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층박막법을 이용한 표면 젖음성 제어 기술 동향
Technology Trend of surface Wettability Control Using Layer-by-Layer Assembly Technique 원문보기

접착 및 계면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v.18 no.4, 2017년, pp.171 - 178  

성충현 (동의대학교 고분자소재공학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들어, 다층박막법(Layer-by-Layer(LbL) assembly)을 이용한 표면 젖음성 제어 기술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다층박막법은 고분자, 계면활성제, 나노 입자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수직 구조와 표면 특성나노 및 마이크로 스케일로 제어할 수 있는 다기능적이며 친환경적인 제조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층박막법을 이용하여 표면 특성을 제어하는 기술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초발수, 초친수, 초발유/초친수 LbL 표면의 제조와 응용에 대한 기술 동향과 연구 결과를 기술한다. 또한, omniphobic, 자가-치유, 지능형 및 외부 반응형 표면 등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분야의 기본적인 원리와 제조 방법 등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layer-by-layer (LbL) assembly has emerged as a promising fabrication technique in controlling surface wetting properties. LbL assembly technique is eco-friendly versatile technique to control the hierarchical structure and surface properties in nano- and micro-scale by employing a varie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여러 물질을 이용하여, 전기 전도도 및 난연성 등 다기능을 도입하기에도 용이하다. 본 논문에서는 LbL 기술을 이용한 초젖음(superwetting) 및 초반젖음(superantiwetting) 표면의 구현 및 제어와 관련된 연구 동향을 살펴 고자 한다.
  • 특히 초발수, 초발유, 초친수, 초친유 표면 등이 자가 세정, 방빙(anti-icing), 김서림 방지, 방오(anti-fouling) 등의 다양한 용도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많은 생체들을 모사하여 진행되었다. 가령, 초발수 특성을 가지는 연잎 표면의 경우, 마이크로 스케일의 papilla 구조와 나노 스케일의 epiculticular 왁스 결정 구조를 가진다.
  • 이상으로 LbL 기술을 이용한 초젖음 및 초반젖음 표면의 제조 기술에 대해 알아 보았다. 초기에는 고분자와 나노 입자를 기반으로 수직 구조를 형성하였으나 고분자 LbL 필름의 산처리를 통한 기공 구조나 팽창을 통한 표면 주름 구조를 만드는 등의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가설 설정

  • Figure 2. Schematic illustration of the mechanism of (a) oil repellency and (b) antifogging ability. Reprinted from ref [31] with permission from American Chemical Societ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층 박막 적층법의 장점은? 이에 여러 나노 제조 공정 중의 하나로, 간단하면서도 다양한 소재를 복합화할 수 있는 다층 박막 적층법(layer-by-layer (LbL)assembly)이 큰 관심을 받아왔다. 이 방법은 정전기적인 인력, 수소 결합, 공유 결합 등을 이용하여 고분자, 유무기 나노 입자 등을 적층할 수 있다. 이러한 LbL기술을 활용하면 다양한 나노/마이크로 스케일의 수직구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LbL 기술은 수용액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며, 공정이 단순하고 평평하지 않은 표면도 쉽게 코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여러 물질을 이용하여, 전기 전도도 및 난연성 등 다기능을 도입하기에도 용이하다. 본 논문에서는 LbL 기술을 이용한 초젖음(superwetting) 및 초반젖음(superantiwetting) 표면의 구현 및 제어와 관련된 연구 동향을 살펴 고자 한다.
다층박막법은 무엇인가? 최근 들어, 다층박막법(Layer-by-Layer(LbL) assembly)을 이용한 표면 젖음성 제어 기술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다층박막법은 고분자, 계면활성제, 나노 입자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수직 구조와 표면 특성을 나노 및 마이크로 스케일로 제어할 수 있는 다기능적이며 친환경적인 제조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층박막법을 이용하여 표면 특성을 제어하는 기술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초발수 특성을 가지는 연잎 표면의 구조는? 이러한 연구들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많은 생체들을 모사하여 진행되었다. 가령, 초발수 특성을 가지는 연잎 표면의 경우, 마이크로 스케일의 papilla 구조와 나노 스케일의 epiculticular 왁스 결정 구조를 가진다. 이는 표면의 에너지와 나노/마이크로 스케일 수직 구조의 중요성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T. Soeno, K. Inokuchi and S. Shiratori, Applied Surface Science, 237, 543 (2004). 

  2. B. Jiang, H. J. Zhang, Y. L. Sun, L. H. Zhang, L. D. Xu, L. Hao and H. W. Yang, Applied Surface Science, 406, 150 (2017). 

  3. X. J. Guo, C. H. Xue, M. Li, X. Li and J. Z. Ma, Rsc Advances, 7, 25560 (2017). 

  4. X. Lu and Y. C. Hu, Bioresources, 11, 4605 (2016). 

  5. L. Zhai, F. C. Cebeci, R. E. Cohen and M. F. Rubner, Nano Letters, 4, 1349 (2004). 

  6. J. Yu, S. Y. Han, J. S. Hong, O. Sanyal and I. Lee, Langmuir, 32, 8494 (2016). 

  7. L. Zhang and J. Q. Sun, Macromolecules, 43, 2413 (2010). 

  8. L. C. Peng, Y. H. Meng and H. Li, Cellulose, 23, 2073 (2016). 

  9. N. Forsman, A. Lozhechnikova, A. Khakalo, L. S. Johansson, J. Vartiainen and M. Osterberg, Carbohydrate Polymers, 173, 392 (2017). 

  10. M. J. Kratochvil, U. Manna and D. M. Lynn, Journal of Polymer Science Part a-Polymer Chemistry, 55, 3127 (2017). 

  11. Y. H. Kim, Y. M. Lee, J. Y. Lee, M. J. Ko and P. J. Yoo, ACS Nano, 6, 1082 (2012). 

  12. S. Hwangbo, J. Heo, X. Lin, M. Choi and J. Hong, Scientific Reports, 6 (2016). 

  13. L. B. Zhang, Y. Li, J. Q. Sun and J. C. Shen, Langmuir, 24, 10851 (2008). 

  14. Z. Wu, D. Lee, M. F. Rubner and R. E. Cohen, Small, 3, 1445 (2007). 

  15. B. Peng, L. F. Tan, D. Chen, X. W. Meng and F. Q. Tang,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4, 96 (2012). 

  16. X. M. Liu, X. Du and J. H. He, Chemphyschem, 9, 305 (2008). 

  17. X. Du, X. Y. Li and J. H. He,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2, 2365 (2010). 

  18. X. Y. Li, X. Du and J. H. He, Langmuir, 26, 13528 (2010). 

  19. X. Y. Li and J. H. He,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5, 5282 (2013). 

  20. X. Du, X. M. Liu, H. M. Chen and J. H. He,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C, 113, 9063 (2009). 

  21. X. M. Liu and J. H. He,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314, 341 (2007). 

  22. H. X. Guo, Y. W. Ma, P. Z. Sun, S. P. Cui, Z. P. Qin and Y. C. Liang, RSC Advances, 5, 63429 (2015). 

  23. M. Choi, L. Xiangde, J. Park, D. Choi, J. Heo, M. Chang, C. Lee and J. Hong,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309, 463 (2017). 

  24. X. Lin, M. Yang, H. Jeong, M. Chang and J. Hong, Journal of Membrane Science, 506, 22 (2016). 

  25. D. Liu, M. W. Zhang, L. He, Y. Chen and W. W. Lei, Advanced Materials Interfaces, 4 (2017). 

  26. Z. X. Xue, S. T. Wang, L. Lin, L. Chen, M. J. Liu, L. Feng and L. Jiang, Advanced Materials, 23, 4270 (2011). 

  27. L. P. Xu, J. T. Peng, Y. B. Liu, Y. Q. Wen, X. J. Zhang, L. Jiang and S. T. Wang, ACS Nano, 7, 5077 (2013). 

  28. K. Hon, Y. C. Zeng, C. L. Zhou, J. H. Chen, X. F. Wen, S. P. Xu, J. Cheng, Y. G. Lin and P. H. Pi, Applied Surface Science, 416, 344 (2017). 

  29. A. Tuteja, W. Choi, M. L. Ma, J. M. Mabry, S. A. Mazzella, G. C. Rutledge, G. H. McKinley and R. E. Cohen, Science, 318, 1618 (2007). 

  30. P. S. Brown and B. Bhushan, Scientific Reports, 5 (2015). 

  31. F. C. Xu, X. Li, Y. Li and J. Q. Sun,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9, 27955 (2017). 

  32. T. S. Wong, S. H. Kang, S. K. Y. Tang, E. J. Smythe, B. D. Hatton, A. Grinthal and J. Aizenberg, Nature, 477, 443 (2011). 

  33. X. Y. Huang, J. D. Chrisman and N. S. Zacharia, ACS Macro Letters, 2, 826 (2013). 

  34. K. Manabe, S. Nishizawa, K. H. Kyung and S. Shiratori,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6, 13985 (2014). 

  35. S. Sunny, N. Vogel, C. Howell, T. L. Vu and J. Aizenberg,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4, 6658 (2014). 

  36. Y. Li, L. Li and J. Q. Sun, Angewandte Chemie-International Edition, 49, 6129 (2010). 

  37. Y. Li, S. S. Chen, M. C. Wu and J. Q. Sun, Advanced Materials, 26, 3344 (2014). 

  38. L. Yu, G. Y. Chen, H. L. Xu and X. K. Liu, ACS Nano, 10, 1076 (2016). 

  39. M. C. Wu, N. An, Y. Li and J. Q. Sun, Langmuir, 32, 12361 (2016). 

  40. L. M. Wang, B. Peng and Z. H. Su, Langmuir, 26, 12203 (2010). 

  41. J. Yang, Z. Z. Zhang, X. H. Men, X. H. Xu, X. T. Zhu, X. Y. Zhou and Q. J. Xue,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366, 191 (2012). 

  42. X. C. Chen, K. F. Ren, J. Wang, W. X. Lei and J. Ji,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9, 1959 (2017). 

  43. A. Chunder, K. Etcheverry, G. Londe, H. J. Cho and L. Zhai, Colloids and Surfaces a-Physicochemical and Engineering Aspects, 333, 187 (2009). 

  44. A. de Leon and R. C. Advincula,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6, 22666 (2014). 

  45. Y. M. Lu, M. A. Sarshar, K. Du, T. M. Chou, C. H. Choi and S. A. Sukhishvili,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5, 12617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