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을 이용한 2.9% 과산화수소 함유 젤과 첩부제의 치아미백효과 비교
Comparison of Tooth Whitening Efficacy between Gel and Strip with Light Activator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7 no.6, 2017년, pp.481 - 486  

김지혜 ((주)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방성은 ((주)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김지영 ((주)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안재현 ((주)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OTC 미백술에서 사용되고 있는 2.9% 과산화수소 함유 젤과 과산화수소 함유 첩부제 제품을 광조사기와 각각 혼합 사용했을 때의 실험실 및 임상적 효과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실적 평가는 변형된 Stookey's method를 이용하여 착색시킨 HAP 시편을 이용하여 20분간 각 실험제품을 적용하고 광을 조사하였다. 임상적 평가에서는 하루 15분씩 4일간 각 실험제품과 광조사를 진행하였고, Vita 색조편을 이용한 육안적 평가와 Shade eye-NCC를 이용한 기기적인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실적 평가 결과 과산화수소 함유 첩부제와 광을 사용한 군이 과산화수소 함유 젤과 광을 사용한 군에 비해 색조 변화 값(${\Delta}E^*$)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1). 임상적 평가에서는 Vita 색조편을 이용한 육안평가 결과, 첩부제와 광을 사용한 군이 젤과 광을 사용한 군보다 제품 사용 전후 색조 변화 값이 좀 더 큰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군간 유의차는 없었다(p>0.05). Shade eye-NCC를 이용한 기기적 평가 결과에서 ${\Delta}E^*$값은 첩부제와 광을 사용한 군이 젤과 광을 사용한 군보다 좀 더 높았으나 군간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고(p>0.05), ${\Delta}b^*$값은 첩부제와 광을 사용한 군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24). 본 연구에서는 광조사기와 혼합 사용하는 과산화수소 젤 또는 첩부제 형태의 물리적 성상에 따른 치아미백제품의 미백효과 평가 결과 첩부제 형태의 과산화수소 제제가 젤 형태보다 치아미백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ed to compare the whitening efficacy of a strip and gel containing 2.9% hydrogen peroxide, using a tooth whitening light activator. The whitening effect was compared through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In the in vitro study, we used stained hydroxyapatite (HAP) specimens as artifici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약사법적으로 가능한 OTC 미백술의 허용 기준인 2.9% 과산화수소 함유 젤 또는 첩부제 제품과 광조사기를 혼용 사용했을 때의 실험실 및 임상적 미백효과를 비교 평가하여 치아미백제의 제형에 따른 광조사 시 치아미백효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변색은 무엇과 무엇으로 나누어지며 각각은 무슨 특성을 가지는가? 치아변색은 착색의 위치와 원인에 따라 외인성과 내인성으로 나누어지며, 외인성변색은 칫솔질과 전문가 치면세마법을 통해 제거될 수 있으며, 내인성변색은 과산화물(pero- xide)과 같은 화학물질을 사용하여야만 치아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다. 미백기전에 대해 완전히 확립되지 않았지만, 가장 널리 알려진 이론은 과산화물의 강력한 산화작용으로 법랑질을 통과해 상아질까지 확산되어 치아변색의 주된 원인인 색소 유기물과 반응하여 분해시킨다는 것이다1).
치아미백방법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치아미백방법은 과산화수소에 열이나 빛을 가하는 방법으로 주로 환자가 치과병의원에 내원하여 치료받는 전문가 미백술(in-office bleaching), 치과의사의 지도로 가정에서 10% 과산화요소(carbamide peroxide)를 함유한 gel을 마우스가드(mouthguard)에 주입하여 치아에 장착하는 자가 미백술(home bleaching), 치과의사의 관리 없이 환자가 스스로 제품을 구입하여 시행하는 OTC 미백술(over-the-counter bleaching)로 구분된다2). 고농도의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전문가가 직접 시술하는 전문가 치아 미백술은 단기간에 치아미백효과가 높지만 미백제의 도포를 위해 치과를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시술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OTC 미백술 제품의 장점은 무엇인가? 치아 미백술의 단점을 극복하여 보다 간편하고 편리함을 갖는 OTC 미백술 제품이 다양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는데, 낮은 농도의 과산화물을 사용하여 부작용을 줄이면서도 적절한 치아미백효과를 가지는 얇은 필름을 치아에 부착하는 첩부제 형태4), 저농도의 과산화수소를 치약성분과 배합한 치약제제5) 및 젤형태의 바르는 치아미백제 등6)이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전문가 미백술이나 자가 미백술보다 낮은 농도의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므로 자극성이 적고, 간편하고 경제적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7). 하지만 낮은 농도의 과산화수소 함량을 사용해야 하는 법적인 규제로 치아미백효과가 전문가 미백술에 비해 낮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Nathoo SA: The chemistry and mechanisms of extrinsic and intrinsic discoloration. J Am Dent Assoc 128 Suppl: 6S-10S, 1997. 

  2. Heymann HO: Tooth whitening: facts and fallacies. Br Dent J 198: 514, 2005. 

  3. Kim JH, Moon KT, Kim JH, Ahn JH: In-vitro whitening efficacy of hydrogen peroxide strips with primer. J Dent Hyg Sci 14: 191-197, 2014. 

  4. Park DY, Jung SH, Ma DS, Chang SY, Yun SY: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a 2.6% hydrogen peroxide containing tooth-whitening strips. J Korean Acad Oral Health 26: 385-396, 2002. 

  5. Bahng KH, Yoo SM, Park YD: Maintenance of teeth brightness with 0.3% H2O2 containing toothpaste after use of 3.0% H2O2 brightening gel. J Korean Acad Oral Health 31: 167-175, 2007. 

  6. Park DY, Ma DS, Cho KM, Jeong DB, Jung SH: Efficacy of a paint-on, self-applied, humidity-facilitated setting 2.8% hydrogen peroxide whitening gel. J Korean Acad Oral Health 29: 397-406, 2005. 

  7. Gerlach RW, Gibb RD, Sagel PA: A randomized clinical trial comparing a novel 5.3% hydrogen peroxide whitening strip to 10%, 15%, and 20% carbamide peroxide tray-based bleaching systems. Compend Contin Educ Dent Suppl (29): S22-S28, 2000. 

  8. Abbot CH: Bleaching discolored teeth by means of 30% perhydrol and the electric light rays. J Allied Dent Soc 13: 259-262, 1918. 

  9. Goldstein RE: In-office bleaching: where we came from, where we are today. J Am Dent Assoc 128 Suppl: 11S-15S, 1997. 

  10. Shim YS, Woo HS: Tooth bleaching effect by light activation on the tooth surface and intra-pulpal temperature: an in vitro study. J Korean Soc Dent Hyg 14: 585-591, 2014. 

  11. Stookey GK, Burkhard TA, Schemehorn BR: In vitro removal of stain with dentifrices. J Dent Res 61: 1236-1239, 1982. 

  12. Reinhardt JW, Eivins SE, Swift EJ Jr, Denehy GE: A clinical study of nightguard vital bleaching. Quintessence Int 24: 379-384, 1993. 

  13. Lee HJ, Kim MY, Kim KH, Kwon TY: 35% Hydrogen peroxide gel in the whitening effect and enamel changes. J Dent Hyg Sci 8: 255-260, 2008. 

  14. Almeida LC, Riehl H, Santos PH, Sundfeld ML, Briso AL: Clinical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bleaching therapies in vital teeth.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32: 303-309, 2012. 

  15. Mena-Serrano AP, Garcia E, Luque-Martinez I, Grande R, Loguercio AD, Reis A: A single-blind randomized trial about the effect of hydrogen peroxide concentration on light-activated bleaching. Oper Dent 41: 455-464, 2016. 

  16. Ziemba SL, Felix H, MacDonald J, Ward M: Clinical evaluation of a novel dental whitening lamp and light-catalyzed peroxide gel. J Clin Dent 16: 123-127, 2005. 

  1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of the safety and performance of tooth whitening light irradiation devices. Retrieved April 26, 2017, from http://www.mfds.go.kr/index.do?mid1769&seq12298&cmdv(2015, October 16). 

  18. Paravina RD: Performance assessment of dental shade guides. J Dent 37 Suppl 1: e15-e20, 2009. 

  19. Gross MD, Moser JB: A colorimetric study of coffee and tea staining of four composite resins. J Oral Rehabil 4: 311-322, 1977. 

  20. Asmussen E: An accelerated test for color stability of restorative resins. Acta Odontol Scand 39: 329-332, 1981. 

  21. Douglas RD, Steinhauer TJ, Wee AG: Intraoral determination of the tolerance of dentists for perceptibility and acceptability of shade mismatch. J Prosthet Dent 97: 200-208, 2007. 

  22. Joiner A: Tooth colour: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Dent 32 Suppl 1: 3-12,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