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공동생활가정 시설장의 역할수행에 대한 탐색연구
An Explorative Study on the Role Performance of Child Group Home Director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5 no.1 = no.145, 2017년, pp.59 - 69  

이슬기 (Department of Child Studies, Inha University) ,  양성은 (Department of Child Studies, Inha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s of child group home directors and their experiences with children. The study utilised the interpretive science paradigm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for data collection. The qualitative theme analysis method explored the experiences of chi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보호 아동을 위한 시설물 현황은? 최근 한국의 요보호 아동을 위한 복지시스템은 대규모 집단 시설보다 가정과 같은 소규모 시설로 전환되고 있으며, 특히 공동생활가정(그룹홈)에 주목하고 있다. 아동공동생활가정은 2004년에 아동복지시설의 유형으로 추가된 이래 현재 서울 63개소, 부산 29개소, 대구 15개소, 인천 13개소, 광주 26개소, 대전 17개소, 울산 7개소, 세종 1개소, 경기 123개소, 강원 22개소, 충북 23개소, 충남 21개소, 전북, 44개소, 전남 34개소, 경북 11개소, 경남 26개소, 제주 5개소로 전국 480개소가 운영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아동공동생활가정은 보호가 필요한 아동에게 가정과 같은 주거여건과 보호, 양육, 자립지원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설장 1인과 보육사 2인이 5-7명 이내의 아동과 함께 거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요보호아동이란? 현대 한국 사회에서 가족원 간의 응집성이 약화되면서 가족 해체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요보호 아동도 증가하고 있다. 아동복지법(제2조)에 따르면, 요보호아동이란 보호자로부터 유실, 유기, 이탈되거나 또는 보호자가 아동을 양육하기에 부적당하거나 양육할 능력이 없는 경우에 처한 18세 미만의 아동으로 규정된다. 최근 한국의 요보호 아동을 위한 복지시스템은 대규모 집단 시설보다 가정과 같은 소규모 시설로 전환되고 있으며, 특히 공동생활가정(그룹홈)에 주목하고 있다.
가족원 간의 응집성이 약화되면서 증가하는 문제는? 현대 한국 사회에서 가족원 간의 응집성이 약화되면서 가족 해체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요보호 아동도 증가하고 있다. 아동복지법(제2조)에 따르면, 요보호아동이란 보호자로부터 유실, 유기, 이탈되거나 또는 보호자가 아동을 양육하기에 부적당하거나 양육할 능력이 없는 경우에 처한 18세 미만의 아동으로 규정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raun, V., & Clarke, V. (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 77-101. 

  2. Choi, J.-K., & Han, Y-J. (2013). Comparative study of abused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 regulatio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1(3), 49-62. 

  3. Ganeson, K. (2006). Students' lived experience of transition into high school: A phenomenological 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Brisbane, Australia. 

  4. Kang, H.-A., Nho. C. R., Chun, J. S., & Chung, I. J. (2012). The relation between traumatic life events and depression and anxiety of adolescents in out-of home care: The moderating effects of protective factors. Korea Journal of Youth Studies, 19(30), 193-222. 

  5. Kim, E. H. (2012). The effect of art therapy on emotion regulation competence of group home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ei University, Gyeonggi, Korea. 

  6. Kim, H. J. (2008). A study on the delinquent adolescents recognized by studen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Jeonbuk, Korea. 

  7. Kim, H.-T. (2011). Longitudinal effects of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psycho-social adaptation of group home children. Korea Journal of Youth Studies, 16(3), 137-164. 

  8. Kim, H.-T. (2012). Factors influencing resilience of group home childr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38, 211-234. 

  9. Kim, H.-T., & Cho, S. S. (2009). Factors of social support that affect the adaptation of group home children. Korea Journal of Youth Studies, 16(3), 259-286. 

  10. Kim, H.-T., Lee, S. C., Chun, J. H., & Bang, M. J. (2012). Factors relating group home family affecting psycho-social adaptation of group home children.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22, 1-22. 

  11. Kim, J. H., & Chung, I. J. (2015).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psychosocia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by the type of caregiver group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49, 25-55. 

  12. Kim, J. M. (2014). The relationship of school adjustment and behavior problems and attachment between group-home adolescents and care teach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gmoon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Psychology, Seoul, Korea. 

  13. Kim, S. J., Song, S. M., Yoon, J. E., & Shin, N. (2015). A qualitative study of group home directors' parenting experiences on a parent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50, 247-277. 

  14. Kim, S. K. (2001). Study of psychosocial adaptation of adolescents in group hom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5. Kim, S. M., & Cho, S. S. (2010). The adolescence's lived experiences of group hom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2(1), 31-53. 

  16. Korea Council of Grouphome for Children and Youth. (2016). Introduction of Grouphome. Retrieved from http://www.grouphome.kr/pages/page_88.php?act_moduleboard_board_2&sitemtitle+like&keyword2016&category3&act_typeread&sn8509&page1 

  17. Lee, D. I. (2011).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working-level employees in group ho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ty, Daegu, Korea. 

  18. Lee, S.-H. (2015).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experience of group art therapy group home yout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Daegu, Korea.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Present condition of children's group home. Retrieved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1&CONT_SEQ334115&page1.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The field of children's project information. Retrieved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jb/sjb0406vw.jsp?PAR_MENU_ID03&MENU_ID030406&CONT_SEQ330340&page1. 

  21. Nho, C. D. (2013).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to improve the self-efficacy and sociability of group home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Chonnam, Korea. 

  22. Park, Y. H. (2014). The influencing factors of child youth group home workers on job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Baekseok University, Chungnam, Korea. 

  23. Son, K. S., Lee, D. K., & Yang, H. S. (2007). Development of gruop play program for the social skills activity with group home children's.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4(1), 101-133. 

  24. Son, S. M., Kim, S. J., Kim, M. J., & Cho, I. Y. (2015). A qualitative study on the parenting experience of group home director with adolescent. Korea Journal of Youth Studies, 22(8), 215-2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