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범부처 미세먼지 저감 로드맵 수립 기획보고서 – 범부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공백기술 확보 R&D 전략 기획에 관한 연구
Strategic Research Planning for PM reductio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연구책임자 이강웅
참여연구자 여민주 , 권성안 , 권호장 , 김득수 , 김순태 , 김영민 , 김용표 , 박덕신 , 송상석 , 송지현 , 이경용 , 장영기 , 정병걸 , 정용일 , 채여라 , 한영지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8-09
주관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등록번호 TRKO202200002210
DB 구축일자 2022-06-11

초록

Ⅳ. 연구결과
□ 미세먼지 R&D 현황 조사
- 미세먼지 관련 국가 R&D 지원은 미세먼지 대응 기술의 개념 및 기술 분류 체계를 적용할 경우 ’16년 315억원에서 ’18년 597억원*으로 약 2배 확대
* 연구과제 단위로 합산한 금액으로, 사전 기획 및 지정이 불가능한 Bottom-Up 과제 제외
- 2018년 기준 미세먼지 R&D 예산은 과기정통부 101.2억, 환경부 287.4억, 산자부 132.6억 수준
-’18년 기준, 총 8개 정부부처에서 미세먼지대응 R&D를 수행 중이며, 환경부⦁산업부⦁과기

Abstract

The PM2.5 and PM10 among air pollutants are known as the most imminent and common threats to public health in Korea. Despite of many reduction activities for PM and its precursors, the air quality in Korea has not been reached the planned goals, especially for PM2.5. In recognition of degrading air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요 약 문 ... 3
  • SUMMARY ... 18
  • CONTENTS ... 20
  • 목차 ... 23
  • 표목차 ... 26
  • 그림목차 ... 28
  • Ⅰ. 연구개요 ... 33
  •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33
  • 2. 연구 목표 및 주요 내용 ... 45
  • 2.1. 연구 목표 ... 45
  • 2.2. 연구 추진 방향 ... 45
  • 2.3. 연구 방법 ... 45
  • Ⅱ. 연구 동향 및 주요 이슈 ... 47
  • 1. 미세먼지 정의 ... 47
  • 1.1. 미세먼지 정의 ... 47
  • 1.2. 미세먼지 분류 ... 49
  • 2. 연구 동향 및 기술로드맵 사례 ... 54
  • 2.1. 국내외 연구동향 ... 54
  • 2.2. 국내 미세먼지 저감 기술로드맵 사례 ... 68
  • 3. 미세먼지 관련 미래 주요 문제 및 이슈 ... 78
  • 3.1. 여건 변화 ... 78
  • 3.2. SWOT 분석 ... 99
  • 3.3. 주요 연구 방향 ... 100
  • Ⅲ. 주요 분야별 미세먼지 관련 현황 분석 ... 102
  • 1. 현상규명 및 예측 분야 ... 102
  • 1.1. 총괄 ... 102
  • 1.2. 원인 규명 연구 ... 107
  • 1.3. 현상진단 및 측정 조사 ... 113
  • 1.4. 대기질 모델링 ... 124
  • 2. 미세먼지 배출저감 분야 ... 130
  • 2.1. 총괄 ... 130
  • 2.2. 고정오염원배출저감 ... 135
  • 2.3. 도로이동오염원 배출저감 ... 142
  • 2.4. 비도로 이동오염원 배출저감 ... 147
  • 2.5. 비산먼지저감 분야 ... 152
  • 3. 국민생활 보호 분야 ... 159
  • 3.1. 총괄 ... 159
  • 3.2. 건강영향평가 ... 166
  • 3.3. 미세먼지 노출저감 기술 ... 170
  • 3.4. 정책 및 정보서비스 ... 175
  • Ⅳ. 미세먼지 관련 투자 방향 ... 183
  • 1. 조기성과 창출(기술개발 경과 등) ... 183
  • 2. 성과연계(과제 간 유사중복, 성과연계 필요 분야 도출) ... 190
  • 3. 공백기술 발굴 ... 205
  • 3.1. 원인규명기술 중분야 ... 206
  • 3.2. 현상진단 및 측정기술 중분야 ... 211
  • 3.3. 대기질 모델링 중분야 ... 215
  • 3.4 고정오염원 배출저감 기술 중분야 ... 219
  • 3.5. 도로이동오염원 저감 기술 및 비도로이동오염원 배출저감 기술 중분야 ... 223
  • 3.6. 미세먼지 노출저감 기술 중분야 ... 227
  • 3.7. 건강영향평가기술 중분야 ... 231
  • 3.8. 정책 및 정보서비스 중분야 ... 234
  • Ⅴ. 추진 방향 달성을 위한 공백기술 또는 필요기술 ... 239
  • 1. 시급성, 중요성, 파급효과 별 우선순위 도출 ... 239
  • 2. 공백기술 1. 지역맞춤 미분류 배출원 규명 ... 240
  • 3. 공백기술 2. 화학적, 생물학적 지문을 이용한 동아시아 미세먼지 정밀 추적 및 노출평가 ... 242
  • 4. 공백기술 3. 저감 대책 수립을 위한 미세먼지 이차생성 규명 및 유해성평가 ... 244
  • 5. 공백기술 4. 다중 시공간 대기질 진단 및 예보모델 플랫폼 개발 ... 246
  • 6. 공백기술 5. 중소형 사업장 및 비도로 이동오염원 미세먼지 배출저감 방안 ... 247
  • 7. 공백기술 6. 도로변, 항구 등 우심지역에서 민감계층, 취약계층 미세먼지 노출저감 방안 연구 ... 249
  • 8. 공백기술 7.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의 건강영향평가 및 피해저감 방안 연구 ... 251
  • 9. 공백기술 8. 고농도 미세먼지 사전대응 능동관리형 노출저감 방안 ... 253
  • 10. 공백기술 9. 동북아 기후 및 대기오염 민간전문가 연구 협력체 ... 254
  • 11. 공백기술 10. 미세먼지 정책의 효과적인 집행 방안 및 소통방안 ... 257
  • 12. 과제별 예산규모 ... 259
  • Ⅵ. 공백 기술 확보를 위한 연차별 계획 ... 260
  • 1. 지역맞춤 미분류 배출원 규명 로드맵 ... 262
  • 2. 화학적, 생물학적 지문을 이용한 동아시아 미세먼지 정밀 추적 및 노출평가 ... 263
  • 3. 저감 대책 수립을 위한 미세먼지 이차생성 규명 및 유해성평가 ... 264
  • 4. 다중 시공간 대기질 진단 및 예보모델 플랫폼 개발 ... 265
  • 5. 중소형 사업장 및 비도로 이동오염원 미세먼지 배출저감 방안 ... 266
  • 6. 도로변 등 우심지역에서 민감계층, 취약계층 미세먼지 노출저감 방안 연구 ... 267
  • 7.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시 건강영향평가 및 피해저감을 위한 방안 연구 ... 268
  • 8. 미세먼지 노출저감 기술 방안 ... 269
  • 9. 동북아 기후 및 대기오염 민간전문가 연구협력체 ... 270
  • 10. 미세먼지 정책의 효과적인 집행 방안 및 소통방안 ... 271
  • 참고문헌 ... 272
  • 별첨1. 미세먼지 기술분야별 R&D PTR 현황 ... 276
  • 별첨2. 지역환경특성에 따른 미세먼지 오염원 규명 ... 301
  • 별첨3. 화학적, 생물학적 지문을 이용한 동아시아 미세먼지의 정밀추적 및 노출 평가 ... 307
  • 별첨4. 저감 대책 수립을 위한 미세먼지 이차생성 규명 및 유해성 평가 ... 316
  • 별첨5. 다중 시공간 대기질 진단 및 예보모델 플랫폼 개발 ... 324
  • 별첨6. 중소규모 대기배출원에 적용 가능한 저온촉매와 SCR 원천기술 개발 및 스마트 제어기술 현장적용 ... 327
  • 별첨7. 도로변 등 우심지역에서 민감계층, 취약계층 미세먼지 노출 저감 방안 연구 ... 335
  • 별첨8.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의 건강영향평가 및 피해저감 방안 연구 ... 343
  • 별첨9. 다중이용시설에서 인공지능을 이용한 미세먼지 농도 예측 및 최적제어 실증화 연구 ... 349
  • 별첨10. 동북아 기후 및 대기오염 민간전문 연구협력체 ... 357
  • 별첨11.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결정 및 소통 지원 시스템 개발 ... 366
  • 끝페이지 ... 374

표/그림 (169)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