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가야산국립공원의 잠재자연식생 추정
Simulation Map of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in the Gayasan National Park using GIS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4 no.2, 2017년, pp.115 - 121  

김보묵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양금철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야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지리정보시스템(Geometric Information System, GIS)을 이용 식생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식생분포 확률을 기초로 가야산국립공원의 잠재자연식생을 추정하였다. 가야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조사 결과 128개의 군락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야산국립공원의 고도, 경사, 사면방위, 지형지수, 연평균 온도, 온량지수, 잠재증발산량의 7개 요인을 중심으로 군락별 분포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분포확률을 추정하였다. 잠재자연식생의 분포확률이 0.3이상인 군락은 소나무군락의 출현확률이 55.80%로 가장 높았으며, 신갈나무군락이 44.05%, 상수리나무군락이 0.09%, 굴참나무군락이 0.06%로 나타났다. 식생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요인으로 한정할 경우 가야산국립공원의 잠재자연식생은 신갈나무군락(43.1%)과 소나무군락(56.9%)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stimate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in Gayasan National Park through the occurrence probability distribution by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n Gayasan National Park. Correlation and factor analysis were analyzed to estimate probability distribution. The presence of the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고도 증가에 따른 단열체감율은 -0.65°C/100 m를 적용하였으며, 이렇게 구한 월평균 기온을 이용하여 연평균 기온 및  온량지수를 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 DEM의 제작은 국립지리원의 수치지도에서 등고선 및 표고점을 추출하여 10 × 10 m의 격자 크기를 갖는 DEM을 구축하였고, 고도의 경우 분석을 위해 10 m 간격으로 재분류하여 정수화 하였다.
  •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10 ×10 m로 구분된 Grid로서 지형인자인 고도 (Ele), 경사 (Slo), 사면방위 (Asp), 지형지수 (TI)와 기후인자인 연평균기온 (AMT), 온량지수 (WI), 잠재증발산량 (PET)을 독립변수로 하여 수종별 출현유무 (1, 0)를 종속변수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인자에 따른 분포확률 추정식을 작성하였다.
  • 앞서 작성된 현존식생 분포와 지형인자를 중첩분석하기 위해 vector형태의 자료를 grid (10×10 m) 격자 형태로 전환한 후 중첩분석을 위해 각 군락을 서열화 하였다.
  • 연평균기온과 온량지수는 국립공원 주변의 거창 기상대 및 자동측정망 5개 지점의 자료를 이용하여 거리역가중방법(Inverse Distance Weighted, IDW)으로 5개 지점 내부의 모든 격자(10 ×10 m)의 월평균 기온을 산정하였다.
  • 이와 같이 DEM의 각 grid마다 군락별 점유확률이 추정되면 점유 확률이 가장 큰 수종이 해당 grid에 출현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공간분포 (spatial distribution) 및 출현확률 (occurrence probability)을 예측하였다.
  • 현존식생도는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실시한 정밀현존식생도제작 사업결과를 수정・보완하고 인용하여 본 연구에 맞게 재분류 작업을 통해 작성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는 가야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하며, 지리적 위치는 동경 128°02′30″ 128°09′30″, 북위 35°45′00″~35°49′30″이며, 행정구역상 경상남도 합천군, 거창군, 경상북도 고령군, 성주군, 김천시에 걸쳐 있다 (Fig. 1).

데이터처리

  • 고도, 경사, 방위, 지형지수, 연평균기온, 온량지수, 잠재증발산량 등 7개요인을 대상으로 상관행렬을 구하고 베리멕스 방법으로 회전된 성분행렬을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결과 상관계수는 0.
  •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5개 주요군락의 출현확률 추정식을 유도하기 위해 계수 추정을 하였다 (Table 3). 분포확률 추정식에 사용되는 계수는 (+) 값인 경우 그 요인의 증가에 따라, (-) 값인 경우 그 요인의 감소에 따라 분포확률이 증가한다는 의미이다.
  • 또한 고도는 10 m 단위로, 경사는 1°, 사면방위는 45°단위로 숫자화 하여 중첩분석을 하였으며, 분석은 Acrmap Ver. 9.3을 사용하였다.
  • 요인분석은 프로그램내의 요인분석 알고리즘을 사용하였고, 로지스틱회귀분석은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통계 프로그램은 SPSS ver.

이론/모형

  • 본 연구에서 DEM의 제작은 국립지리원의 수치지도에서 등고선 및 표고점을 추출하여 10 × 10 m의 격자 크기를 갖는 DEM을 구축하였고, 고도의 경우 분석을 위해 10 m 간격으로 재분류하여 정수화 하였다. 경사 및 사면방위는 Arc map 9.3 프로그램의 slope 함수와 aspect 함수를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지형지수는 Beven and Kirkby (1979)에 의해 제안된 다음식을 이용하였다.
  • 더 나아가 이러한 연구자료가 축적되면 식생분포에 대한 예측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Shin (2012)의 식생분포인자 분석방법을 가야산국립공원에 적용하여 잠재자연식생의 출현확률을 각 군락별로 추정식으로 도출하였다
  • 분석된 결과들 중 고도의 경우 표현 방법에 따라 10 m로 구분한 값을 사용하였으며, 경사의 경우 중첩분석시에는 1°단위로 사용하였으나 표현은 Yang (2001)의 방법에 따라 평탄지에서 급경사지의 6단계로 구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학 분야의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사항은? 식생형은 서식지 (산림, 임연, 노방, 습원, 하천, 염생), 식생상관 (physiognomy) 또는 성장형 (growth form)에 의하여 구분하기도 하나, 상관과 성장형의 양식은 결국 식물종의 조성 (plant species composition)으로부터 나타난 결과로 이러한 식물종은 서식지가 다양할수록 다양하게 나타나고, 개별 시석지의 환경조건 (abiotic condition)뿐만 아니라 생물조건 (biotic con-dition)에 의해서도 식물공동체는 각기 다른 식물군락 형태로 발달하게 되는 것이다. 생물종의 분포와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 생태학 분야의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Woodward, 1987), 종 보전 및 종의 생태적 지위 (niche)를 파악하기 위해 종분포에 대한 정략적 예측을 위한 다양한 통계적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종의 관리를 위해 통계적 회귀방법을 이용한 다양한 종분포 모델 (Species distribution models; SDMs)들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Austin, 2007).
DEM을 이용하여 할 수 있는 일은? DEM을 이용하면 사면의 방향, 고도분석, 경사, 일사량, 수문분석 등을 할 수 있다. DEM에서 분석된 지형요소들을 야외조사에서 획득한 산림자료와 임상도 및 원격탐사 분석자료들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식생의 공간적인 분포에 대한 체계적인 해석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가야산국립공원의 잠재자연식생을 추정한 결과는? 가야산국립공원의 고도, 경사, 사면방위, 지형지수, 연평균 온도, 온량지수, 잠재증발산량의 7개 요인을 중심으로 군락별 분포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분포확률을 추정하였다. 잠재자연식생의 분포확률이 0.3이상인 군락은 소나무군락의 출현확률이 55.80%로 가장 높았으며, 신갈나무군락이 44.05%, 상수리나무군락이 0.09%, 굴참나무군락이 0.06%로 나타났다. 식생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요인으로 한정할 경우 가야산국립공원의 잠재자연식생은 신갈나무군락(4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ustin M. (2007).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nd ecological theory: A critical assessment and some possible new approaches. Ecological modelling 200: 1-19. 

  2. Beven, KJ and Kirkby, JN (1979). A physically-based, variable contributing area model of basin hydrology, Hydrological Sciences Bulletin, 24:43-69. 

  3. Ellenberg H. (1988). Vegetation ecology of Central Europe. University Press, Cambridge. 

  4. Kim J. U. and Y. J. Yim (1988). Actural vegetation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Naejangsan national park, Southwestern Korea. Korean J Ecol 11(3): 145-152. 

  5. Kim J. W. (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Ph. D. Thesis, Wien University p 314. 

  6. Pavel V. K, J. S. Song, Y. Nakamura and V. P. Verkholat (2006). A phytosociological survey of the deciduous temperate forests of mainland Northeast Asia. Phytocoenologia 36: 77-150. 

  7. Park, IH and Seo,YK (2001).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slope aspect and altitude in valley forests at Kyeryongsan national park, Korean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14(4), pp. 296-302. [Korean Literature] 

  8. Lee, WT and Yim, YJ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8, Supplement: 1-33. [Korean Literature] 

  9. Shin. J. H. (2012) Simulation Map of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and Actual Vegetation Distribution using High-resolution Images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Focused on the Bukhansan National Park - Ph. D.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10. Woodward F. I. (1987). Climate and plant distrib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1. Yang. K. C. (2001). Classification of Major Habitats Based on the Climatic Conditions and Topographic Features in Kore. -Ph. D. Thesis. Choong ang University. 

  12. Yim, YJ (1977).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II. Distribution of tree species along the thermal gradient, Jap. J. Ecol., 27, pp. 177-1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