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eeds of marriage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couples based on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total of 816 multicultural families (247 Korean husbands and 569 foreign wives) were recruited through 99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다문화부부의 부부교육 프로그램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결혼이주여성과 한국 남성 배우자를 대상으로 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다문화부부의 부부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욕구를 폭넓게 파악하기 위해서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지역별로 구분하여 할당표집하였다.
  • 이 연구는 전국에 거주하는 다문화부부를 대상으로 부부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프로그램 요구도와 관련된 다문화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부부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또 남성의 부부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고 활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향후 남성의 부부교육 프로그램 참여율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의 부부에 주목하고자 한다. 현대사회에서 부부관계는 가족관계의 중심축으로, 부부관계의 질은 가족 전반의 건강성 및 행복감에 절대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좋은 부모됨의 출발이다.
  •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부부(결혼이주여성과 한국 남성 배우자)를 대상으로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부부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살펴볼 다문화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성별,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 조사대상자 본인 및 배우자의 학력 수준, 결혼지속년수를 포함하며,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부부교육 프로그램 개발및 운영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Lee, 2010) 개발도 이루어졌다. 이 프로그램은 가족 전체를 대상으로 서로에 대한이해를 돕고, 의사소통 능력 강화를 통해 가족 간의 행복감 증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가족 간의 친밀감 향상, 서로의 문화에 대한 이해, 가족원들의 가치에 대한 이해 및 미래설계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 이와 함께 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에 따라 경험하는가족생활이나 다문화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J.Kim, 2012; J. Park & K. Lee, 2014)가 다르므로,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다양한 국적의다문화부부(결혼이주여성과 한국 남성 배우자)를 대상으로부부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언제 만들어 졌는가? 한편 현재 다문화가족지원사업의 주요 시행 기관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이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2006년「여성결혼이민자 가족의 사회통합지원」 대책 마련을 시작으로 21개의 시군구에 다문화가족지원센터(구 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가 설치되었고,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법」이 제정되면서 다문화가족지원을 위한 법적·제도적기반을 갖춘 후 2015년 현재 217개가 전국에 설치·운영되고 있다(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2016).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결혼이주여성의 한국 사회및 가족생활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대표적인 공적전달체계로, 다문화가족의 가족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중요한 자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다문화가족의 강점은? 다문화가족은 2015년 기준 대략 82만 명 내외이며, 그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0년에는 1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5b). 다문화가족은 문화적 다양성과 이중 언어 구사 가능으로 높은 다문화 민감성, 글로벌 시민으로의 가능성 등 여러 강점을 가지고 있다. 정부는 다문화가족의 강점을 강화하고 다문화가족이 가족생활에서 경험하는 위기에 보다 적극적으로 예방·대처하기 위하여 매 3년마다 다문화가족실태조사를 통해 다문화가족의 현황과 욕구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국제결혼이 가속화됨에 따라 필요해지는 것은? 그러나 한국 사회 내 외국인과 이주민이 증가하였다고 해서 다문화사회가 되었다고 할 수 없다. 우리 사회가 다문화사회로의 진정한 전환을 위해서는 외국인 노동자, 결혼이주여성, 유학생 등 이주민들의 한국사회 동화나 적응의 관점이 아닌 통합을 위한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적 관점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Cheon, H., Choi, H. K., & Kang, I. (2006).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s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n marital instability by duration of marriag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11(1), 179-202. 

  2. Choi, M., & Yu, P. (2014). The effect of the couple relationships enhancement program for the multicultural family based on the Gottman's theor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19(1), 79-102. 

  3. Choi, W. (2007). A study on the social-cultural adaptation of foreign wives in Korea. Journal of Asian Women, 46(1), 141-181. 

  4. Chung, G. H., & Lim, J. Y. (2011). Comparison of marital satisfaction between immigrant wives and Korean me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9(5), 33-48. 

  5. Chung, S., Park, H., & Oh, B. (2010). Relationship patterns between parents-in-law and foreign daughters-in-law based on the perceived agreement of quality of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2(1), 133-153. 

  6. Goo, H. (2013). Qualitative study on the coping behavior of multicultural husbands in marital conflict.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46, 79-108. 

  7. Halford, W. K., & Snyder, D. K. (2012). Universal processes and common factors in couple therapy and relationship education. Behavior Therapy, 43, 1-12. 

  8. Hawkins, A. J., Blanchard, V. L., Baldwin, S. A., & Fawcett, E. B. (2008). Does marriage and relationship education work? A meta-analytic study. Journal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76(5), 723-734. 

  9. Hong, D., Chae, O. H., & Lee, N. 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family integration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9(1), 75-89. 

  10. Hong, D., & Park, K.-H. (2004). A study on the needs of couple education according to couple role of elder.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7(3), 83-106. 

  11. Jang, H.-S. (2013). Development of marital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y in a formative period of family relations.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7(3), 81-103. 

  12. Jun, M., Son, S., Lee, E., Lee, Y., Kim, J., & Kim, M. (2015). Program manual for multicultural families. Seoul: 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13. Kong, M., & Oh, S. (2010). Its effects of gender role attitudes and social support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 Family and Culture, 22(2), 95-120. 

  14. Kang, K., & Chung, C. (2009). Adjustment factors for family life of multicultural family couples.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3(2), 153-167. 

  15. Kim, H., & Lim, C. (2012).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services on the marital efficacy of marriage migrant women.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9(17), 27-53. 

  16. Kim, H.-S., & Choi, Y. S. (2012). Factors of related to the awareness for the needs of family counseling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7(3), 435-456. 

  17. Kim, J. O. (2012). A study on demands of internationally married female immigrants in urban-rural area fo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17(3), 69-90. 

  18. Kim, J. O. (2013).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therapeutic marital enhancement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18(3), 157-177. 

  19. Kim, K., Sun, J. J., & Oh, S. H. (2013). Stress, self-esteem, and powerlessness in Korean husbands married to foreign wiv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4(1), 29-39. 

  20. Kim, M. (2012). A study on mental health, resilience and happiness of intermarried Korean me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0(5), 135-147. 

  21. Kim, O.-N., Kim, K.-S., & Lee, J.-H. (2008). A study on improvement of marital relationship program for immigrant women's husband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6(1), 69-84. 

  22. Kim, S. (2008). A study on effectiveness of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in interracial families in the rural area. Journal of Social Welfare Development, 14(4), 289-307. 

  23. Kim, S., Lee, J., Nam, M., & Im, K. (2009). Development of family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ies. Busan, Korea: Busan Women and Development Institute. 

  24. Kim, S., & Moon, S. (2014). Studies on family support grogram according to the needs of community resi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0), 551-561. 

  25. Kim, Y. (2010). Welfare need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policy implication.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7, 58-73. 

  26. Kim, Y.-S., Lee, A.-R., & Lee, E.-A. (2013). The social integr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differentiation in its policy demand. Seoul, Korea: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7. Larson, J., & Halford, W. K. (2011). One size does not fit all: Customizing couple relationship education for unique couple needs. In J. L. Wetchler (Ed.), Handbook of clinical issues in couple therapy (pp. 293-309). New York, NY: Routledge. 

  28. Lee, E, & Jun, M. (2014). A meta-analysis of the related variables with marital satisfaction for marriage migrant women. Korea Social Policy Review, 21(4), 9-44. 

  29. Lee, E.-J.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ouples group program for foreign wives and Korean husbands. Family and Culture, 19(1), 29-60. 

  30. Lee, Y. (2010). Directions of the work and program based on the supporting law, policy and system for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5), 370-378. 

  31.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6). 2015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Seoul, Korea: Author. 

  32.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5a). 2015 Guide fo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Seoul, Korea: Author. 

  33.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5b). Statistics on multicutural families. Seoul, Korea: Author. 

  34.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6). 2016 Guide fo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Seoul, Korea: Author. 

  35. Park, H. Y., & Kim, S.-W. (2014). A study on consumer education demand of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Financial Planning Review, 7(2), 33-64. 

  36. Park, J. (2009). The study on multicultural support service at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Journal of Multicultural Contents Studies, 10, 31-62. 

  37. Park, J., Jun, M., & Son, S. (2015). Integrated educational program for multiculturual and nonmulticultural couples. Seoul: 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38. Park, J.-O., & Lee, K.-D. (2014). The effect of marital conflict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domestic role attitude and gender consciousness of multi-cultural family couples: Focused on the Daegu-Gyungbook Province. Family and Culture, 26(1), 205-236. 

  39. Park, M. J., & Um, M. (2009). A stud on the social relations and life satisfaction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14(2), 1-26. 

  40. Sung, H.-R. (2011). The influence of husbands' sex role stereotype,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the acceptance of their wives' culture on their wives' acculturation and marital and life satisfaction in multicultural family.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7(2), 219-239. 

  41. Yang, S., & Lee, M. (2011).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family and satisfaction in family relationship of marriage migrant women in island regions.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17(3), 251-284. 

  42. Yu, E.-H., & Kim, D.-S. (2005). The marti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and its effects for couples in the early marriage stag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3(1), 1-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