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속눈썹디자인에 따른 눈 형태의 이미지변화 연구
A Study on the Image Changes of an Eye Shape according to Eyelash Design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21 no.1, 2017년, pp.58 - 73  

박정신 (중부대학교 미용분장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eed of the eyelash design area and the changes of an eye image according to eyelash design. Methodology included both a theoretical research and an empirical research. The theoretical research reviewed previous researches and technical books. The empir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속눈썹 디자인이 눈의 형태를 변화시키거나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속눈썹과 관련한 연구는 속눈썹의 기능 및 구조를 중심으로 한 연구이거나 안전에 관한 연구가 있을 뿐 디자인관련 연구는 없다. 이에 본 연구자는 속눈썹의 디자인 영역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과 함께 속눈썹 디자인에 따른 눈 형태의 이미지 변화를 살펴보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속눈썹 디자인의 효과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속눈썹 디자인의 효과로는 본래의 속눈썹과 구별이 어려울 정도의 정교함으로 깊고 그윽한 눈매로서의 완성이 가능하며(Yang, 2015), 동양인의 처진 속눈썹 상승효과와 함께 선명하고 진한 속눈썹에 의한 아이라인 효과, 인상형 성의 중요한 요인이 되는 눈 형태의 결점을 보완함으로써 좋은 인상으로의 얼굴 이미지 상승효과가 있다. 즉, 특정 부위에 국한되게 행하는 시술이지만 얼굴 전체적인 이미지 변화의 계기를 갖는다는 점에서 자신감을 상승시켜주는 효과가 매우 크다고 하겠다.
속눈썹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속눈썹 디자인이란 가속눈썹(인조 속눈썹)으로 얼굴의 이미지에 가장 적절하게 증모나 연장기법으로 디자인하는 것을 말하며, 아이메이크업의 범주에 포함된다.
C컬은 어떤 경우에 주의가 필요한가? 또한 기존 속눈썹에 마스카라를 한 듯 속눈썹이 눈에 띄게 증가한 느낌을 줄 수 있어 극적 분위기 연출에는 효과적이고, 눈꼬리가 안으로 잠겨있거나 길이가 짧은 눈썹에 적절하다. 그러나 눈 두덩이가 속눈썹을 누르고 있는 경우나 눈매가 깊거나 눈꺼풀이 무겁게 내려온 경우에는 컬이 눈 주위의 피부에 닿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할 뿐 아니라 급격하게 높이 꺾이는 컬이다 보니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ea, I., Kim, Y. (2007). The Study on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Domestic and Foreign Eye Shadow, Journu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3(2) .429-438. 

  2. Jang M, Lee S, Kang K, Lee G & Jun Y, (2014). eyelash design, Seoul: ChungkuMunwhasa, 39. 

  3. Kim, J. (2008). Eyes & Eyebrow Shape Analysis of Adult Women for Application of Eye Make-Up, Journu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4(1), 201-224. 

  4. Kang, M. (2008), Study on image and changes of form according to eye makeup : focusing on 20s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5. Kim M., Ryu H. (2011). Analysis of emotional images according to eyes shapes and smoky makeup ton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14(2), 3-4. 

  6. Lee, H. (2014). A Study on the Effect of JOB Training for Eyelashes Services Employees on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wangwoon University, Seoul, Korea. 6. 

  7. Lee, K. (2003). Influence of physiognomic Correction Makeup on Facial Imag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unkuk University, Seoul, Korea. 1. 

  8. Lim, M. (2007), A Study for Eyelash Make u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8(3), 88. 

  9. Yun, M. (1989), The aesthetics of the face, Seoul: Donghaksa. 

  10. Nam, J. (2013), The Effect that "Preference According to Type of Eyelash Treatment" and "Surgery Satisfaction Rate" have on Eye Makeup Image Transform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achon University, Gachon, Korea. 

  11. Song, K. (2013). Effects of Cosmetic Eyelash Extension on Eyelashes Health Problem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2. Song, M., Park, O. (2004), A Study on Womans Face Types Classiffication and Shape Difference, Journal of fashion business, 8(1), 1. 

  13. Yang, J. (2015). Evaluation Study of Extended Treatment of Eyelashes that Depending on the Type of Persona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Esthetic Graduate School Of Beauty Art Yongsan University, Busa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