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 출연연구소의 협업적 융합연구 성과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n Collaborative Activities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i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20 no.4, 2017년, pp.1089 - 1121  

조용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우청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최종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술융합'은 기존기술 간 결합 또는 전혀 새로운 기술개발을 통한 신산업 창출과 사회적 난제 해결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의 최근 트렌드이다. 과학기술을 통한 한국 경제성장 전략의 첨병이었던 국가출연연구소(이하 출연(연))에 대해서도 융합연구 조직으로의 역할 변화를 둘러싼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출연(연) 융합연구의 성공 핵심요소를 '협업'으로 보고 다음의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기술개발 목적과 문제해결 과정 관점에서 융합연구 개념과 범위를 정의하고, 그 특성을 반영하는 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둘째, 융합연구에서의 협업활동과 그 성과를 유형화하고 새로운 분석지표를 제안한다. 셋째, 융합연구에서의 협업활동 특성과 그 정도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 및 NST 융합연구사업을 통한 융합연구 과제 수행 경험이 있는 각 출연(연) 104명의 연구책임자들에게 협업의 방식 및 정성적 성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협업활동 특성과 성과 간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지식 창출활동에서는 협업 파트너 다변화가 중요한 변수였다. 둘째, 유사분야 연구자들 간 집체형 협업활동은 특허 기술이전과 같이 목적이 명확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자들에게 독립성과 자율성을 부여하고, 지식 노하우 등 기술역량의 상호공유가 이루어질수록 창출지식의 다양성 및 관계의 지속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융합연구를 위한 협업과 성과 분석방법의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chnological convergence' is the recent innovation trend which facilitates to solve social crux as well as to generate new industries. Kore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GRIs) have taken a pivotal role for economic growth which capitalized on technology-oriented strategies. Recently, the poli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협업활동 특성과 성과 간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회귀분석을 분석 한 결과는 무엇인가? 이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협업활동 특성과 성과 간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지식 창출활동에서는 협업 파트너 다변화가 중요한 변수였다. 둘째, 유사분야 연구자들 간 집체형 협업활동은 특허 기술이전과 같이 목적이 명확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자들에게 독립성과 자율성을 부여하고, 지식 노하우 등 기술역량의 상호공유가 이루어질수록 창출지식의 다양성 및 관계의 지속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융합연구를 위한 협업과 성과 분석방법의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기술융합이란 무엇인가? '기술융합'은 기존기술 간 결합 또는 전혀 새로운 기술개발을 통한 신산업 창출과 사회적 난제 해결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의 최근 트렌드이다. 과학기술을 통한 한국 경제성장 전략의 첨병이었던 국가출연연구소(이하 출연(연))에 대해서도 융합연구 조직으로의 역할 변화를 둘러싼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의 융합정책은 어떤 방향으로 추진되어 왔는가? 그러나 융합이라는 개념 정의와 기술개발 접근방식은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며, 한국 역시 현재까지의 정책방향성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융합정책은 주로 이종(異種) 기술 간 화학적 결합을 통하여 특정 기술 분야를 진보시키는 데 초점을 두고 추진되어 왔다. 때문에, 좀 더 근본적이고 넓은 범위의 ‘문제해결력의 향상’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관계부처 합동 (2008), 국가융합기술 발전 기본계획('09-'13)(안), 대한민국정부. 

  2. 김현민.유재욱.유종순 (2013), "정부 R&D 과제 협력요소들과 연구개발 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6(3): 695-718. 

  3. 김홍영.정선양 (2016), "정부연구개발사업 협력유형별 효율성 분석 : DEA를 활용한 순수연구 개발사업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373-382. 

  4. 배진희.오명준.김헌 (2014), "산업기술혁신사업의 성과창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7(3): 604-628. 

  5. 박기범.황정태 (2007), 융합 연구의 형성과 발전 과정의 고찰을 통한 국내 연구 현황 분석, 서울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6. 박일수.김병근 (2012), "산.연 협력 공동연구개발 과제의 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5(4): 783-814. 

  7. 박종복 (2016), "중소기업 융합활동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 논문지, 14(2): 167-175. 

  8. 산업융합발전위원회 (2012), 산업융합발전 기본계획'12-'16), 지식경제부. 

  9. 소순후 (2004), "공급사슬 파트너십의 구조적 관계모형에 대한 실증적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0. 안승구.이광훈.김권식(2016), "연구개발협력 수행체계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실증분석 : OToole & Montjoy의 조직간 집행 가설의 검증", 정부학연구, 22(1): 141-165. 

  11. 오준병.조윤애 (2004), 공동연구개발의 성공요인 분석 : 정부지원 공동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서울 : 산업연구원. 

  12. 이광호.김석현.박수경.강보라.송혜리 (2012), 융합산업의 공급가치사슬 구조 변화 및 대응 전략, 서울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3. 이광호.김승현.최종화.서지영.강지훈.이아정(2013), 융합연구사업의 실태조사와 연구개발 특성분석, 서울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4. 이봉재.박주형.이희상 (2016), "연구집단 특성이 융합연구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7(11): 410-420. 

  15. 이상원.김리라.김소연.서인경.안지원.이다영.이은지.홍윤정 (2012), "협업의 관점에서 본 통합디자인 현황과 특성",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5(3): 39-53. 

  16. 이승제 (2009), "정보기술 활용 수준이 기업 간 협업과 조직의 성과관계에 미치는 영향 : 정보 기술 활용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장덕희 (2016), "해양환경 분야의 R&D 사업 운영현황 분석과 함의 : SNA를 활용한 기관 간 연구협업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발표 논문집, 124-146. 

  18. 정도범.고윤미.김경남 (2012), "중소기업의 산학연 연구개발 (R&D) 협력과 기업 성과 분석", 기술혁신연구, 20(1): 115-140. 

  19. 정보통신전략위원회 (2014),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활성화 기본계획('14-'16), 미래창조과학부. 

  20. 조현정 (2014), "국가 R&D 사업의 국제공동연구에서 협력특성과 특허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지식재산연구, 9(1): 181-208. 

  21. 최상민.문태수 (2015), "ICT역량이 융합성과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융합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15(1): 159-175. 

  22. 최현철 (2015), "융합의 개념적 분석", 문화와 융합, 37(2): 11-30. 

  23. 황상돈.이운식 (2016), "전략지향성이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 융합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24. Argote, L. (1982), "Input Uncertainty and Organizational Coordination in Hospital Emergency Unit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7: 420-434. 

  25. Avila-Robinson, A. and Sengoku, S. (2017), "Multilevel Exploration of the Realities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Centers for the Management of Knowledge Integration", Technovation, 62-63: 22-41. 

  26. ESF (2011), European Peer Review Guide, European Science Foundation. 

  27. Gray, D. O., Lindblad, M. and Rudolph, J. (2001), "Industry-University Research Centers: A Multivariate Analysis of Member Retention", The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26(3): 247-254. 

  28. Johnson, D. W. (1975), "Cooperativeness and Social Perspective Tak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1(2): 241-244 

  29. Mattessich, P. W., Murray-Close, M. and Monsey, B. R. (2001), "Collaboration: What Makes it work" (2nd eds.), St. Paul, MN: Amherst H. Wilder Foundation. 

  30. Mentzer, J. T. and Foggin, L. G. S. (2000), "Collaboration: The Enablers, Impediments, and Benefits", Supply Chain Management Review, September/October: 52-58. 

  31. Mohr, J. and Spekman, R. (1994), "Characteristics of Partnership Success: Partnership Attributes, Communication Behavior, and Conflict Resolution Technique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5(2): 135-152. 

  32. Olson, E. M., Walker, O. C., Ruekerf, R. W. and Bonnerd, J. M. (2001), "Patterns of Cooperation During New Product Development Among Marketing, Operations and R&D: Implications for Project Performance",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18(4): 258-271. 

  33. Pinto, M. B. and Pinto, J. K. (1990), "Project Team Communication and Cross-functional Cooperation in New Program Development",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7(3): 200-212. 

  34. Roco, M. C. and Bainbridge, W. S. (2002), "Converging Technologies for Improving Human Performance: Integrating from the Nanoscale," Journal of Nanoparticle Research, 4(4): 281-2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