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천 유지관리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제방안전도맵 산정방법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Levee Safety Map for Determining the Priority of River Maintenan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2, 2017년, pp.17 - 25  

윤광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  김수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강우의 규모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홍수의 위험성이 증가하면서 제방 관리에 대한 고도화 및 재해 대응성 향상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국내의 제방관리는 피해발생 이후에 피해복구를 실시하는 수준에서 시행되고 있으므로 하천에 대한 선제적 관리차원에서 제방의 안전도를 미리 파악하고 관리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 제방의 침식 및 월류에 대한 안전도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이러한 안전도를 도상에 표시해 제방의 유지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제방 안전도맵을 제시하였다. 침식안전도는 호안의 형식별 내력과 외력의 비로 산정하였으며 월류안전도는 하천의 수위가 제방고와 일치할 때의 유량을 통수가능홍수량으로 산정하고 통수가능홍수량과 계획홍수량과의 비로 산정하였다. 제방안전도의 등급은 총 5단계로 구분하였으며 매우안전, 안전, 보통, 위험, 매우위험으로 나타냈다. 남강댐 하류부터 낙동강 합류부까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모든 제방과 하천측선에 대해 제방의 침식안전도와 월류안전도를 산정하고 GIS를 이용하여 하나의 도상에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제방안전도맵은 하천제방의 안전도를 직관적으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천의 유지관리계획 수립 시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예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투자우선순위 결정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wing to recent climate change, the scale of rainfall tends to increase gradually and the risk of flooding has increased. Therefore,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levee management and disaster response is increasing. Levee management in Korea is carried out at the level of damage recovery after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대상영역이 짧아 산정된 안전도를 하천 전체의 유지관리에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 전체에 대한 침식 및 월류에 대한 안전도를 산정하는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시범구간에 대해 제방의 안전도를 산정하고 지도상에 표출하여 제방안전도맵을 도출하고자 한다.
  • 침식으로 인한 제방의 피해는 홍수시 유수의 소류력에 의해 제방사면이 침식되어 제체를 구성하는 토입자가 이동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며 침투에 의한 제방의 피해는 홍수시의 하천수 혹은 강우가 제체 및 기초 지반에 침투하는 것에 의해서 간극 수압이 상승하여 제제의 강도가 저하하여 토입자가 파이핑 등에 의해 이동하여 발생하게 된다[10].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흐름과 관계된 제방의 침식과 월류에 의한 안전도를 산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하천흐름에 대한 제방의 안전도를 산정하기 위해 남강유역을 대상으로 하여 침식 및 월류에 대한 제방안전도를 산정하였다. 침식에 대한 안전도는 제방별 설치된 호안의 형식과 호안의 규모를 조사하였으며 월류에 대한 안전도 산정을 위해 남강하천기본계획[13]의 빈도별 수위-유량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수의 위험성이 증가하면서 무엇이 중요해 졌는가? 본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강우의 규모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홍수의 위험성이 증가하면서 제방 관리에 대한 고도화 및 재해 대응성 향상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국내의 제방관리는 피해발생 이후에 피해복구를 실시하는 수준에서 시행되고 있으므로 하천에 대한 선제적 관리차원에서 제방의 안전도를 미리 파악하고 관리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홍수의 위험성이 증가한 이유는?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강우의 규모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홍수의 위험성이 증가하면서 제방 관리에 대한 고도화 및 재해 대응성 향상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국내의 제방관리는 피해발생 이후에 피해복구를 실시하는 수준에서 시행되고 있으므로 하천에 대한 선제적 관리차원에서 제방의 안전도를 미리 파악하고 관리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제방의 침식안전도 와 등급 분류 결과는 어떤가?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산정된 제방의 침식안전도 와 등급 분류 결과는 좌안과 우안 각각 Table 4와 Table 5에 나타냈다. 매우안전(V.S) 10개소, 안전(S) 8개소, 보통(N) 41개소, 위험(D) 6개소, 매우위험(V.D)2개소로 나타났다. 총 68개의 제방 중 8개소(12%)가 위험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8개소 모두 호안의 형식이나 제원이 확인되지 않아 무호안으로 가정하여 안전도를 산정한 지점으로 설계적인 보완이나 보수보다는 현황파악이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Solomon(Ed.), "Climate change 2007-the physical science basis: Working group I contribution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PCC (vol. 4)",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2. USACE(U.S. Army Corps of Engineers). Program Levee, http://www.usace.army.mil/ 

  3. Deltares, DAM(Dike strength Analysis Module) https://deltares.nl/en/software/dam-dike-strength-analysismodule/ 

  4. J. R. Beck, "Streambank erosion hazard mapping: concepts, methodology and application on the Venoge River (Switzerland)", Doctoral dissertation,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2006. 

  5. K. S. Yoon, J. H. Cha, S. J. LEE and K. H. Kim, "Application of safety evaluation in leve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proceeding, pp. 309-312, 2003. 

  6. K. S. Yoon, "Levee failure type analysis and design methods",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7(5), pp. 50-60, 2004 

  7. K. K. Yu and N. J. Lee, "Inspection of levee Penetration safety using geophysical survey",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5(7), pp. 42-48, 2012. 

  8. J. H. Park, T. H. Kim and K. Y. Han, "Hazard Evaluation of Levee by Two-Dimensional Hydraulic Analysi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 18(1), pp. 45-57, 2016. DOI: https://doi.org/10.17663/JWR.2016.18.1.045 

  9. Y. J. Choung, "Development of a Levee Stability Assessment Technique Using Multispectral Orthoimages and LiDAR Data",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15(2), pp. 293-299, 2016. DOI: https://doi.org/10.9798/KOSHAM.2015.15.2.293 

  10. Ministry of construction Japanese Government, Design Guideline of River Levee, 2000. 

  11. C. L. Saucier, I. L. Howard and J. G. Tom, "Levee breach geometries and algorithms to simulate breach closure",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2009. 

  12. Jap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JICE) Dynamic Design of Revetments. Sankaido, 2007. 

  1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nasport (MOLIT), River Master Plan(Rivision) in the Nam River, 2013. 

  14. S. Y. Kim and K. S. Yoon, "Study on Applicability of River Revetment Design for consideration of Velocity Variation due to Meandering and Scour Effec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12) pp. 17-25,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2.17 

  1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nasport (MOLIT), Hydrological annual report in Korea (Discharge), 2014.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