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천의 물리 환경성 평가체계의 적용 - 도시하천을 중심으로 -
An Application of Physico-Environmental Evaluation System of Stream - Focusing on urban streams -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0 no.1, 2017년, pp.55 - 75  

정혜련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기흥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restoration of physical stream environment by analyzing habitat variables because habitat environment is chang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waterfront space in urban streams. Assessment results of 10 habitat variables(three divisions) wer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6)를 바탕으로 하천 유형을 분류하고, 분류된 동일 하천유형 내에서도 저수로 폭을 기준으로 구분된 평가단위 구간에 대해서 평가항목 및 지표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하도경사 및 하상재료 등의 특성이 유사한 자연하천 구간과 도시하천 구간에서 하천의 물리환경 평가시스템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검토 및 분석하여 하천의 물리환경 평가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하천의 자연적인 특성과 하천 공간의 이용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한 하천의 물리환경 평가시스템의 적용성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1차적으로 대조하천인 남강을 기준으로 도시화로 교란된 하천인 갑천과 유등천을 비교하천으로 적용하여 분석, 검토하였다. 연구결과는 도시하천에서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친수공간의 조성으로 인한 서식처 환경변화를 나타내는 변수들을 분석하여 하천의 물리환경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으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물리환경 평가시스템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하천의 물리환경 평가시스템 구축을 위한 선행연구(Kim and Jung, 2015 ; Kim et al., 2016)를 바탕으로 하천 유형을 분류하고, 분류된 동일 하천유형 내에서도 저수로 폭을 기준으로 구분된 평가단위 구간에 대해서 평가항목 및 지표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하도경사 및 하상재료 등의 특성이 유사한 자연하천 구간과 도시하천 구간에서 하천의 물리환경 평가시스템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검토 및 분석하여 하천의 물리환경 평가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 하천의 하도 및 수리 특성을 반영한 하천의 물리환경 평가시스템의 적용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선행 연구에서는 독일, 영국, 미국, 호주 및 일본 등에서 적용하고 있는 하천의 분류체계를 검토하였으며, 하상경사와 하상재료 입경을 기준으로 Rosgen(1996)과 Yamamoto (1988)의 분류체계를 비교한 결과를 Figure 2 및 Figure 3에 제시하였다(Kim and Jung, 2015).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개발 중인 하천의 물리환 경평가시스템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대조 하천 남강을 기준으로 비교하천인 갑천 및 유등천에 대한 조사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Yamamoto 의 하천분류체계를 적용한 결과 남강과 유등천은 Segment 1과 2로 분류되었으며, 갑천은 Segment 2로 분류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의 물리 환경을 진단하고 평가시 하천을 어떻게 분류하여야 하는가? 하천의 수리 및 하도 특성으로 대표되는 물리 환경(하도 및 수리 특성)은 생태계 기반으로서 수질특성과 더불어 생물에 미치는 영향이 아주 크다. 따라서 하천의 물리 환경을 진단하고 평가하고자 할 경우, 하천 상․중․하류의 위치에 따른 하도의 지형학적 특성과 유역의 규모에 따른 하천의 규모 및 유량의 크기 등에 따라 하천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유형별 특성에 따라 하천환경의 평가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하천환경의 평가시스템에서는 하천유 형을 구분하는 것이 1차적인 과제이므로 하천 분류체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국내 하천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하천유형을 구분하는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하천환경의 평가시스템의 1차적인 과제는 무엇인가? 따라서 하천의 물리 환경을 진단하고 평가하고자 할 경우, 하천 상․중․하류의 위치에 따른 하도의 지형학적 특성과 유역의 규모에 따른 하천의 규모 및 유량의 크기 등에 따라 하천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유형별 특성에 따라 하천환경의 평가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하천환경의 평가시스템에서는 하천유 형을 구분하는 것이 1차적인 과제이므로 하천 분류체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국내 하천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하천유형을 구분하는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하천의 물리 환경을 진단하고 평가시 하천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유형별 특성에 따라 하천환경의 평가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천의 수리 및 하도 특성으로 대표되는 물리 환경(하도 및 수리 특성)은 생태계 기반으로서 수질특성과 더불어 생물에 미치는 영향이 아주 크다. 따라서 하천의 물리 환경을 진단하고 평가하고자 할 경우, 하천 상․중․하류의 위치에 따른 하도의 지형학적 특성과 유역의 규모에 따른 하천의 규모 및 유량의 크기 등에 따라 하천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유형별 특성에 따라 하천환경의 평가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Davis, W.M. 1899. The geographical cycle. The Geographical Journal. 14: 481-504. 

  2. Montgomery, D.R. and Buffington, J.M. 1997. Channel-reach morphology in mountain drainage basin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596-611 

  3. EPA. 2004. Field operation manual. EPA 841-B-04-004. 

  4. EPA. 2004. Field operation manual. EPA 841-B-04-004. 

  5. Ferguson, R.I. 1987. Hydraulic and sedimentary controls of channel pattern. In, K.S. Richardson (ed.), River Channels. Blackwell, London, UK.: 129-158. 

  6. Horton, R.E. 1945. Erosional development of streams and their drainage basins: Hydrophysical approach to quantitative morphology. Bulletin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56: 277-370. 

  7. KICT. 2007. Developement of multi-functional river restoration techniques. KICT 2007-122 : 32-6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8. Kim DC and Park IS. 1999. A study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stream naturalness for ecological environment restoration of stream corridor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7(3): 123-13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9. Kim KH. 2008. Assessment of physical river disturbance in Namgang-dam downstrea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2(3): 83-9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0. Kim KH. 2009. Assessment of physical river disturbances by river improvement; Case study of Nam River and Youngcheon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1(3): 74-8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1. Kim KH and Jung HR. 2015. An Application of Stream Classification Systems in the Nam River, Korea.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2(2): 118-12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2. Kim KH.Lee HR and Jung HR. 2016. An analysis on geomorphic and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dominant discharge in Nam River.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9(1): 83-9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3. Lane, E.W. 1957. A Study of the Shape of Channels Formed by Natural Streams Flowing in Erodible Materials. Missouri River Division Sediment Series No.9, U.S. Army Engineer Division, Missouri River, Corps of Engineers, Omaha, Nebraska, USA: 13-38. 

  14. LAWA(Laenderarbeitsgemeinschaft Wasser). 2004. Gewaesserstrukturguetekartierungin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 Uebersichtsverfahren, Berlin, Germany. (in German) 

  15. Leopold, L.B. and Wolman, M.G. 1957. River channel patterns: braiding, meandering and straight. U.S. Geological Survey Professional Papers 282b: 39-85. 

  16. L.B. Leopold, M.G. Wolman, J.P. Miller(1964), Fluvial Processes in Geomorphology, Freeman, San Francisco, CA (1964): 522. 

  17. Montgomery, D.R. and Buffington, J.M. 1993. Channel Classification, Prediction of Channel Response, and 10. 

  18. Park BJ.Shin JI and Jung KS. 2005. The evaluation of river naturalness for biological habitat restoration : II. Application of evaluation method.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8(1): 37-48. 

  19. Parsons, M., Thoms, M. and Norris, R. 2002. Australian River Assessment System: Aus-RivAS Physical Assessment Protocol. Monitoring River Heath Initiative Technical Report no 22, Commonwealth of Australia and University of Canberra, Canberra, Australia. 

  20. Rosgen, D.L. 1994. A classification of natural rivers. Catena 22: 169-199. 

  21. Rosgen, D.L. 1996. Applied River Morphology. John Wiley & Sons, Chichester, UK. 

  22. SEPA. 2003. Field Survey Guidance Manual: 2003 Version. Scottish Environment Protection Agency, Environmental Agency, Bristol, UK. 

  23. Strahler, A.N. 1952. Hypsometric (area-altitude) analysis of erosional topography. Bulletin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63: 1117-1142. 

  24. Thorne, C.R. 1997. Channel types and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In, C.R Thorne, R.D. Hey and M.D. 

  25. Yamamoto, K. 1988. Channel Specific Analysis. Public Works Research Institute Report 1394.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