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하천 하구(남해 당항포)에서 자연적, 인위적 요인이 영양염 분포에 미치는 영향
Characteristics of Nutrient Distribution by the Natural and Artificial Controlling Factors in Small Stream Estuary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2 no.1, 2017년, pp.1 - 17  

강성찬 (부산대학교 해양학과) ,  박소현 (부산대학교 해양학과) ,  안순모 (부산대학교 해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하천 하구의 영양염 분포를 조절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남해안 당항포에 위치한 세 하천(닫힌 하구: 고성천, 열린 하구: 구만천, 마암천)에서 2010-12년까지 계절별로 영양염(질산염, 암모늄, 인산염) 농도를 측정하였다. 고성천의 댐은 담수의 희석을 막고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높은 영양염 농도의 원인이 되어 인위적인 요인이 소하천 하구의 영양염 분포에 중요함을 나타내었다. 그 외에 물리, 기후, 생지화학적 요인이 세 하천 영양염 분포에 영향을 주었다. 세 하천 모두에서 질산염은 상류에서 높고 하류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이것은 상류 집수역에서 공급이 많고, 하류로 갈수록 희석 및 하구 내 생지화학적 과정에 의한 제거가 활발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특히 탈질소화 등 대표적인 생지화학적 질소영양염 제거과정은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그러나 암모늄과 인산염은 하천에서 유입되는 농도가 높은 경우에만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농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영양염 농도의 계절 분포는 여름철에 낮고, 겨울철에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여름철 유량으로 인해 체류시간이 감소하였고, 희석 증가로 하천 내 영양염 농도를 감소시켰으며, 높은 수온으로 인한 생물 생산에 의한 영양염 제거 역시 낮은 영양염 농도에 영향을 주었다. 소하천 하구는 높은 질소제거율(-k) 을 가지는 등 대형하구와는 구별되는 영양염 거동을 보이며 향후 소하천 하구 관리를 위해서는 이러한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utrient distribution and controlling factors in small stream estuaries. The seasonal variations of nutrient concentration (nitrate, ammonium and phosphate) were observed from 2010 to 2012 in the three streams located in Dang-hang (closed estuary: Go-seo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남해 당항포에 위치한 소하천 세지역에서 하구 내 영양염 분포를 알아보고, 영양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자연적인 요인과 인위적인 요인들로 구분하여 이들 요인에 의한 영양염 분포패턴을 파악하였다. 또한 이들 소하천에서의 영양염 분포와 대형 하구와의 비교를 통해 하구 규모에 따라 제거되는 영양염의 거동을 추정하였다.
  • 소하천의 경우 담수유입량의 급격한 변화, 짧은 체류시간, 자연적 인위적 변화에 대한 취약성 등, 대형하천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영양염 순환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질소순환의 필수적인 과정인 탈질소화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대형하천과 비교함으로써 소하천의 특성 규명을 시도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남해에 위치한 세 개의 소하천 하구의 영양염 거동을 이해하는 것이다. 인공 구조물(방조제)이 없는 열린 하구와 방조제가 있는 닫힌 하구에서 수층 영양염 및 탈질소화 자료를 이용하여 소하천 하구의 영양염 분포를 결정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 (2004)의 탈질소화 이용 속도(Denitrification uptake velocity, Vf,dn)는 수층의 질산염 분자가 퇴적층으로 수직적으로 이동하는 속도로, 퇴적층에서 탈질소화에 의한 질산염 제거 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수층 질산염의 이용가능성에 비례하여 저층 퇴적물에서 발생되는 탈질소화의 효율성을 나타낸 것이다. 질산염 제거율(Nitrate loss rate, -k)은 질산염 유입량에 따른 탈질소화 제거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외부에서 질산염 공급 및 질산화 과정이 없다고 가정하였을 때, 탈질소화에 의한 질산염 제거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가설 설정

  • 소하천은 계절별 유량의 급격한 차이, 짧은 체류시간, 자연적 인위적 변화에 취약한 지역으로 대형 하구와 다른 영양염 순환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수심이 낮아 퇴적층에서 영양염 제거율이 높을 것이다. 하천의 규모와 인위적인 구조물에 따른 영양염 순환을 알아보기 위해 소하천인 연구지역의 마암천과 고성천 하구, 대형하천인 섬진강(국토해양부, 2009)과 영산강(국토해양부, 2013)하구에서 영양염 특성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질소순환의 필수과정이자, 퇴적층에서 질산염 제거기작인 탈질소화의 상태적 기여도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탈질소화에 의한 질소 영양염 제거는 하구에서 일차생산을 조절할 수 있는 이유는? , 2004; 허 등, 2011; 이 등, 2012). 탈질소화는 하천 내에서 일차생산에 이용되는 질소 영양염(Reactive nitrogen)을 완전히 제거하기 때문에 탈질소화에 의한 질소 영양염 제거는 하구에서 일차생산을 조절할 수 있다(Groffman and Crawford, 2003; Royer et al., 2004; Mulholland et al.
Nutrient Spiraling Metrics이란? 7). Nutrient Spiraling Metrics란 수층의 영양염이 하류로 이동하면서 영양염 순환(Nutrient cycle)과정을 겪는데, 이러한 과정을 단위면적 또는 부피를 기준으로 정량화한 것이다(Newbold, 1992; Ensign and Doyle, 2006). 본 연구에 사용될 공식은 Newbold (1992)의 계산법을 변형한 것으로 하천에서 무기질소를 제거하는 대표 기작인 탈질소화만을 고려하여 질산염 이용 속도 및 제거율을 사용하였다(Herbert, 1999; Groffman and Crawford, 2003; Royer et al.
이미 많은 하구에서 생지화학적 순환이 바뀌어 하구 생태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인 영양염 농도 및 분포가 조절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이해는 향후 생태계 변화를 예측하는데 필수적인 이유는? 육지와 해양의 점이지대에 위치한 하구역은 육상으로부터 유입된 담수가 해수와 혼합되면서 물리, 화학, 생물학적으로 다른 환경과 구분되는 고유한 환경 특성을 나타낸다(Fairbridge, 1980; Sharp et al., 1982). 하지만 이러한 하구역은 인접지역의 급격한 도시화 및 공업화에 따라 육상으로부터 물질 유입이 크게 증가했고, 수자원 확보 및 홍수 방지 등의 목적으로 여러 인공구조물이 건설되어 담수와 해수 교환 및 유동이 변하였다(Jickells, 1998; 안 등, 2011; Chang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1)

  1. 건설교통부, 1993. 죽천천.고성천.진전천.연초천 하천정비기본계획. 

  2. 경상남도, 2008. 마암천.구만천.수양천 하천정비기본계획. 

  3. 국토해양부, 2009. 하구역 관리체제 구축연구(III)-섬진강 하구-. 

  4. 권기영, 문창호, 이재성, 양성렬, 박미옥, 이필용, 2004. 섬진강 하구역에서 영양염의 하구내 거동과 플럭스. 한국해양학회지, 9(4): 153-163. 

  5. 기상청, 기상년도 각년도. 

  6. 김규범, 황동운, 류재웅, 이용우, 2005. 한반도 연안 해역에서 해저 지하수 유출의 환경 생태학적 중요성. 한국해양학회지, 10(4): 204-212. 

  7. 김동선, 김경희, 2009. 황해 근소만 조간대 퇴적물에서 인산염 흡착이 저층플럭스에 미치는 영향. Ocean and Polar Research, 31(3): 247-255. 

  8. 김진호, 한국헌, 이종식, 2008. 농촌유역의 강우사상별 농업 비점원오염물질 유출특성. 한국물환경학회지, 24(1): 69-77. 

  9. 신은성, 최지용, 이동훈, 2001. 농업지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물환경학회지, 17(3): 299-311. 

  10. 안순모, 이상룡, 최재웅, 2011. 하구 생태 복원을 위한 생태구역 구분; 남해 고성만 고성천 인근 하구의 예.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6(2): 70-80. 

  11. 안태웅, 범봉수, 김태훈, 최이송, 오종민, 2013. 불투수성 지역의 강우유출수에 대한 비점오염물질의 초기유출현상 분석. 대한환경공학회지, 35(9): 643-653. 

  12. 양재삼, 정용훈, 지광희, 김현수, 최정훈, 김원장, 2008. 새만금 방조제 체절 이후 초기의 수질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11(4): 199-213. 

  13. 양재삼, 정주영, 허진영, 이상호, 최진용, 1999. 금강하구의물질수지 1. 영양염의 계절적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4(4): 71-79. 

  14. 양해근, 2006. 강우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곡성천 상.하류를 대상으로. 대한지리학회지, 41(4): 418-434. 

  15. 이지영, 2009. 연안과 심해 퇴적물에서 질산염 환원과정의 중요성. 이학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부산. 

  16. 이지영, 권지남, 안순모, 2012. 낙동강 하구 갯벌 퇴적물에서 강을 통한 질산염 우입에 따른 질소순환의 계절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7(2): 120-129. 

  17. 정하영, 조경제, 2003. 낙동강 하류 수계에서 저질퇴적층의 SOD와 영양염 용출. 한국하천호수학회지, 36(3): 322-335. 

  18. 해양수산부. (2014). 하구역 종합관리시스템 개발연구. 

  19. 허낙원, 이지영, 최재웅, 안순모, 2011. 남해안 주요 하구 갯벌 퇴적물의 탈질소화를 통한 질소 영양염 제거.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6(2): 81-96. 

  20. 현정호, 정경호, 박용철, 최중기, 1999. 한강기수역에서의 암모늄 제거율 변화 및 질산화의 잠재적 역할.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4(1): 33-39. 

  21. Alexander R.B., R.A. Smith and G.E. Schwarz, 2000. Effect of stream channel size on the delivery of nitrogen to the Gulf of Mexico. Nature, 403: 758-761. 

  22. An, S. and S.B. Joye, 2001. Enhancement of coupled nitrification-denitrification by benthic photosynthesis in shallow estuarine sediments. Limnology and Oceanography, 46(1): 62-74. 

  23. Arheimer, B. and R. Liden, 2000. Nitrogen and phosphorus concentrations from agricultural catchments-influence of spatial and temporal variables. Journal of Hydrology, 227(1): 140-159. 

  24. Billen, G., M. Somville, E.D. Becker and P. Servais, 1985. A nitrogen budget of the Scheldt hydrographical basin. Netherlands Journal of Sea Research, 19(3): 223-230. 

  25. Brin, L.D., A.E. Giblin and J.J. Rich, 2014. Environmental controls of anammox and denitrification in southern New England estuarine and shelf sediments. Limnol. Oceanogr, 59(3): 851-860. 

  26. Chang, W.K., J. Ryu, Y. Yi., W.C. Lee, C.W. Lee, D. Kang, C.H. Lee, S. Hong, J. Nam and J.S. Khim, 2012. Improved water quality in response to pollution control measures at Masan Bay,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64(2): 427-435. 

  27. Clavero, V., J.J. Izquierdo, J.A. Fernandez and F.X. Niell, 2000. Seasonal fluxes of phosphate and ammonium across the sediment-water interface in a shallow small estuary (Palmones River, southern Spain).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198: 51-60. 

  28. Cooper, A.B. and J.G. Cooke, 1984. Nitrate loss and transformation in 2 vegetated headwater streams. New Zealand Journal of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18(4): 441-450. 

  29. Cowan, J.L.W., J.R. Pennock and W.R, Boynton, 1996. Seasonal and interannual patterns of sediment-water nutrient and oxygen fluxes in Mobile Bay, Alabama (USA): regulating factors and ecological significance.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Oldendorf, 141(1): 229-245. 

  30. Day, J.H., 1989. Estuarine ecology. Wiley, 106-109 pp. 

  31. Ensign, S.H. and M.W. Doyle, 2006. Nutrient spiraling in streams and river network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Biogeosciences (2005-2012), 111(G4). 

  32. Fairbridge, R.W., 1980. The estuary: its definition and geodynamic cycle. Chemistry and biogeochemistry of estuaries, wiley, 1136 pp. 

  33. Fear, J.M., S.P. Thompson, T.E. Gallo and H.W. Paerl, 2005. Denitrification rates measured along a salinity gradient in the eutrophic Neuse River Estuary, North Carolina, USA. Estuaries, 28(4): 608-619. 

  34. Giblin, A.E., N.B. Weston, G.T. Banta, J. Tucker and C.S. Hopkinson, 2010. The effects of salinity on nitrogen losses from an oligohaline estuarine sediment. Estuaries and Coasts, 33(5): 1054-1068. 

  35. Groffman, P.M. and M.K. Crawford, 2003. Denitrification potential in urban riparian zones.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32(3): 1144-1149. 

  36. Gumbricht, T., 1993. Nutrient removal processes in freshwater submersed macrophyte systems. Ecological Engineering, 2(1): 1-30. 

  37. Hathaway, J.M., R.S. Tucker, J.M. Spooner and W.F. Hunt, 2012. A traditional analysis of the first flush effect for nutrients in stormwater runoff from two small urban catchments. Water, Air, & Soil Pollution, 223(9): 5903-5915. 

  38. Herbert, R.A., 1999. Nitrogen cycling in coastal marine ecosystems. FEMS microbiology reviews, 23(5): 563-590. 

  39. Herrman, K.S., V. Bouchard and R.H. Moore, 2008. Factors affecting denitrification in agricultural headwater streams in Northeast Ohio, USA. Hydrobiologia, 598(1): 305-314. 

  40. Hobbie, J.E., 2000. Chesapeake Bay eutrophication model. In estuarine science: A synthetic approach to research and practice. ISLAND PRESS, 363-404 pp. 

  41. Hu, J. and S. Li, 2009. Modeling the mass fluxes and transformations of nutrients in the Pearl River Delta, China. Journal of Marine Systems, 78(1): 146-167. 

  42. Huang, Q., H. Shen, Z.,Wang, X. Liu and R. Fu, 2006. Influences of natural and anthropogenic processes on the nitrogen and phosphorus fluxes of the Yangtze Estuary, China. Regional Environmental Change, 6(3): 125-131. 

  43. Jickells, T.D., 1998. Nutrient biogeochemistry of the coastal zone. Science, 281(5374): 217-222. 

  44. Jones, M.N., 1984. Nitrate reduction by shaking with cadmium: alternative to cadmium column. Water Research, 18(5), 643-646. 

  45. Kaul, L.W. and P.N Froelich, 1984. Modeling estuarine nutrient geochemistry in a simple system.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48(7): 1417-1433. 

  46. Lee, J. and S. An, 2015. Effect of dikes on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hragmites australis in temperate intertidal wetlands located in the South Sea of Korea. Ocean Science Journal, 50(1): 49-59. 

  47. Lee, J.H. and K.W. Bang, 2000. Characterization of urban stormwater runoff. Water Research, 34(6): 1773-1780. 

  48. Li, L.Q., C.Q. Yin, Q.C. He and L.L. Kong, 2007. First flush of storm runoff pollution from an urban catchment in Chin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19(3): 295-299. 

  49. Liu, S.M., G.H. Hong, J. Zhang, X.W. Ye and X.L. Jiang, 2009. Nutrient budgets for large Chinese estuaries. Biogeosciences, 6(10): 2245-2263. 

  50. Liu, S.M., J. Zhang, H.T. Chen, Y. Wu, H. Xiong, and Z.F. Zhang, 2003. Nutrients in the Changjiang and its tributaries. Biogeochemistry, 62(1): 1-18. 

  51. Malecki, L.M., J.R. White and K.R. Reddy, 2004. Nitrogen and phosphorus flux rates from sediment in the lower St. Johns River estuary.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33(4): 1545-1555. 

  52. McColl, R.H.S, 1974. Self-purification of small freshwater streams: phosphate, nitrate, and ammonia removal. New Zealand journal of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8(2): 375-388. 

  53. Moon, C.H., 1989. Studies on the Phytoplankton and Nutrients in the Yeosu Haeman. Bull. Korean. Fish. Soc. 22(6): 408-414. 

  54. Mulholland, P.J., A.M. Helton, G.C. Poole, R.O. Hall, S.K. Hamilton, B.J. Peterson, J.H. Tank, L.R. Ashkenas, L.W. Cooper, C.N. Dahm, W.K. Dodds, S.E.G. Findlay, S.V. Gregory, N.B. Grimm, S.L. Johnson, W.H. McDowell, J.L. Meyer, H.M. Valett, J.R. Webster, C.P. Arango, J.J. Beaulieu, M.J. Bernot, A.J. Burgin, C.L. Crenshaw, L.T. Johnson, B.R. Niederlehner, J.M. O'Brien, J.D. Potter, R.W. Sheibley, D.J. Sobota and S.M. Thomas, 2008. Stream denitrification across biomes and its response to anthropogenic nitrate loading. Nature, 452(7184): 202-205. 

  55. Newbold, J.D., 1992. Cycles and spirals of nutrient. The Rivers Handbook (Vol. 1), CalowP, PettsGE (eds). Blackwell Science: Oxford, UK; 379-408 pp. 

  56. Newbold, J.D., J.W. Elwood, R.V. O'Neill and W.V. Winkle, 1981. Measuring nutrient spiralling in streams.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38(7): 860-863. 

  57. Nielsen, L.P., 1992. Denitrification in sediment determined from nitrogen isotope pairing. FEMS Microbiology Ecology, 9(4): 357-361. 

  58. Pacini, N. and R. Gachter, 1999. Speciation of riverine particulate phosphorus during rain events. Biogeochemistry, 47(1): 87-109. 

  59. Peterson, B.J., W.M., Wollheim, P.J. Mulholland, J.R. Webster, J.L. Meyer, J.L. Tank, J.L. Tank, E. Marti, W.B. Bowden, H.M. Valett, A.E. Hershey, W.H. McDowell, W.K. Dodds, S.K. Hamilton, S. Gregory and Morrall, D.D., 2001. Control of nitrogen export from watersheds by headwater streams. Science, 292(5514): 86-90. 

  60. Rendell, A.R., T.M. Horrobin, T.D. Jickells, H.M. Edmunds, J. Brown and S.J. Malcolm, 1997. Nutrient cycling in the Great Ouse estuary and its impact on nutrient fluxes to The Wash, England.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45(5): 653-668. 

  61. Royer, T.V., J.L. Tank and M.B. David, 2004. Transport and fate of nitrate in headwater agricultural streams in Illinois.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33(4): 1296-1304. 

  62. Sanders, R.J., T. Jickells, S. Malcolm, J. Brown, D. Kirkwood, A. Reeve, J. Taylor, T. Horrobin and C. Ashcroft, 1997. Nutrient fluxes through the Humber estuary. Journal of Sea Research, 37(1): 3-23. 

  63. Schaller, J.L., T.V. Royer, M.B. David and J.L. Tank, 2004. Denitrification associated with plants and sediments in an agricultural stream. Journal of the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23(4): 667-676. 

  64. Seitzinger, S.P., 1988. Denitrification in freshwater and coastal marine ecosystems: ecological and geochemical significance. Limnology and Oceanography, 33(4): 702-724. 

  65. Sharp, J.H., C.H. Culberson, and T.M. Church, 1982. The chemistry of the Delaware estuary. General considerations. Limnology and Oceanography, 27(6): 1015-1028. 

  66. Sharp, J.H., J.R. Pennock, T.M. Church, J.M. Tramontano, and L.A. Cifuentes, 1984. Estuarine Interaction of Nutrients, Organics, and Metals: A Case Study in the Delaware Estuary. The Estuary as a Filter, Academic Press, Orlando FL. 1984. NA 80 AA-D-00106. 241-258 pp. 

  67. Shen, Z.L. and Q. Liu, 2009. Nutrients in the changjiang river.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153(1-4): 27-44. 

  68. Strickland, J.D.H. and T.R. Parsons, 1972. A practical handbook of seawater analysis. Fisheries Research Board of Canada, Ottawa, 310. 

  69. Utley, B.C., G. Vellidis, R. Lowrance and M.C. Smith, 2008. Factors Affecting Sediment Oxygen Demand Dynamics in Blackwater Streams of Georgia's Coastal Plain1. JAWRA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4(3),: 742-753. 

  70. Wall, L.G., J.L. Tank, T.V. Royer and M.J. Bernot, 2005.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in sediment denitrification within an agriculturally influenced reservoir. Biogeochemistry, 76(1): 85-111. 

  71. Zhang, J., 1996. Nutrient elements in large Chinese estuaries. Continental Shelf Research, 16(8): 1023-10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