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계열 학생들의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인 구취자각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oral malodor in public health student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7 no.6, 2017년, pp.1195 - 1206  

한여정 (광주여자대학교 치위생학과) ,  문상은 (광주여자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oral malodor awareness of public health students. Furthermore, this study aim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to contribute to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인 구취자각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구취 감소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하며 나아가 현재 구강질환 예방 및 위생업무를책임지고 있는 인력들에 대한 구취조절 및 예방교육 개발에 보다 효율적인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
  • 자신이 인식한 구취는 일상적인 삶과 대인관계에 손상을 유발할 뿐 아니라,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주관적으로 인식한 구취에관한 연구는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부 보건계열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인 구취자각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취의 원인은 무엇인가? 구취의 원인은 다양하고 복잡하지만 크게 나누어 전신적 원인, 심인적 원인 및 생리적 원인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신적 원인으로는 신장질환, 간질환, 당뇨, 호흡기장애, 탈수 등에 의하여 구취가 발생될 수 있으며, 생리적 원인으로는 공복, 기상, 월경, 흡연, 약물 섭취 시에도 구취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10].
구취란 무엇인가? 구취는 사회생활 및 정신건강에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몇몇 연구에 의하면 전 인구의 50-65%가 구취로 인해 고민하거나 고통을 받은 적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2]. 구취는 구강 및 인접 기관에서 발생되어 구강을 통해 외부로 나오는 냄새를 말하며 누구에게서나 발생되지만 일반적으로 자신이나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악취를 말한다[3]. 구취는 치명적인 질환은 아니며, 통증을 유발하지도 않지만 현대 사회에서 구취로 인해받는 괴로움은 중증의 다른 어느 질환 못지않게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호소하고 있다[4].
구취의 원인들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현상들은 무엇인가? 구취의 원인은 다양하고 복잡하지만 크게 나누어 전신적 원인, 심인적 원인 및 생리적 원인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신적 원인으로는 신장질환, 간질환, 당뇨, 호흡기장애, 탈수 등에 의하여 구취가 발생될 수 있으며, 생리적 원인으로는 공복, 기상, 월경, 흡연, 약물 섭취 시에도 구취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10]. 하지만 구취환자의 85% 이상은 구강건강상태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되고 있다[11]. 구강 내 원인에 의한 구취는 타액과 치아 사이에 남아 있는 음식물들에 포함된 단백질과 단백분해산물인 아미노산(특히 cysteine, methionine, cystine 등)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때 발생되는 휘발성황화합물(volatile sulfide compound. VSC)이며, 주로 혀에 존재하는 세균들이 구취의 주된 기여요인으로 생각된다고 밝혔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osy A. Oral malordour: Philosophical and practical aspects. J Can Dent Assoc 1997;63:196-201. 

  2. Jee YJ, Kim JS, Lee JH, Jeon 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litosis developments and oral environmental. J Dent Hyg Sci 2010;10(2):101-7. 

  3. Ma DS, Paik DI. A study on the effect of oral hygiene methods in reduction of oral malodor. J Korean Acad Dent Health 1990;14(1):91-8. 

  4. Kim YG. Bad Breath: Causes and treatment of bad breath. 1st ed. Seoul: Shinheung international; 2008: 12-3. 

  5. Kim KE, Choi MH. The relation of salivary secretion, the oral care and the oral malodor. The Chung-Ang Journal of Nursing 2001;5(2):55-60. 

  6. Hye HY, Shin SC, Cho JW, Park KS. A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mouth-odor survey and factor analysi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5;29(3):368-84. 

  7. Baik DI, Shin SC, Cho JW, Chang YS, Lee MG. Oral malodor control. 1st ed. Seoul: Pacific books;2011:1-42. 

  8. Seemann R, Bizhang M, Djamchidi C, Kage A, Nachnani S. The proportion of pseudohalitosis patients in a multidisciplinary breath malodour consultation. Int Dent J 2006;56(2): 77-81. https://doi.org/10.1111/j.1875-595x.2006.tb00077.x 

  9. Suzuki N, Yoneda M, Naito T, Iwamoto T, Hirofuji T. Relationship between halitosis and psychologic statu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8;106(4):542-7. https://doi.org/10.1016/j.tripleo.2008.03.009 

  10. Tonzetich J, Johnson PW. Chemical analysis of thiol, disulphide and total sulphur content of human saliva. Arch Oral Biol 1977;22(2):125-31. https://doi.org/10.1016/0003-9969(77)90089-9 

  11. Kim YG, Jeong SC, Lee SW. Bad breath: research perspectives. 2nd ed. Seoul: Shinheung international; 1998: 1-23. 

  12. Hong JP. Halitosis. Journal of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2000;16(1):4-8. 

  13. Spouge JD. Hemostasis in dentistry, whit special reference to hemocoagulation: 3.Principles underlying clinical hemostatic practices in patients with faulty coagulation.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64;18(4):701-12. https://doi.org/10.1016/0030-4220(64)90387-1 

  14. Lee JS, Yoon YM, Lee HS, Kim SN. Restricted activity with oral disease in a Korean university student.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1;25(3):245-58. 

  15. Kim YI. A study on the health science college student's dental health behaviors. J Dent Hyg Sci 2008;8(1):23-33. 

  16. Romano F, Pigella E, Guzzi N, Aimetti M. Patients' self-assessment of oral malodour and its relationship with organoleptic scores and oral conditions. Int J Dent Hyg 2010;18(1):41-6. https://doi.org/10.1111/j.1601-5037.2009.00368.x 

  17. Eldarrat A, Alkhabuli J, Malik A. The prevalence of self-reported halitosis and oral hygiene practices among libyan students and office workers. Libyan J Med 2008;13(4):170-6. https://doi.org/10.4176/080527 

  18. McKeown L. Social relations and breath odour. Int J Dent Hygiene 2003;1(4):213-7. https://doi.org/10.1034/j.1601-5037.2003.00056.x 

  19. Tonzetich J. Production and origin of oral malodor: a review of mechanism and methods of analysis. J Periodontol 1977;48(1):13-20. https://doi.org/10.1902/jop.1977.48.1.13 

  20. Kwon JH, Chang MT, Ryu SH, Kim H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malodor and periodontal disease. J Korean Acad Periodontol 2000;30(1):203-12. https://doi.org/10.5051/jkape.2000.30.1.203 

  21. Yoon MS, Youn HJ. A study on subjective symptoms of a oral malodor in Korean adults. J Dent Hyg Sci 2008;8(3):123-9. 

  22. Choi JK. The extraoral cause of halitosis. J Kor Dent Assoc 1998;36(1):32-5. 

  23. Eli I, Bath R, Koriat H, Rosenberg M. Self-perception of breath odor. J Am Dent Assoc 2001;132(5):621-6. https://doi.org/10.14219/jada.archive.2001.0239 

  24. Lee YO, Hong JP, Lee TY. Halitosis and related factors among rural residents. J Oral Med Pain 2007;32(2):157-75. 

  25. Lee MR, Choi JS. Self-reported halitosis and the associated factors in adults. J Dent Hyg Sci 2013;13(2):142-50. 

  26. Lee SO. Oral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 halitosis development[Doctoral dissertation]. Cheongju: Univ. of Chungbuk National, 2015. 

  27. Jung HY. A clinical study on the oral malodor related to the saliva and tongue plaque[Master's thesis]. Cheonan: Univ. of Dankook, 2007. 

  28. Iwanicka-Grzegorek E, Michalik J, Kepa J, Wierzbicka M, Aleksinski M, Pierzynowska E. Subjective patients'opinion and evaluation of halitosis using halimeter and organoleptic scores. Oral Dis 2005;11(Suppl 1):86-8. 

  29. Persson S, Edlund MB, Claesson R, Carlsson J. The formation of hydrogen sulfide and methyl-mercaptan by oral bacteria. Oral Microbiol Immunol 1990;5(4):195-201. https://doi.org/10.1111/j.1399-302x.1990.tb00645.x 

  30. Figueiredo LC, Rosetti EP, Marcantonio Jr E, Marcantonio RAC, Salvador SL. The relationship of malodor in patients with or without periodontal disease. J Periodontol 2002;73:1338-42. https://doi.org/10.1902/jop.2002.73.11.1338 

  31. Cicek Y, Orbak R, Tezel A. Orbak Z, Erciyas K. Effect of tongue brushing on oral malodor in adolescents. Pediatr Int 2003;45(6):719-23. https://doi.org/10.1111/j.1442-200x.2003.01804.x 

  32. Seemann R, Kison A, Bizhang M, Zimmer S. Effectiveness of mechanical tongue cleaning on oral levels of volatile sulfur compounds. JADA 2001;132(9):1263-7. https://doi.org/10.14219/jada.archive.2001.0369 

  33. Weiler RM, Fisberg M, Barroso AS, Nicolau J, Simi R, Siqueira WL Jr. A study of the influence of mouthbreathing in some parameters of unstimulated and stimulated whole saliva of adolescents. Int J Pediatr Otorhinolaryngol 2006;70(5):799-805. https://doi.org/10.1016/j.ijporl.2005.09.008 

  34. Jo ED, Han GS. Influencing factors in the halitosis.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2;36(4):272-81. https://doi.org/10.11149/jkaoh.2012.36.4.272 

  35. Koo HM, Au QS, Chun YH, Hong JP. Change of the amylase secretion on the rat submandibular gland in the restraint stress condition. Korean J Oral Med 2007;32(1):57-67. 

  36. Lim HR, Jeon SY, Jo KH, Ju AI, Kim SH.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university students. J Dent Hyg Sci 2016;16(4):310-6. 

  37. Carvalho MD, Tabchoury CM, Cury JA, Toledo S, Nogueiro-Filho GR. Impact of mouthrinses on morning bad breath in health subjects. J Clin Periodontol 2004;31(2):85-90. https://doi.org/10.1111/j.0303-6979.2004.00452.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