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갈하천의 하상재료분석을 위한 화상해석법 적용: 남강을 중심으로
An application of image processing technique for bed materials analysis in gravel bed stream: focusing Namgang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1 no.8, 2018년, pp.655 - 664  

김기흥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  정혜련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상재료 조사는 유사량 계산 및 하상변동과 같은 하도 계획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서 입도분포, 비중, 다공성 등을 조사하는 것이다. 원칙적으로, 조사 지점은 하천 종단 방향으로 1 km 간격이고 하나의 횡단면에 3 개 이상이다. 따라서 조사 대상 하천의 종단 길이에 따라 조사 지점이 아주 많아지기 때문에 조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상당히 증가한다. 본 연구는 입도분석법인 체적법과 화상해석법의 작업 효율성과 비용을 비교하고, 화상해석법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화상해석법에 의하여 환산된 등가원의 직경이 하상재료 입도분석에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체적법과 화상해석법의 작업효율성과 비용을 분석한 결과 약 80%의 절감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iverbed material survey is to investigate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specific gravity, porosity, etc. as basic data necessary for river channel plan such as calculation of sediment transport and change of river bed. In principle, the survey spots are 1 km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동일 하상재료를 사용하여 작성한 중량 및 표면적 기준의 입도분포곡선을 작성하고 대표입경을 산출한 결과 대표입경에 큰 차이는 없었기 때문에 화상해석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자갈하천의 경우 실무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기존의 중량 기준의 입경분석법 보다는 표면적 기준의 입경분석법을 적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 본 연구는 자갈하천의 하상재료 조사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면적격자법과 화상해석법을 병용하는 하상재료 조사법의 적용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하상재료 분석 시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기법을 실무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검토한 것이며, 실험실에서 체분석에 의한 입도분석이 곤란한 평균입경 100 mm 이상의 자갈 하천을 대상으로 공개 소프트웨어인 ImageJ를 이용하여 하상재료의 입경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하상재료 조사의 효율향상, 비용절감을 위한 방안으로 디지털 이미지 처리기법에 의한 입도분석 방법의 가능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갈하천인 남강 12개 지점, 왕피천 9개 지점 및 섬진강2개 지점을 선정하고 하상재료 분석 절차에 따라 수행함에 있어서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기준으로 실무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하상재료 분석 시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기법을 실무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검토한 것이며, 실험실에서 체분석에 의한 입도분석이 곤란한 평균입경 100 mm 이상의 자갈 하천을 대상으로 공개 소프트웨어인 ImageJ를 이용하여 하상재료의 입경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하상재료 조사의 효율향상, 비용절감을 위한 방안으로 디지털 이미지 처리기법에 의한 입도분석 방법의 가능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또한 입경가적곡선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하상재료의 체적과 무게가 필요하다. 그래서 일반적인 하상재료의 형상을 회전타원체로 간주하여 회전축방향의 직경은 계측된 최대입경, 회전축에 직각방향의 직경은 계측된 최소입경으로 가정하고, 각 하상재료의 체적을 추정할 수 있다.
  • 기존의 체분석은 임의두께로 채취한 재료의 입도분포를 구하는 것이며, 여기에서 제안하는 이미지 분석 기술은 표면에 보이는 재료의 입도 분포를 구하는 것이지만, 양자는 상관이 있다는 가설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Masato et al.
  • , 2001). 또한, 표층샘플링에서는 입도분포가 연직방향으로 균일하다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면적격자법, 선격자법으로서 조사한 결과는 개수(個數)밀도를 누가 하는 것으로서 용적샘플링법에 있어서 입경누가곡선에 일치하지만 그 점에 관해서는 연직방향의 불균일성은 검정되지 않고 있다.
  • 모든 입자가 동일한 화상에 있기 때문에, 입자의 형상 특성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등가원의 직경 d는 Eq.
  • 따라서 하상재료의 표면적을 추출하여 등가원의 면적으로 환산한 후 직경을 산정한다. 화상의 하상재료는 소류력에 의하여 가장 안정한 형태로 하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장축과 중축으로 이루어진 표면이 촬영된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화상에서 하상재료의 윤곽선으로 이루어진 폐곡선에서 측정된 면적으로부터 하상재료의 표면적과 같은 등가원의 직경을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상재료의 분석결과가 불일치하거나 신뢰성의 저하가 일어나는 이유는? 하천사업과 관련된 계획 및 설계에서는 하상재료조사를 수행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체분석 방법에만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하상재료의 종단적 분포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체분석이 가능한 지점의 하상재료를 채취하여 분석함으로써 수리계산에서 적용되는 조도계수와 하상재료 분석결과가 불일치하거나 하상변동예측 결과의 신뢰성도 저하되는 것이 현실이다.
하상재료 조사는 무엇인가? 하상재료 조사는 유사 이동량이나 하상변동 계산 등 하도의 계획 ․ 설계에 필요한 하도특성의 나타내는 자료로서 입도 분포, 비중 및 공극률 등의 조사를 수행하는 것이다. 하상재료의 입도 특성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현지 조사, 시료 채취, 운반, 건조 및 실험실에서 체분석까지 상당한 비용과 시간을 필요로 하는 작업이다.
큰 입경이 혼합 분포하는 하상에서 사용하는 자갈하천의 하상재료조사법의 특징은? 자갈하천의 하상재료조사법은 용적샘플링법과 표층샘플링의 2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호박돌(64~256 mm)과 같이 큰 입경이 혼합 분포하는 하상에서 용적샘플링법은 재료채취의 관점에서 적절한 방법이라고 할 수 없으므로 표층샘플링법이 이용되고 있다. 표층샘플링법은 면적격자법, 선격자법, 평면채취법 및 사진측정법으로 분류되며, 실제적으로는 면적격자법과 선격자법이 이용되는 데 그 차이는 주로 격자 설정방법이다(Kristin et al., 2001). 또한, 표층샘플링에서는 입도분포가 연직방향으로 균일하다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면적격자법, 선격자법으로서 조사한 결과는 개수(個數)밀도를 누가 하는 것으로서 용적샘플링법에 있어서 입경누가곡선에 일치하지만 그 점에 관해서는 연직방향의 불균일성은 검정되지 않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utler, J. B., Lane, S. N., and Chandler, J. H. (2001). "Automated extraction of grain-size data from gravel surfaces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ol. 39, No. 5, pp. 519-529. 

  2. Cho, W. S. (2014). Analysis of grain-size distribution of gravel river bed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Master's thesis. dissertation, Dong-eni University, pp. 43-71. 

  3. Church, M. A., McLean, D. G., and Wolcott, J. F. (1987). "River bed gravels: sampling and analysis." Sediment transport in gravel-bed rivers, Edited by Thorne, C. R., Bathurst, J. C., and Hey, R. D., John Wiley & Sons, Chichester, pp. 43-78. 

  4. Hwang ,T. J., Jin, C. S., Min, T. K., and Kim, C. Y. (2005).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alysis for granular material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25, No. 4c, pp. 259-266. 

  5. Hwang, T. J. (2007). A study o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alysis for large aggregate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p. 106-128. 

  6. Hwang, T. J., Cho, J. Y., and Lee, K. H. (2010). "Gradation curve of aggregate using digital image process."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0, No. 2, pp. 31-37. 

  7. John, A. (1979). "Gravel size analysis from photographs." Journal of the Hydraulics Division, Vol. 105, No. 10, pp. 1247-1255 

  8. Kellerhals, R., and Bray, D. I. (1970). "Sampling procedures for coarse fluvial sediment." Proceedings Hydraulic Division Specialty Conference, ASCE, Minneopolis, p. 31. 

  9. Kim, K. H., Lee, H. R., and Jung, H. R. (2016). "An analysis on geomorphic and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dominant discharge in Nam river."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9, No. 1, pp. 83-9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0. Korea Construction Materials Inspection Company (2017). Test method for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soils (KS F 2302). accessed 11 May 2018, . 

  11. Korea Engineering & Consulting Association (KECA)(2008). Standard of water-resources development estimate (River), Standard of estimate, Vol. 11, pp. 25-30. 

  12.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2009). River design criteria, pp. 88-89. 

  13. Kristin, B., and Steven R. A. (2001). Sampling surface and subsurface particle-size distributions in wadable gravel and cobble-bed streams for analyses in sediment transport, hydraulics, and streambed monitoring. General Technical Report RMRS-GTR-74, USDA. 

  14. Lane, E. W. (1947). "Report of the subcommittee on sediment terminology,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28, No. 6, pp. 936-938. 

  15. Lane, E. W., and Carlson, E. J. (1953). "Some factors affecting the stability of cannais constructed in coarse granu-lar materials." Proceedings Minnesota, International Hydraulic Convention, IAHR, pp. 37-48. 

  16. Leopold, L. B. (1970). "An improved method for size distribution of stream bed gravel."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6, No. 5, pp. 1357-1366 . 

  17. Litter (1969). Photographic science and engineering. 

  18. Lucas, H. J., and Strom, K. B. (2007). Comparison of automated grain sizing of gravel beds using digital images to standard grid and random-walk pebble counts. 

  19. Masato U., Hajime, N., Toyoaki S., Koji, Y., Mitsuaki, U., and Yoshinori, F. (2005). "Development of a measuring system for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gravel-bed rivers by using an image processing technique." Journal of Erosion Control Engineering, Vol. 58, No. 2, pp. 26-31. 

  20. Rubin, D. M. (2004). "Asimple autocorrelation algorithm for determining grain size from digital images of sediment."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Vol. 74, No. 1, pp. 160-165. 

  21. Takuya, O., Noriyuki, K., Hidehiro, K., Yasunori, H., Masaru, K., Tsuyoshi, A., and Takeshi, Y. (2000). "Possibility of bed material investigation using image analysis." Advances in River Engineering, No. 6, pp. 351-356 (in Japanese). 

  22. Tiago, F., and Wayne, R. (2012). ImageJ user guide. http://fiji.sc/guide.git. 

  23. Wolmon, M. G. (1954). "A method of sampling coarse river-bed material."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35, No. 6, pp. 951-956. 

  24. Yoo, B. N. (2016). Automated grain sizing of river gravels using image processing. Master's thesis, dissertation, Dong-eni University, pp. 27-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