 선행되어야한다. 이러한 부지조사는 단계별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과정에서 다학제적 평가가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부지조사 과정에서 요구되는 암반공학적 요소를 중점으로 사례조사를 수행하였다. 단계별로 고려되는 암반공학적 평가요소와 그 적용 사례를 정리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수행된 해외 연구 사례를 조사하였다. 동시에 국내 연구현황을 정리하였고 부지조사와 관련된 향후 연구 계획을 간략히 보고하였다. 향후 연구를 통해 부지조사 시 참고할 수 있는 기반자료를 생산하고자 하며 본 논문에서 수집된 사례 역시 활용할 예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uclear power plants have been operated in Korea since 1978, thus the high-level radioactive waste (HLW) produced from the plants has been accumulated accordingly. Hence, it is urgent to secure a final repository for HLW disposal, however, siting process should be preceded, which usually takes long ...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기본조사 및 상세조사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 중 암반공학적 요소를 중심으로 조사를 수행했으며, 이를 통해 향후 연구 및 사업 진행 시 참고할 수 있는 기반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처분부지 선정과 관련하여 국내 연구현황을 정리하고 현재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수행 중인 부지조사 연구와 향후 계획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 부지조사와 관련된 연구사례를 조사하였다. 국내외적으로 통용되는 조사절차는 단계별로 진행되며 대개 3, 4단계를 거친다.
  •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고준위방사성폐기물처분 부지조사와 관련된 연구사례를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특히, 기본조사 및 상세조사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 중 암반공학적 요소를 중심으로 조사를 수행했으며, 이를 통해 향후 연구 및 사업 진행 시 참고할 수 있는 기반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고준위방사성폐기물처분 부지조사와 관련된 연구사례를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특히, 기본조사 및 상세조사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 중 암반공학적 요소를 중심으로 조사를 수행했으며, 이를 통해 향후 연구 및 사업 진행 시 참고할 수 있는 기반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처분부지 선정과 관련하여 국내 연구현황을 정리하고 현재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수행 중인 부지조사 연구와 향후 계획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결정질암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현재 전세계적으로 잠재적인 방폐장 처분 모암으로서 고려되는 암종은 결정질암, 퇴적암, 응회암, 암염 등이 있다.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처분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결정질암의 장점은 높은 강도, 낮은 투수성 및 화학 반응도 등이며 단점은 낮은 굴착성(excavatability), 복잡한 지질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반면에 셰일 등의 퇴적암은 낮은 투수성, 자체 밀폐 및 높은 흡착성능이 장점이며낮은 강도 및 그에 따른 역학적 안정성 저하가 단점이다.
방사성폐기물의 처분이란 무엇인가? 방사성폐기물의 처분이란 ‘방사성폐기물을 인간의 생활권으로부터 영구히 격리시키는 것’으로 정의되며, 고준위방사성폐기물,즉 사용후핵연료는 처분 시스템에 적치되어 최소 10만 년 이상의 기간 동안 격리되어야 한다. 현재까지 제안된 다양한 처분 개념 중,심층 암반에 구조물을 건설하여 지층에 처분하는 방식이 가장 현실적인 방안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자세하고 정밀한 부지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IAEA, 2011).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을 위한 부지 선정을 장시간에 걸쳐 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1978년부터 원자력발전소를 운영해왔으며 그에 따른 고준위방사성폐기물 발생이 누적되고 있다. 이를 안전하게 처분하기 위한 영구 처분시설이 시급한 실정이나 처분 부지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광범위하고 정밀한 부지조사가 요구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친 조사가 선행되어야한다. 이러한 부지조사는 단계별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과정에서 다학제적 평가가 이루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산업통상자원부, 2016,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계획(안). 

  2. 한국수력원자력, 2020.1.23., 2019년 4사분기 사용후핵연료 저장현황, 2020.03.23. 검색, http://www.khnp.co.kr/ 

  3. 한국원자력연구원, 2020.1.28., 사용후핵연료 보관 현황(2019년 4분기), 2020.03.23. 검색, http://www.kaeri.re.kr/ 

  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6, 사용후핵연료 처분연구관련 지질조사 방법론 개발. 

  5. Chae, B.G., Choi, J., Kihm Y.H., and Park, S.I., 2017, Geological structural parameters to be considered for siting of HLW repository: A review for case studies of foreign countrie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3(1), pp. 207-219. 

  6. Cho, W.J., Kim, J.S., Lee, C., Kwon, S., and Choi, J.W., 2012, In situ experiments on the performance of near-field for nuclear waste repository at KURT.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252, pp. 278-288. 

  7. IAEA, 1994, Siting of geological disposal facilities: A safety guide. Safety series No. 111-G-4 1, IAEA, Vienna, Austria. 

  8. IAEA, 2011, Geological disposal facilities for radioactive waste. Specific safety guide No. SSG-14, IAEA, Vienna, Austria. 

  9. Jeon, B., Choi, S., Lee, S., and Jeon, S., 2019, A conceptual study for deep borehole disposal of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in Korea. Tunnel & Underground Space, 29(2), pp. 75-88. 

  10. KIGAM, 2007, Construction of deep underground research laboratory and core technology development. GP2007-005-2007(1), KIGAM, Daejeon, Korea. 

  11. KIGAM, 2019, Development of nationwide geoenvironmental maps for HLW geological disposal. GP2017-009-2019, KIGAM, Daejeon, Korea. 

  12. Kwon, S., Lee, C., and Park, S.H., 2015, THM coupling analysis for Decovalex-2015 Task B2. Tunnel & Underground Space, 25(6), pp. 556-567. 

  13. Lee, C.S., Kwon, S.K., Choi, J.W., and Jeon, S,. 2011, An estimation of the excavation damaged zone at the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 Tunnel & Underground Space, 21(5), pp. 359-369. 

  14. NEA, 2001, The role of underground laboratories in nuclear waste disposal programmes. OECD. 

  15. Park, J.W., Guglielmi, Y., Graupner, B., Rutqvist, J., and Park, E.S., 2019, Numerical modelling of fault reactivation experiment at Mont Terri underground research laboratory in Switzerland: DECOVALEX-2019 TASK B (Step 2). Tunnel & Underground Space, 29(3), pp. 197-213. 

  16. Park, K.W., Kim, K.S., Koh, Y.K., Jo, Y., and Ji, S.H., 2017, Review of site characterization methodology for deep geological disposal of radioactive waste.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15(3), pp. 239-256. 

  17. Posiva, 2000, The site selection process for a spent fuel repository in Finland- Summary report. Posiva 2000-15, Posiva, Helsinki, Finland. 

  18. Posiva, 2006, Summary of rock mechanics work completed for Posiva before 2005. Posiva 2006-04, Posiva, Helsinki, Finland. 

  19. Posiva, 2008, Core drilling of deep drillhole OL-KR47 at Olkiluoto in Eurajoki 2007-2008. Working report 2008-13, Posiva, Helsinki, Finland. 

  20. Posiva, 2012, ONKALO rock mechanics model (RMM) version 2.0. Working report 2012-07, Posiva, Helsinki, Finland. 

  21. SKB, 1998, Parameters of importance to determine during geoscientific site investigation. TR-98-02, SKB, Stockholm, Sweden. 

  22. SKB, 2002, Swedish deep repository siting programme: Guide to the documentation of 25 years of geoscientific research (1976-2000). TR-02-18, SKB, Stockholm, Sweden. 

  23. Wang, J., Chen, L., Su, R., and Zhao, X., 2018, The Beishan underground research laboratory for geological disposal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in China: Planning, site selection, site characterization and in situ tests. 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10, pp. 411-43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