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표수문해석모형을 이용한 남북한 수문순환 비교 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Hydrological Cycle in South and North Korea using a Land Surface Model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9 no.1, 2017년, pp.16 - 29  

송성욱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  이진욱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  조은샘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  유철상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북한에서는 1990년대 이후 경제실패로 인해 대규모의 산림파괴가 이루어 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수문순환의 특성을 크게 변화시켰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확인하기 위해 지표수문해석모형인 VIC 모형을 이용하여 한반도 전역을 대상으로 1981년부터 2013년까지 약 30여년의 기간에 대해 수문순환모의를 수행하였다. 모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출률의 경우, 남한에서는 55%~70%, 북한에서는 38%~56%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출률 자체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그 변동폭은 남한의 15% 보다 큰 28% 정도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증발산률은 북한이 남한보다 크게 나타났다. 즉, 남한에서는 증발산률이 20~35%, 북한에서는 25%~46%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변동폭은 북한의 경우가 21%로 남한의 15%에 비해 다소 크게 나타났다. 셋째, 토양수분량의 경우 남한의 평균이 34%, 북한의 평균은 27%로 남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출률과 증발산률의 모의 결과와는 달리 토양수분은 전 기간에 걸쳐 남한과 북한이 변동성 차이가 8% 내외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특히 북한의 산림파괴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1990년대 이후 남한과 북한의 수문순환 특성의 차이가 확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한의 경우에는 유역별 수문순환 특성의 차이가 미미한데 비해, 북한의 경우에는 확연히 다른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 역시 산림파괴의 영향 차이가 반영된 결과로 추측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known that large-scale deforestation has occurred in North Korea due to economic failures since the 1990s, and this is expected to greatly chan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drological cycle. In this study, hydrological cycle simulation was carried out for the period of about 30 years from 19...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VIC 모형은 어디에 많이 활용되는가? VIC 모형은 1994년 미국 University of Washington의 Dennis Lettenmaier 박사 연구팀에 의해 개발된 모형으로 중규모 이상의 유역에 대한 적용성이 검증된 지표 수문해석모형이다. VIC 모형을 대륙 또는 전지구 단위의 수문순환을 모의하는데 많이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Xie et al.
VIC 모형이란 무엇인가? 1994)을 이용하였다. VIC 모형은 1994년 미국 University of Washington의 Dennis Lettenmaier 박사 연구팀에 의해 개발된 모형으로 중규모 이상의 유역에 대한 적용성이 검증된 지표 수문해석모형이다. VIC 모형을 대륙 또는 전지구 단위의 수문순환을 모의하는데 많이 활용하고 있다.
VIC 모형에서 구분되는 3개의 토층은 어떻게 나뉘는가? 먼저, 차단층에서는 상록침엽수, 낙엽활엽수, 초지 등 11가지로 분류된 피복종류별 면적비를 고려하여 각 피복특성이 반영된 차단 및 증발(Ec)이 모의된다. 토층은 깊이에 따라 최상부토층(top thin layer), 상부토층(upper layer), 하부토층(lower layer)으로 나뉜다. 이 중 최상부토층은 침투(i)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지역이며, 토양수분의 변화에 가장 민감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JH and Yoon, YN(2010). North Korea's Water Resources Status and Water Supply and Demand Forecast (1) -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Water Usage in North Korea's River Basin.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Special Issue: Water and Future, 43(4), pp. 17-26. 

  2. Ahn, JH and Yoon, YN(2010). North Korea's Water Resources Status and Water Supply and Demand Forecast (2) - Prospects for Supply and Distribution of Water in North Korea.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Special Issue: Water and Future, 43(5), pp. 56-64. 

  3. Ahn, JS, Jung, KS, and Lee, GM(2011). Problems of Water Use and Estimation of Water Right in North Han River Shared by North and South Korea (I) -Analysis of Diversion Impacts on Downstream Area by Imnam Dam.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4(4), pp. 305-314. 

  4. Al­Shrafany, D, Rico­R, Han, D, and Bray, M(2014). Comparative assessment of soil moisture estimation from land surface model and satellite remote sensing based on catchment water balance. Meteorological Applications, 21(3), pp. 521-534. 

  5. Blondin, C(1991). Parameterization of land-surface processes in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In Land Surface Evaporation, Springer New York. pp. 31-54. 

  6. Bonan, GB(1998). The Land Surface Climatology of the NCAR Land Surface Model Coupled to the NCAR Community Climate Model. J. of Climate, 11(6), pp. 1307-1326. 

  7. Brooks, RH, and Corey, AT(1964). Hydraulic properties of porous media and their relation to drainage design. Transactions of the ASAE, 7(1), pp. 26-28. 

  8. Ducoudre, NI, Laval, K, and Perrier, A(1993). SECHIBA, a new set of parameterizations of the hydrologic exchanges at the land-atmosphere interface within the LMD atmospheric general circulation model. J. of Climate, 6(2), pp. 248-273. 

  9. Fan, Y, and van den Dool, H(2004). Climate Prediction Center global monthly soil moisture data set at 0.5 resolution for 1948 to present. J.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09(D10). 

  10. Franchini, M, and Pacciani, M(1991). Comparative analysis of several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s. J. of Hydrology, 122(1-4), pp. 161-219. 

  11. Kwak, CJ, Choi, WJ, and Cho, JW(2015). An Assessment of Flooding Risk Using Flash Flood Index in North Korea; Focus on Imjin Basin.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8(12), pp. 1037-1049. 

  12. K-Water(1995). Imjin River Watershed Investigation Report. K-Water 

  13. K-Water(2005). Investigation Report on Water Supply Status in North Korea. K-Water 

  14. Lee, GM(2012). Water Resources in North Korea and Suggestions for Mutual Cooperation. J.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60(3), pp. 17-24. 

  15. Lee, KS, Jung, MR, and Yoon, JS(1999).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Forest Cover Changes in North Korea. J. of Korean Forestry Society, 99(3), pp. 352-363. 

  16. Lee, SH(2004). Situation of Degraded Forest Land in DPRK and Strategies for Forestry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J.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38(3), pp. 101-113. 

  17. Lee, YJ(2007). North and South Korea Climate Change Cooperation Policy. Gyeonggi Research Institute, 9(4), pp. 73-93. 

  18. Lee, YW and Lee, JW(1998). Water and Environment Management Initiative in North Korea.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195, pp. 15-23. 

  19. Li, H, Wigmosta, MS, Wu, H, Huang, M, Ke, Y, Coleman, AM and Leung, LR(2013). A physically based runoff routing model for land surface and earth system models. J. of Hydrometeorology, 14(3), pp. 808-828. 

  20. Liang, X, Lettenmaier, Dennis P, Wood, Eric F, and Burges, SJ(1994). A simple hydrologically based model of land surface water and energy fluxes for general circulation models. J.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99(D7), pp. 14415-14428. 

  21. Michell, AR(1998). The Current North Korean Economy. Economic Integr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hingt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22. Myeong, SJ, Hong, HJ, Choi, HI, and Jung, JC(2008). Estimation of North Korea's vulnerability to natural disasters and research on inter-Korean cooperation. Korea Environment Institute, pp. 1-203. 

  23. Oki, T, and Kanae, S(2006). Global Hydrological Cycles and World Water Resources. Science, 313(5790), pp. 1068-1072. 

  24. Park, KS, Lee, SY, and Park, SY(2009). A Study on the North Korea's Change of Forest Policy since the Economic Crisis in 1990's. The Korean J. of Unification Affairs, 21(1), pp. 459-492. 

  25. Qian, T, Dai, A, Trenberth, KE, and Oleson, KW(2006). Simulation of Global Land Surface Conditions from 1948 to 2004. Part I: Forcing Data and Evaluations. J. of Hydrometeorology, 7(5), pp. 953-975. 

  26. Sheffield, J and Wood, EF(2008). Global Trends and Variability in Soil Moisture and Drought Characteristics, 1950-2000, from Observation-Driven Simulations of the Terrestrial Hydrologic Cycle. J. of Climate, 21(3), pp. 432-458. 

  27. Shukla, S., and Wood, A. W. (2008). Use of a standardized runoff index for characterizing hydrologic drought.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5(2). 

  28. Son, KH, Lee, MH, and Bae, DH(2012). Runoff Analysis and Assessment Using Land Surface Model on East Asia.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2), pp. 165-178. 

  29. UN(2016), DPR Korea Needs and Priorities, United Nations and Partners. 

  30. UN(2016), WMO Provisional Statement on the Status of the Global Climate in 2016. 

  31. Wang, GQ, Zhang, JY, Jin, JL, Pagano, TC, Calow, R, Bao, ZX, and Yan, XL(2012). Assessing water resources in China using PRECIS projections and a VIC model.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16(1), pp. 231-240. 

  32. Xie, Z., Yuan, F., Duan, Q., Zheng, J., Liang, M., and Chen, F. (2007). Regional parameter estimation of the VIC land surface model: Methodology and application to river basins in China. J. of Hydrometeorology, 8(3), pp. 447-468. 

  33. Yoo, CS, Kim, KW, Park, CY and Bae, DH(2015). Quantification of Tree Root Depth for Basin-Scale Sediment Yield Simulation. J.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5, pp. 301-3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