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투입 및 산출 분해모형을 활용한 산학연 협력연구의 효율성 분석
An Efficiency Analysis of Industry-University-Public Research Institute Collaborative Research: Employing the Input-Output Itemization Mode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2, 2017년, pp.473 - 484  

김홍영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성장동력사업센터) ,  정선양 (건국대학교 기술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정부에서 '13~'15년에 지원한 정부연구개발사업중 산학연 협력연구 과제를 대상으로 협력유형을 주관기관별로 유형화하여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효율성 분석을 위해 6단계에 걸쳐 순수연구개발과제만을 분류하였으며, 투입과 산출변수를 다양한 조합의 투입과 산출변수를 분해 모형을 만들어 투입과 산출변수간의 효율성 차이점을 분석하기 위해 하여 산출지향 규모수익가변(VRS: Variable Return to Scale)의 DEA 모형으로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산출변수와 관련 있는 과학적, 기술적, 경제적 성과 모형의 효율성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계층적 군집분석으로 클러스터를 확인하고, 클러스터별 강점과 약점에 맞는 산학연 협력유형별 정부 연구개발예산의 투자 포트폴리오투자전략을 제시하였다. 효율성 분석결과 주관기관별 산학연 협력유형의 효율성은 각 모형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대기업과 출연연구기관이 상대적으로 효율적이고, 중견기업, 중소기업, 그리고 대학은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계층적 군집분석결과 3개 유형의 클러스터가 형성되었으며, 클러스터별로 논문, 특허, 기술료 사업화에서 강점과 약점이 있는 협력유형이 나타나서, 이에 대한 차별적인 투자전략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collaborative R&D projects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from 2013-2015. For this analysis, input and output variables of projects were considered, and a combination of those variables was itemized. The output-oriented variable return to scale (VRS) model extended from the DE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기존의 선행연구 중에 연구개발 (R&D)과 관련된 DEA 연구에서 DMU를 어떻게 선정하고 유형화 하였는지를 확인하고, 동 연구들이 유형에 따라 어떤 연구대상 및 투입-산출변수를 활용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3~2015년도에 정부연구 개발사업으로 수행한 과제를 산학연 협력유형별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투입(정부연구비, 민간연구비, 인건비비중) 및 산출변수(SCI논문, 특허, 기술료, 사업화)를 활용 하여, 비모수적 효율성 측정기법인 자료포락분석(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방법으로 각 협력유형별 효율성을 측정하고, 효율성 분석결과를 가지고 산학연 협력유형에 따른 투자 포트폴리오를 제시하고자 한다.
  • 특히, 많은 연구개발(R&D)과 관련된 선행연구 중에 본 연구와 관련있는 혼합유형 연구 위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4차 산업혁명의 특징은?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 2016) 에서 제시된 4차 산업혁명은 속도, 범위, 경제․사회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측면에서 이전 산업혁명과 달리 신기술․신산업이 융복합되어 신제품․서비스가 빠르게 창출되고, 제조업․서비스업의 융합화로 산업간 경계 파괴를 가속화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사회전반의 융합화 현상에서 국가경쟁력의 초석인 연구개발(R&D)에서도 다양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데, 융합연구의 활성화와 산학연 협력연구의 확대가 대표적인 예가 될 수 있다.
성공적인 국가혁신체제 구축을 위해 필요한 것은? 성공적인 국가혁신체제 구축을 위해서는 기업, 대학, 연구소 등 혁신주체들의 새로운 지식창출과 활용이 중요한 요소이며, 연구개발(R&D)에서는 혁신주체간의 협력인 산학연 협력이 국가경쟁력 제고에 직결될 만큼 중요한 사안[1]으로 연구개발활동에서는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혁신주체들의 협력이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Triple Helix모형[2]의 국가혁신체제가 형성되어야 국가 핵심역량(Core Competence)이 강화될 것이다.
정부지향형 효율성 모형에서 나타난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효율성 지수는? 정부지향형 효율성 모형에서는 대기업과 중견기업을 제외하고는 약간 상승하였지만, 민간지향형 효율성 모형과 지식집약형 효율성 모형은 전반적으로 효율성 지수가 많이 낮아졌다. 특히,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효율성 지수의 낙폭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과학적 성과기반 효율성 모형에서는 기업부문의 효율성 지수가 상대적으로 낮아졌으며, 특히, 중소기업은 매우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Y. Chung and K.D. Kim, "The New Approach to the Collaboration Among Academia, Industry, and Public Research Sector : Focussing on Building a Collaboration Research Center",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 16, no. 2, pp. 17-40, 2008. 

  2. H. Etzkowitz and L. Leydesdorff, "The Dynamics of Innovation: From National Systems and "Mode 2" to a Triple Helix of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Relations," Research policy, vol. 29, no. 2, pp. 109-123, 2000. DOI: https://doi.org/10.1016/S0048-7333(99)00055-4 

  3. H.W. Chesbrough, Open Innovation: The New Imperative for Creating and Profiting from Technology,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Boston, 2003. 

  4. W.M. Cohen and Levinthal D.A., "Absorptive Capacity: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nd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35, no. 1, pp. 128-152, 1990. DOI: https://doi.org/10.2307/2393553 

  5.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KISTEP (2016),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 of Korea 2015, Seoul: KISTEP, 2016. 

  6. H.Y Kim and S.Y. Chung, "The Efficiency Analysis by Collaboration Types of National R&D Programs : A Case of Pure National R&D Programs by Employing DEA," In Proceedings of the Annual Conference in Autumn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pp. 373-382, 2016. 

  7. H.J. Lee, "A Study on Analyzing The Efficiency of Defense R&D Projects: An Expanded DEA Approach,"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15. 

  8. J.H. Oh, "A Study on the Relative Efficiency of the Materials and Components Enterprises b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Graduate School of Kyungsung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11. 

  9. D.K. Go.S.H. Woo and.H.W. Kang, "A Study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Shipping and Logistics Companies using Data Environment Analysis,"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ol. 30, no. 2, pp. 93-112, 2014. 

  10. G. Callender, Efficiency and Management, Routledge, 2009. 

  11. M.H. Park, "The Analysis of Efficiency and Productivity," Korean Studies Information, pp. 52-192, 2008. 

  12. W.W. Cooper, L.M. Seiford and K. Tone, Data Envelopment Analysis: Theory, Methodology, and Applications, References and DEA-Solver Software, Kluwer Academic Publishers, Boston, 2000. 

  13. H.S. Park, "Measurement of R&D Efficiency in NT and BT Fields Using DEA: A Case of Basic Research Programs in Korea,"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14. 

  14. K.K. Ko, Theory of Efficiency Analysis :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Stochastic Frontier Approach, Kyungki: MoonWooSa, 2017. 

  15. M.J. Farrell, "The Measurement of Productive Efficiency,"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vol. 120, no. 3, pp. 253-290, 1957. DOI: https://doi.org/10.2307/2343100 

  16. A. Charnes, W.W. Cooper and E. Rhodes,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2, no. 6, pp. 429-444, 1978. DOI: https://doi.org/10.1016/0377-2217(78)90138-8 

  17. R.D. Banker, A. Charnes and W.W. Cooper,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vol. 30, no. 9, pp. 1078-1092, 1984. DOI: https://doi.org/10.1287/mnsc.30.9.1078 

  18. S.H. Kim, T.S. Choi and D.W. Lee, Efficiency Analysis: Theory and Applications, Seoul economics and management, 2007. 

  19. J.D. Lee and D.H. Oh, Theory of Efficiency Analysis: Data Envelopment Analysis, Seoul: Jiphil media, 2012. 

  20. Liu, J. S., Lu, L. Y., Lu, W. M. and Lin, B. J., "Data envelopment analysis 1978-2010: A citation-based literature survey", Omega, vol. 41, no. 1, pp. 3-15, 2013. DOI: https://doi.org/10.1016/j.omega.2010.12.006 

  21. J.H. Kim and S.B. Park, "The R&D Efficency Comparison Analysis by Technical Sectors and Research Participants of Research Institutions Selected by Government," Science & Technology Policy, vol. 146, no. 2, pp. 21-35, 2004. 

  22. S.C. Chang, "Returns to Scale in DEA Models for Performance Evaluations,"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vol. 78, no. 8, pp. 1389-1396, 2011. 

  23. S.H. Bae, J.H. Kim, J.S. Youn, S.K. Kang, K.M. Shin, S.J. Cho and K.K. Lee, "Measuring Efficiency of National R&D Programs within Nanotechnology Field Using DEA Model,"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 39, no. 2, pp. 64-71, 2016. DOI: https://doi.org/10.11627/jkise.2016.39.2.064 

  24. C. Lee and K. Cho, "Efficiency Analysis and Strategic Portfolio Model of National Health Technology R&D Program Using DEA: Focused on Translational Research,"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vol. 40, no. 2, pp. 172-183, 2014. DOI: https://doi.org/10.7232/JKIIE.2014.40.2.172 

  25. A.Y. So, J.W. You and D.R. Seo, "Analyzing Efficiency of National Convergence R&D Program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Convergence Research Review, vol. 1, no. 5, pp. 26-51, 2015. 

  26. S.H. Lee and H.Y. Lee, "Performance Evaluation of Collaborative Research i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ion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vol. 43, no. 3, pp. 154-163, 2017. DOI: https://doi.org/10.7232/JKIIE.2017.43.3.154 

  27. Y. Yu, X. Gu and Y. Chen, "Research on the Technology Transfer Efficiency Evaluation in Industry-University-Research Institution Collaborative Innovation and Its Affecting Factors Based on the Two-Stage DEA Model", In Proceedings of the T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nagement Science and Engineering Management, Springer Singapore, pp. 237-249, 2017. DOI: https://doi.org/10.1007/978-981-10-1837-4_21 

  28. Jenkins, L. and Anderson, M., "A multivariate statistical approach to reducing the number",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147, pp. 51-61, 2003. DOI: https://doi.org/10.1016/S0377-2217(02)00243-6 

  29. Serrano-Cinca, C., Fuertes-Calle'n, Y. and Mar-Molinero, C.,"Measuring DEA efficiency in internet companies", Decision Support Systems, vol. 38, pp. 557-573, 2005. DOI: https://doi.org/10.1016/j.dss.2003.08.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