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버섯 생산을 위한 버섯배지 자원으로서 감과피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감과피 무첨가배지(control)와 5%(5% PP), 10%(10% PP), 15%(15% PP), 20%(20% PP) 및 30%(30% PP) 감과피 첨가구 배지에서 배양된 큰느타리버섯 자실체의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양이온 소거능, 환원력 등을 조사하였다. 감과피 무처리구 큰느타리버섯 추출물에 비해 20% 감과피 첨가구(20% PP) 큰느타리버섯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양이온 소거능, 환원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5%(5% PP), 10%(10% PP), 15%(15% PP) 및 20%(20% PP) 감과피 처리구에서는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양이온 소거능, 환원력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감과피는 큰느타리버섯의 항산화 기능성 향상을 위한 버섯배지 자원으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potential use of persimmon peels (PP) in mushroom culture medium for the production of functional mushrooms. Pleurotus eryngii was cultivated in medium supplemented with PP (SMPP) at the following concentrations: 0% SMPP (control), 5% SMPP, 10% SMPP, 15% SMPP, 20%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감의 50%는 곶감으로 제조되고 30%는 홍시, 20%는 식초 제조에 사용되고 있으며 곶감 생산 후 발생되는 감과피는 원과의 20%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감과피생산량에 대한 정확한 통계자료는 없다(Kim, 2005). 본 연구는 경남지역 특산물의 가공부산물인 감과피를 버섯배지로 이용하여 재배한 큰느타리버섯의 생리활성을 조사하여 기능성 버섯 생산을 위한 버섯배지 자원으로서 감과피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큰느타리버섯이 건강식품인 이유와 수출가치가 높은 이유는?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은 팽이버섯, 느타리버섯과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식용버섯으로 상품명인 “새송이버섯”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으며 육질이 단단하여 씹힘성이 좋고 특유의 향과 맛을 가진 저칼로리식품이다(Kim et al, 1995; Yoon and Lee, 2004). 큰느타리버섯은 단백질, 비타민 및 각종 무기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다른 버섯에 비해 수분함량이 낮아서 저장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수출상품으로써 가치도 높다(Hong et al, 2004). 큰느타리버섯의 약리작용에 관한 연구로는 단백다당류에 의한 암세포 성장 억제능, 당뇨쥐의 혈당 및 혈중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대장암 세포 증식 및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 항산화 활성 탐색 등이 보고되었다(Kang, 1999; Kang et al,2001; Hui et al, 2002; Lee, 2002; Hwang et al, 2003;Kang et al, 2003).
큰느타리버섯이란?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은 팽이버섯, 느타리버섯과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식용버섯으로 상품명인 “새송이버섯”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으며 육질이 단단하여 씹힘성이 좋고 특유의 향과 맛을 가진 저칼로리식품이다(Kim et al, 1995; Yoon and Lee, 2004). 큰느타리버섯은 단백질, 비타민 및 각종 무기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다른 버섯에 비해 수분함량이 낮아서 저장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수출상품으로써 가치도 높다(Hong et al, 2004).
큰느타리버섯을 병재배 버섯이라고 할 수 있는 건강학적 이점은? 큰느타리버섯은 단백질, 비타민 및 각종 무기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다른 버섯에 비해 수분함량이 낮아서 저장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수출상품으로써 가치도 높다(Hong et al, 2004). 큰느타리버섯의 약리작용에 관한 연구로는 단백다당류에 의한 암세포 성장 억제능, 당뇨쥐의 혈당 및 혈중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대장암 세포 증식 및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 항산화 활성 탐색 등이 보고되었다(Kang, 1999; Kang et al,2001; Hui et al, 2002; Lee, 2002; Hwang et al, 2003;Kang et al, 2003). 큰느타리버섯은 1997년부터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기 시작한 대표적인 병재배 버섯이며 병재배를 위해 톱밥, 콘코브, 비트펄프, 대두박, 면실박, 면실피, 밀기울 등을 혼합한 혼합배지가 사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rros L, Ferreira MJ, Queiros B, Ferreira ICFR, Baptista P. 2007. Total phenols, ascorbic acid, ${\beta}$ -carotene and lycopene in Portuguese wild edible mushroom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Food Chem. 103:413-419. 

  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3. Chang ST, Buswell JA, Chiu SW. 1993. Mushroom biology and mushroom products. The Chinese University Press. Hong Kong. pp. 3-17. 

  4. Gal SW, Lee SW. 2002. Development of optimal culture media for the stable production of mushroom. J Korean Soc Agri Chem Biotechnol. 45:71-76. 

  5. Gorinstein S, Zachwieja Z, Folta M, Barton H, Piotrowicz J, Zemser M, Weisz M, Trakhtenberg S, Martin-Belloso O. 2001. Comparative contents of dietary fiber, total phenolics, and minerals in persimmons and apples. J Agric Food Chem. 49:952-957. 

  6. Hong JS. 1979. Studies on the compositional changes of media during oyster mushroom cultivation. Korean J Appl Microbiol Bioeng. 7:37-46. 

  7. Hong KH, Kim BY, Kim HK. 2004.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in Pleurotus ferulea. J Food Sci Technol. 36:563-567. 

  8. Hong MH, Jin YJ, Pyo YH. 2012. Antioxidant properties and ubiquinone contents in different parts of several commercial mushrooms. J Kor Soc Food Sci Nutr. 41:1235-1241. 

  9. Hui YF, Den ES, Chi TH. 2002.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s. J Food Lipids. 9:35-46. 

  10. Hwang YJ, Nam HK, Chang MJ, Noh GW, Kim SH. 2003. Effect of Lentinus edodes and Pleurotus eryngii extracts on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human colon cancer cell lines. Food Sci Nutr. 32:217-222. 

  11. Ikekawa T. 1995. Bunashimeji, Hypsizigus marmoreus antitumor activity of extracts and polysaccharides. Food Rev Int. 11:207-209. 

  12. Jang YA, Lee JT. 2015. The evaluation of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aging of extract solvent and Poria cocos by parts. Kor J Aesthet Cosmetol. 13:377-383. 

  13. Kang MS. 1999. Studies on the artifical cultivation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Pleurotus eryngii. Master degree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4. Kang TS, Kang MS, Sung JM, Kang AS, Shon HR, Lee SY. 2001. Effect of Pleurotus eryngii on the blood glucose and cholesterol in diabetic rats. Kor J Mycol. 29:86-90. 

  15. Kang TS, Jeong HS, Lee MY, Park HJ, Jho TS, Ji ST, Shin MK. 2003. Mycelial growth using the natural product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activity of Pleurotus eryngii. Kor J Mycol. 31: 175-180. 

  16. Kang YH, Park YK, Oh SR, Moon KD.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978-984. 

  17. Kawase M, Motohashi N, Satoh K, Sakagami H, Nakashima H, Tani S, Shirataki Y, Kurihara T, Soengler G, Wolfard K, Molnar J. 2003. Biological activity of persimmon (Diospyros kaki) peel extracts. Phytother Res. 17:495-500. 

  18. Kim HS, Kim SC, Cheong JC, Cho SJ. 2014. Effect of the supplementation of persimmon peels on mycelial growth of Pleurotus eryngii. J Mushrooms 12:371-374. 

  19. Kim JS, Han JS, Lee JS. 1995. A study for the mechan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ushrooms by various cooking methods. Korean J Food Cook Sci. 11:44-50. 

  20. Kim YH. 2012. Anticancer,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xtraction from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cv. Gojongsi) Fresh Pulp, Fresh and Dried Peel. Master degree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21. Kim YJ. 2005. Effect of Dietary Dried Persimmon By-product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cken Meat. Korean J Food Sci Resour. 25:436-441. 

  22. Lee DJ. 2002.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isolates, and artificial cultivation of Pleurotus eryngii. Ph .D. degree thesis. Dankook University. 

  23. Lee SY, Choi HD, Yu SN, Kim SH, Park SK, Ahn SC. 2015. Biological activities of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Iceplant) extract. J Life Sci. 25:638-645. 

  24. Lee YH, Cho YJ, Kim HK. 2002. Effect on mycelial growth and fruit body development according to additives and mixing ration in pot cultivation of Pleurotus ostreatus. Kor J Mycol. 30:104-108. 

  25.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e amine. Jpn J Nutr. 44:307-315. 

  26.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1231-1237. 

  27. Royse DJ, Sanchez JE. 2007. Ground wheat straw as a substitude for portions of oak wood chips used in shitake (Lentinula edodes) substrate formulae. Bioresour Technol. 98:2137-2141. 

  28. Ryu JS, Kim MK, Kwon JH, Cho SH, Kim NK, Rho CW, Lee CH, Ro HS, Lee HS. 2007.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Pleurotus eryngii. Kor J Mycol. 35:47-53. 

  29. Singleton VL. 1981. Naturally occurring food toxicants: phenolic substances of plant origin common in foods. Adv Food Res. 27:149-242. 

  30. Xu XM, Jun JY, Jeong IH. 2007. A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Hae-Songi mushroom (Hypsizigus marmoreus) hot water extracts. J Kor Soc Food Sci Nutr. 36:1351-1357. 

  31. Yoon DY, Park KM, Lee JH. 2010.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Pleurotus eryngii grown on monosodium glutamate-enriched media. KSBB Journal. 25:277-282. 

  32. Yoon SJ, Lee MY.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concentration of Hericium erinaceus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0:575-5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