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혁신클러스터의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 판교테크노밸리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Innovation Cluster: A Case of the Pangyo Techno Valley in South Korea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20 no.4, 2017년, pp.970 - 988  

정기덕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  임종빈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  정선양 (건국대학교 기술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혁신클러스터는 전 세계적으로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는 주요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한국도 정책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혁신클러스터를 조성 및 육성하고 있다. 하지만 성공적인 혁신클러스터 육성을 위한 체계적인 분석은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혁신클러스터의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한 프레임워크에 따라 판교테크노밸리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하였다. 분석 결과 성공적인 혁신클러스터를 위해서는 혁신지향적인 환경,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 지식 네트워크의 활성화, 혁신성과의 환류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n innovation cluster has become an important policy tool for attaining regional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many nations and regions are making great efforts to foster innovation clusters. In the case of Korea also, many innovation clusters have been established and some of them are recently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혁신클러스터 평가 및 분석을 위한 기본적인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이 프레임워크에 따라 사례분석을 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판교테크노밸리의 발전을 위한 정책 제언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의 가장 대표적인 혁신클러스터 중 하나인 판교테크노밸리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하고, 혁신클러스터의 성공요인 도출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혁신클러스터 평가 및 분석을 위한 기본적인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이 프레임워크에 따라 사례분석을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의 대표적인 혁신클러스터인 판교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성공요인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판교테크노밸리는 도시재생, 낙후지역 발전과 같은 관점에서 개발한 집적지가 아닌, 과학기술 혁신창출의 관점에서 계획적으로 조성한 혁신클러스터이기 때문에 그 의의가 더 깊다고 할 수 있다.
  • 이러한 성장이 판교테크노밸리라는 혁신클러스터 입주로부터 비롯된 것인지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다른 클러스터와의 비교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혁신창출 보다는 제조・생산의 효율성에 초점이 맞춰져있는 산업단지와 비교를 하였다. 산업단지는 국가산업단지, 일반산업단지, 도시첨단산업단지, 농공단지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 중에서 첨단과학기술산업 육성에 목적이 있는 국가산업단지와의 비교를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혁신클러스터의 성공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한 요인을 중심으로 사례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Schmiedeberg(2010)가 제시한 기업・지역의 경제적 성과 영향 요인을 활용하여 (그림 1)과 같은 분석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혁신클러스터의 성과를 기업의 성장, 지역에의 파급효과로 살펴보고자 한다. 단, 지역에의 파급효과는 본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도록 한다.

가설 설정

  • 이러한 지속적 정책적 지원은 판교테크노밸리가 성장하는데 결정적 이유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클러스터 내 지식의 확산과 창출이다. 판교테크노밸리 내부에는 대표적인 지식공급자인 대학이 위치하고 있지는 않지만, 기업의 연구소, 공공연구소 등이 위치하고 있고 인근 지역에 우수한 대학이 위치하고 있는 등 지식창출을 위한 혁신주체가 다수 집적되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역사적 맥락에 의해 형성된 혁신클러스터의 특징은? 혁신클러스터는 형성과정에 따라서 구분할 수 있는데 크게 사회적, 역사적 맥락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와 정책적 의도에 의해 인위적으로 조성되는 경우가 있다(Schmiedeberg, 2010). 전자의 경우 자연발생적으로 클러스터가 형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발생요인이 갖춰진 적절한 위치에 클러스터가 형성되지만, 후자의 경우는 정책시행 시점에서 조성 가능한 지역에 클러스터를 형성하게 된다. 두 발생요인의 공통점은 혁신클러스터가 조성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환경이 조성되어 있거나, 적절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점이다.
혁신클러스터가 조성되기 위한 조건은? 전자의 경우 자연발생적으로 클러스터가 형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발생요인이 갖춰진 적절한 위치에 클러스터가 형성되지만, 후자의 경우는 정책시행 시점에서 조성 가능한 지역에 클러스터를 형성하게 된다. 두 발생요인의 공통점은 혁신클러스터가 조성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환경이 조성되어 있거나, 적절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점이다. 적절한 환경이란 클러스터 내부의 혁신주체가 원활히 활동할 수 있도록 조성된 투자, 인력, 교통, 주거, 교육, 문화/환경, 의료/복지 환경 등 다양한 요인을 포함하며, 이러한 내・외부 환경의 조성은 혁신클러스터의 성장・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정기덕, 2014; 허문구 외, 2011; 김영수・변창욱, 2006; Arthurs et al.
혁신클러스터는 형성과정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혁신클러스터는 형성과정에 따라서 구분할 수 있는데 크게 사회적, 역사적 맥락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와 정책적 의도에 의해 인위적으로 조성되는 경우가 있다(Schmiedeberg, 2010). 전자의 경우 자연발생적으로 클러스터가 형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발생요인이 갖춰진 적절한 위치에 클러스터가 형성되지만, 후자의 경우는 정책시행 시점에서 조성 가능한 지역에 클러스터를 형성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2017), 판교테크노밸리 실태조사, 수원 :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2. 김명진.정의정 (2014), "지방정부 주도로 육성된 혁신클러스터 비교 연구 : 리서치트라이앵글과 경기도 혁신클러스터를 대상으로", 국토지리학회지, 48(4): 409-423. 

  3. 김영수.변창욱 (2006), 지역발전지수의 개발과 지역간 발전격차 분석, 서울 : 산업연구원. 

  4. 송태규.정동선.장희순 (2014), "판교테크노밸리 입주기업의 기업지원 만족도 분석", 주거환경, 12(4): 119-139. 

  5. 임덕순 (2008), "혁신클러스터 발전 과정 및 성공 요인 : 대덕연구개발특구 사례를 중심으로", 혁신클러스터연구, 1(1): 15-38. 

  6. 임종빈.조형례.정선양 (2012), "혁신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정책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 판교 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5(3): 675-699. 

  7. 임종빈.정승용.이상욱.정선양 (2016),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혁신클러스터 정책에 관한 연구: '판교 창조경제밸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8(4): 109-130. 

  8. 임종빈.김예슬.정선양 (2014), "창조경제를 위한 ICT 융합 혁신 클러스터 구축 사례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7(1): 1-24. 

  9. 정기덕 (2014), 우리나라 혁신클러스터의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정선양.황두희.임종빈 (2016), "혁신클러스터의 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판교테크노 밸리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9(4): 848-872. 

  11. 허문구.김동수.홍진기 (2011), "산업단지 유형별 특성분석을 통한 경쟁력 제고 방안", 지역연구, 27(4): 177-200. 

  12. Azagra-Caro, J. M., Barbera-Tomas, D, Edwards-Schachter, M. and Tur, E. M. (2017),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University-Industry Knowledge Transfer Channels: A Case Study of the Most Highly Cited Academic Patent", Research Policy, 46(2): 463-474. 

  13. Acosta, M., Azagra-Caro, J. M. and Coronado, D. (2016), "Access to Universities' Public Knowledge: Who is More Regionalist?", Regional Studies, 50(3): 446-459. 

  14. Arthurs, D., Cassidy, E., Davis, C. H. and Wolfe, D. (2009), "Indicators to Support Innovation Cluster Policy",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 (46)3: 263-279. 

  15. Ben Letaifa, S. and Rabeau, Y. (2013), "Too Close to Collaborate? How Geographic Proximity Could Impede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6(10): 2071-2078. 

  16. Buendia, F. (2005), "Towards a System Dynamic-based Theory of Industrial Clusters", In Karlsson, C., Johansson, B. and Stough, R. R. (eds) Industrial Clusters and Inter-Firm Networks, Cheltenham and Northampton: Edward Elgar, 83-106. 

  17. Branstetter, L. G. (2001), "Are Knowledge Spillovers International or Intranational in Scope? Microeconometric Evidence from the U.S. and Japan",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omics, 531, 53-79. 

  18. Chung, S. (2002), "Building a National Innovation System through Regional Innovation Systems", Technovation, 22(8): 485-491. 

  19. Cowan, R. and Zinvyeva, N. (2013), "University Effects on Regional Innovation", Research Policy, 42(3): 788-800. 

  20. Diez, M. A. (2001), "The Evaluation of Regional Innovation and Cluster Policies: Towards a Participatory Approach", European Planning Studies, 9(7): 907-923. 

  21. Gagne, M., Townsend, S. H., Bourgeois, I. and Hart, R. E. (2010), "Technology Cluster Evaluation and Growth Factors: Literature Review", Research Evaluation, 19(2): 82-90. 

  22. Giuliani, E. (2013), "Network Dynamics in Regional Clusters: Evidence from Chile", Research Policy, 42(8): 1406-1419. 

  23. Laursen, K., Reichtein, T. and Salter, A. (2011), "Exploring the Effect of Geographical Proximity and University Quality on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in the United Kingdom", Regional Studies, 45, 507-552. 

  24. Lublinski, A. E. (2003), "Does Geographic Proximity Matter? Evidence from Clustered and Non-clustered Aeronautic Firms in Germany", Regional Studies, 37(5): 453-467. 

  25. Nishimura, J. and Okamuro, H. (2011), "Subsidy and Networking: The Effects of Direct and Indirect Support Programs of the Cluster Policy", Research Policy, 40(5): 714-727. 

  26. Porter, M. (2001), Cluster of Innovation Initiative: Research Triangle, Washington, DC: Council on Competitiveness. 

  27. Schmiedeberg, C. (2010), "Evaluation of Cluster Policy: A Methodological Overview", Evaluation, 16(4): 389-412. 

  28. Wakelin, K. (2001), "Productivity Growth and R&D Expenditure in UK Manufacturing Firms", Research Policy, 30(7): 1079-1090. 

  29. Zucker, L., Darby, M. and Armstrong, J. (2002), "Commercializing Knowledge: University Science, Knowledge Capture, and Firm Performance in Biotechnology", Management Science, 48, 138-15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