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스트레스 정도와 정신건강을 매개로 하여
Convergent Study of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Addiction to Smartphones on Self-Esteem and Self-Efficacy: Stress Level and Mental Health as Mediating Factor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1, 2017년, pp.139 - 148  

이현숙 (전주비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을 매개로 하여 자아존중감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J도 소재 3개 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303부의 설문지를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 지료 분석은 SPSS와 AMOS를 이용하여 상관분석다중회귀분석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정신건강과는 각각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스트레스 정도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은 스트레스 정도와 정신건강을 매개로 하여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관리하며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convergence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addiction to smartphones on self-esteem and self-efficacy, with stress level and mental health as the parameters. The subjects were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J province, and 303 questionnaires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선행연구를 보면 스마트폰 중독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진다는 양경미(2016)와 박민수(2013)의 연구[12,19] 및 스마트폰 중독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감이 낮아진다는 오주(2015)와 박영주, 장문영(2015)의 연구[20,21]를 비롯하여 스마트폰 중독과 자아존중감 또는 자아효능감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있으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이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를 시행한 경우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을 매개로 하여 자아존중감과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을 매개로 하여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로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스트레스 정도, 정신건강,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사이의 상관관계 파악 및 스마트폰 중독이 스트레스 정도와 정신건강을 매개로 하여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을 매개로 하여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의 순기능과 부작용은 무엇인가? 스마트폰은 전화기의 기능 외에 인터넷을 통한 정보 검색, 디지털콘텐츠, 카메라, 동영상 등 복합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어 현대인에게는 생활필수품이 되고 있다[1,2]. 스마트폰은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생활의 편리함과 흥미를 더하는 순기능이 있으나[3,4] 지나친 몰입이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스마트폰 사용을 조절할수 없는 상태에 이르면 스마트폰 중독 등의 부작용을 가져오게 된다[5,6]. 대학생의 경우 특히 부모의 감독에서 벗어나게 되고 시간적 활용이 자유로워지면서 스마트폰에 많은 시간 노출 되며[7]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는 대학 생의 약 73%가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못하면 불안감 또는 답답함을 느끼는 등 일종의 금단증상을 보이며[8,9]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스마트폰의 특징은 무엇인가? 스마트폰은 전화기의 기능 외에 인터넷을 통한 정보 검색, 디지털콘텐츠, 카메라, 동영상 등 복합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어 현대인에게는 생활필수품이 되고 있다[1,2]. 스마트폰은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생활의 편리함과 흥미를 더하는 순기능이 있으나[3,4] 지나친 몰입이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스마트폰 사용을 조절할수 없는 상태에 이르면 스마트폰 중독 등의 부작용을 가져오게 된다[5,6].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의 수준은 낮아 짐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M. R. Lim, "Influence of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on Self-Esteem,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chool Adjustment", Department of Health Care Management Graduate School Gachon University, 2013. 

  2. K. S. Oh,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Empathy, Self-Respect, and Mental Health among College Students",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chodang university, 2015. 

  3. Y. M. Park, "A Study on Adults' Smart Phone Addiction and Mental Health",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Sanggi University, 2011. 

  4. H. J. Jang, Y. K. Kwag, "Comparison of Factors associated with SmartPhone over-Usage : Focusing on Self-Control, Mental health and Interrelationship",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 pp. 146-154, 2015. 

  5. S. J. Ju, "The effects of smart phone addiction on university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 control", Youth Culture Publishes Forum, Vol. 42, pp. 98-127, 2015. 

  6. S. S, Yu, J. O. Choi, "The relationship of university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with depression, anxiety and aggressi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Korean Institute Environment of Youth facility & Environment, Vol. 13, No. 1, pp. 131-144, 2015 

  7. H. J. Kang, "The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use, mental health and physical health-Focusing on smartphone users' attitud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3, pp. 483-488, 2016. 

  8. W. K. Park, "The mobile phone addictio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47, No. 2, pp. 250-281, 2003. 

  9.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The Survey for the status of mobile phone addiction",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013. 

  10. Logue , Self-Control. New York: Prentice Hall, 1995. 

  11. Harter. S, Development perspectives on the self-esteem. New York : wiley, 1983. 

  12. K. M. Yang,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1, pp. 113-123, 2016. 

  13. Hinojosa. J, Blount. M. L, Occupation, purposeful activities, and occupational therapy. In J. Hinojosa & M. L. Blount (Eds.), The texture of life: Purposeful activities in context of occupation (3rd ed., pp. 1-19. Bethesda, MD: AOTA Press, 2009. 

  14. M. H. Ryu, "University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according to Self-efficacy and Leisure-related Variabl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32, No. 1, pp. 63-79. 2014. 

  15. H. J. Han,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Mental Health and Physical Health in College Students-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Friendship -", Department of Psychology The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2015. 

  16. N. S. Kim, K. E. Lee, "Effects of Self-control and Life Stress on Smart phone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 37, No. 2, pp. 72-83, 2012. 

  17. G. B. Park, M. S. Shin, "Perceived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10, No. 1, pp. 298-314, 1991. 

  18. M. Y. Sim, D. N. Lee, E. H. Kim, "A Study on Influential Relations between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Efficac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5 pp. 227-236, 2016. 

  19. M. S. Park, "The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and Academic Stress on Mental Health and Self-Esteem of High School Students", Department of Educational Science Graduate School,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Korea, 2013. 

  20. J. Oh,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Smart Phone Addiction on Impulsivity, Stress,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ol. 27, No. 4, pp. 998-1012, 2015. 

  21. Y. J. Park, M. Y. Jang, "Th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ensory Processing Feature,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Vol. 13, No. 2, pp. 43-50, 2015. 

  22.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Development of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s", 2013. 

  23.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24. B. J. Jon,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pp. 107-129, 1974. 

  25. A. Y. Kim, J. E. Cha, "A Study for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Develop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996. 

  26. A. Y. Kim, "A Study on the academic failure - tolerance and correlat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11, No. 2, pp. 1-19, 1997. 

  27. Cohen. S, Kamarck. T, Mermelstein. R,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 24, pp. 385-396, 1983. 

  28. D. I. Kim, E. H. An, "A Validations Study of NEO Personality Assessment System(NEO-PAS) for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Counsel, Vol. 14, No. 1, pp. 77-91, 2006. 

  29. D. I .Kim, S. D. Hong, H. Y. In, "A Validation Study of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based on Big Five Factors for Adolescents in Korea", Journal of Yeolin Education , Vol. 14, No. 1, pp. 289-305, 2006. 

  30. Y. S. Lim, Y. J. Lee, S. J. Han, "Research on factors affecting the smartphone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GI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5, pp. 56-66, 2016. 

  31. S. I. Ryu, I. S. Cho,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9, pp. 6180-6189, 2015. 

  32. J. H. Joo, "Exploring relationships among Korean Children's Depression, Smartphone Addic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Partial Least Square (PLS) Path Model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12, pp. 49-60, 2013. 

  33. M. O. Yu, S. J. Ju, J. H. Kim, "A Study on Smartphone Addiction, Mental health and Impulsiveness For High School Students at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4, pp. 409-418, 2014. 

  34. M. K. Kim, "Relationship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tress, Depression, Family Resilience and Internet Game Addi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1, pp. 205-210, 2016. 

  35. H. K. Baek, T. H. H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smartphone addiction and personality typ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7, pp. 389-400, 2014. 

  36. M. H. Nam, H. O. Kim, Y. C. Kwon,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Happiness Index of Health behavior, Smart phone addiction,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10, pp. 557-569,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