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 기반 가야산국립공원의 주요 식물군락 분포요인 분석
Studies on major plant communities distribution factors of the Gayasan national park using GIS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9 no.1, 2017년, pp.164 - 171  

김보묵 (국립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양금철 (국립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Geometric Information System, GIS)을 이용하여 가야산 국립공원의 주요 우점식생인 신갈나무군락과 소나무군락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고도, 경사, 사면방위, 지형지수, 연평균 온도, 온량지수, 잠재증발산량 등 7개 요인들을 분석하고, 요인별 식생분포 특성을 밝혔다. 가야산국립공원의 정밀식생 조사(1/5,000축척)결과, 신갈나무군락(29.42%), 신갈나무-소나무군락(7.38%), 소나무군락(27.66%), 소나무-신갈나무군락(7.44%), 졸참나무군락(1.40%), 굴참나무군락(1.10%) 등 총 128개의 식생유형이 확인되었고, 이들 중 신갈나무 우점림과 소나무 우점림이 전체 식생의 80.58%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분포요인 분석결과, 신갈나무군락과 소나무군락의 고도는 각각 575~1,065m(80.4%), 465~965m(84.1%), 경사는 $21^{\circ}$이상(78%), $21^{\circ}$이상(71.3%), 사면방위의 경우 신갈나무는 북사면, 소나무는 남사면이 우세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지형지수는 모두 5~6에 집중되어 있고, 연평균 기온$7{\sim}8^{\circ}C$(83%), $8{\sim}9^{\circ}C$(84%), 온량지수는 $59{\sim}70^{\circ}C{\cdot}month$$58{\sim}88^{\circ}C{\cdot}month$에서 주로 분포하며, 잠재증발산량은 560~590mm/yr, 580~610mm/yr에서 가장 많은 분포역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sed 7 distribution features of dominant natural vegetation, such as elevation, slope, aspect, topographic index, annual mean temperature, warmth index an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in Gayasan national park. The Gayasan national park has t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본 연구는 가야산국립공원에 대하여 실시한 1:5,000도엽의 정밀식생조사 결과를 토대로 확인된 주요 우점군락인 신갈나무군락(Quercus mongolica community)과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에 대하여 식생분포요인을 고도, 경사, 사면방위, 지형지수(Topographic Index, TI)등의 지형요인과 연평균기온, 온량지수(Warmth Index,WI), 잠재증발산량(Potential evapotranspiration, PET) 등의 기후요인 등 총 7가지 요인을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을 이용하여 이들 군락의 지형적,기후적 공간분포특성과 분포역의 요인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가야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2013년 “가야산국립공원 정밀식생도 제작 용역”시 축적된 식생 현지 조사자료를 토대로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고, 주요 우점군락(신갈나무, 소나무)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 사면의 방향, 고도분석, 경사 등을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을 통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식생의 공간적인 분포에 대한 정략적이고 체계적인 해석을 시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형요인으로 고도(Elevation), 경사(Slope), 사면방위(Aspect), 지형지수(Topographic Index, TI)와 기후요인으로 연평균기온(Annual mean temperature), 온량지수(Warmth Index, WI), 잠재증발산량(Potential evapotranspiration,PET) 등 총 7가지 요인을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을 이용하여 주제도를 작성하였다.
  • 분석은 Acrmap Ver. 9.3을 사용하여 vector형태의 자료를 grid (10 × 10m) 격자 형태로 전환한 후, 각 군락을 서열화 하였고, 고도는 10m 단위로, 경사는 1°, 사면방위는 45° 단위로 숫자화 하여 중첩․분석 하였다.
  • 연평균기온과 온량지수는 국립공원 주변의 거창 기상대 및 자동측정망 5개 지점의 자료를 이용하여 거리역가중방법(Inverse Distance Weighted, IDW)으로 5개 지점 내부의 모든 격자(10 × 10m)의 월평균 기온을 산정하고, 고도증가에 따른 단열체감율은[-0.65℃/100m]를 적용하여 주제도를 작성하였다.
  • 현존식생도는 1/5,000의 영상자료 및 수치지형도 등 참조자료를 활용하여 산림과 비 산림지역, 산림내의 활엽수림, 침엽수림, 혼효림 등으로 대분류한 후, 현지에서 방형구법(quadrat method)으로 실시하였으며, 군락명은 상관(physiognomy)에 의해 수관부(tree crown)를 이루는 교목층의 우점종을 기준으로 명명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는 인위적인 교란이 배제되어 자연 보전상태가 양호한 가야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리적 위치는 동경 128°02′30″~128°09′30″, 북위 35°45′00″~ 35°49′30″이며, 행정구역상 경상남도 합천군, 거창군, 경상북도 고령군, 성주군, 김천시에 걸쳐 있다 (Fig.

이론/모형

  • 수치표고모델은 국립지리원의 수치지도에서 등고선 및 표고점을 추출하여 10×10m의 격자 크기를 갖는 DEM을 구축하였고, 고도의 경우 분석을 위해 10m 간격으로 재분류하여 정수화하였고, 경사 및 사면방위는 Arc map 9.3 프로그램의 slope 함수와 aspect 함수를 이용 추출하였고, 지형지수는 물의 흐름에 기여하는 상부 사면면적과 경사도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의 토양 수분량을 나타내는 지수인자로서 다음과 같은 계산식을 이용하여 식생분포와의 중첩분석에 사용하였다 (Beven and Kirkby, 197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량지수란? 온량지수는 1년 중 월평균기온 5℃ 이상인 달에 대해 월평균기온과 5℃와의 차를 합산하여 나타낸 값이다. 잠재증발산량은 가능한 증발산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반도에서는 잠재증발산량과 온량지수 사이에서 직선의 일차 회귀식 PET = 4.
식생의 분포와 자연환경과의 관계를 분석한 선행연구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식생의 분포와 자연환경과의 관계를 분석한 선행연구로는 남한지역을 대상으로 임상도와 현존식생, GIS의 지형인자분석 등을 이용하여 소나무 인공림의 공간분포 특성파악연구 (Yoon, 2003), DEM과 Landsat영상을 이용하여 북청-단청지역의 식생분포와 지형요소의 공간적 관계를 분석하여 고도, 사면방향, 하천으로 부터의 거리가 식생분포에 미치는 주요 인자임을 보고한 연구 (Lee et al., 2003), 남한의 각종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수치현존식생도를 작성하고 각 식물군락의 기후적, 지형적 공간분포특성과 분포역 및 ZM법에 의한 식물군집들의 종조성적 특성을 결정하는 요인을 규명한 연구 (Yang, 2001), GIS를 기반으로 지리산 식물군락의 분포와 지형적 특성을 연구한 결과 등이 있다 (Yeon etal., 2006).
본 논문에서 신갈나무군락과 소나무군락의 식생분포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신갈나무군락과 소나무군락의 고도에 따른 식생분포는 각각 575~1,065m(80.4%), 465~965m(84.1%)에서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경사는 두 군락 모두 21° 이상의 급경사 지역에서 각각 78%, 71.3%로 분포하여 군락간의 유의한 차이점이 없었으나, 사면방위에 따른 신갈나무는 북동사면,소나무는 남동사면이 우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형지수는 두 군락 모두 계곡부와 정상부의 전이지대(transition)인 5~6구간에 집중되어 있고, 연평균 기온은 각각 7~8℃(83%),8~9℃(84%), 온량지수는 59~70℃ㆍmonth와 58~88℃ㆍmonth에서 주로 분포하며, 잠재증발산량은 560~590mm/yr,580~610mm/yr에서 가장 많은 분포역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e, KH and Hong, SC (1996). Structure and dynamics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Mt. Kaya, Korean j. of Forest society, 85(2), pp. 260-270. [Korean Literature] 

  2. Beven, KJ and Kirkby, JN (1979). A physically-based, variable contributing area model of basin hydrology, Hydrological Sciences Bulletin, 24:43-69. 

  3. Jo, JC and Lee, KJ (1988). Studies on the vegetational community of Hongrudong valley in the Mt. Gaya by ordination techniques, Korean j. of Forest society, 77(1), pp. 73-82. [Korean Literature] 

  4. Kim, JS, Kim, GT and Yim, KB (1989). The actural vegetation and degree of green naturality in Gaya mountain national park, J. of Basic Science, 1, pp. 209-223. [Korean Literature] 

  5. Kim, SW, Han, JY, Lee, SK, Kim, SH, Kim, CS and Kim, IS (2004). Characterization of wetness index in western area of Yangsan fault, Sangbuk-myeon, Kyeongnam-do, KGS spring conference 2004, Korean geotechnical society, pp. 904-909. [Korean Literature] 

  6. Lee, KJ, Choi, JW, Choi, WK and Han, BH (2006).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 for fifteen years(1989-2004)of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Hongrudong valley, Gayasan national park, Korean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2), pp. 188-199.[Korean Literature] 

  7. Lee, KJ, Jo, JC and Woo, JS (1989) Analysis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Gayasan national park by the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technique, Korean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3(1), pp. 28-41. [Korean Literature] 

  8. Lee, KS and Jo, WR (2000). The gradient analysis of the Korean peninsula by using DEM, j.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3(1), pp. 35-43.[Korean Literature] 

  9. Lee, MB, Kim, NS, Choi, HS and Shin, KH (2003). An analysis on spatio-temporal changes of land cover focusing on NDVI Using GIS and RS in Pyeongbuk province, northwest Korea, j. of Korean Geological society, 38(5), pp. 835-848. [Korean Literature] 

  10. Lee, WT and Yim, YJ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8, Supplement: 1-33. [Korean Literature] 

  11. Park, IH, Jo, JC and Oh, CH (1989).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slope in valley and a ridge forest at Mt. Gaya area, Korean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3(1), pp. 42-50. [Korean Literature] 

  12. Park, IH and Seo,YK (2001).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slope aspect and altitude in valley forests at Kyeryongsan national park, Korean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14(4), pp. 296-302. [Korean Literature] 

  13. Shin, JH (2012). Simulation map of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and actual vegetation distribution using high-resolution images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focused on the Bukhansan national park - Ph. D. Dissert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rean Literature] 

  14. Song, HK, Lee, MJ, Yee, S, Kim, HJ, Ji, YU and Kwon, OW (2003). Vegetation structures and ecological niche of Quercus mongolica forests, Korean j. of Forest society, 92(4), pp. 409-420. [Korean Literature] 

  15. Whittaker, RH (1967). Gradient analysis of vegetation. Biol. Rev., l49, pp. 207-264. 

  16. Woodward, FI (1987). Climate and plant distrib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7. Yang, KC (2001). Classification of major habitats based on the climatic conditions and topographic features in Korea. -Ph. D.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Korean Literature] 

  18. Yang, KC and Shim, JK (2007). Distribution of major plant communities based on the climatic condition and topographic feature in south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5(2), pp. 168-177. [Korean Literature] 

  19. Yeon MH, Suh, MH, Yang, KC, Choi, SK and Shim, JK (2006). Distribution of plant communities of Mt. Jiri with its geomorphological variation, j. of the Ko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3(4), pp. 57-67. [Korean Literature] 

  20. Yim, YJ (1977).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II. Distribution of tree species along the thermal gradient, Jap. J. Ecol., 27, pp. 177-189. 

  21. Yim, YJ and Kira, T (1976).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Korean peninsula. II. Distribution of climatic humidity/aridity, Jap. J. Ecol., 26, pp. 157-164. 

  22. Yoon, JH (2003). Characteristics and change predic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stands in Korea : Emphasis on impacts of topography, climate, and soil factors -Ph. 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