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이오필리아 이론에 기초한 빛 환경 평가 연구
A Study on Lighting Environmental Evaluation Based on Biophilia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8 no.1, 2017년, pp.19 - 26  

양소연 (부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이태경 (부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및 노인생활환경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study developing Development evaluation methods of light environment for indoor of middle school based on 'Biophilia'. This study is mainly based on literary review and survey research. To construct structural questionnaire based on 'Light and Space' of Biophilic Design for well be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Wilson(1984)의 심리학 이론인 ‘바이오필리아’ 이론에 기초하여 건강을 위한 물리적 환경에 대한 평가를 하고자 한다.
  • 개선이 필요한 이유에 대한 조사결과 ‘칠판이 잘 보이지 않아서’, ‘눈이 편안하지 않아서’, ‘눈이 부셔서’ 등의 눈부심과 관련된 항목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빛 환경 평가와 일맥상통하는 결과이다. 따라서 빛 환경 계획 시 눈부심을 최소화 시켜 학습하는데 빛 방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채광성능과 함께 반사광에 대한 계획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바이오필리아 이론에 기초한 빛환경 평가도구를 구성하고 이를 활용하여 중학교를 대상으로 실증평가를 실시해봄으로써 건강한 실내 빛환경 계획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바이오필리아 이론에 기초한 실내 빛 환경 평가의 조사도구를 구성하기 위하여 건강과 빛에 관한 이론, 빛과 공간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종합·정리하여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빛과 공간’의 세부표현요소 개념을 바탕으로 학교 실내 공간의 빛 환경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이오필릭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은 바이오필리아(Biophilia)와 디자인(Design)의 합성어이며,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자연이나 자연과 같은 프로세스를 가진 것에 선천적으로 인간이 끌리는 본능을 도시환경설계디자인에 표현하기 위해 시도된 것이라고 하였다.3) 특히, 건축 환경에서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인간에게 최적의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건축 환경에서 자연광은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 이 특성은 자연광의 전체적인 색상 스펙트럼과 채광의 효과를 포함한다. Loftness and Frumkin은 자연광이 건축 환경에서 사람들의 건강, 생산성, 행복에 지속적으로 기여 하여 신체적, 정신적으로 보상해 준다고 하였다.
바이오필리아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바이오필리아 가설(Biophilia)은 인간의 마음과 유전자 속에는 자연에 대한 애착과 회귀본능이 내재되어 있다는 학설이며, 하버드대학의 동물학 교수이자 사회생물학(Sociobiology)의 창시자인 Wilson(1984)은 자연(bio)과 사랑(Philia)의 합성어로 ‘생물은 자연환경에 대한 사랑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의 Biophilia라는 용어 만들었다. 이는 건축과 심리적 웰빙(Well-being)과의 관계에 중점을 두어 인간에게 해가 되는 것을 피하고 건강과 생존을 위해 신체의 재생산을 돕는 자연자원을 찾으며 사용하고 즐기는 것과 연관된 근본적 활동의 방향이라고 정의 된다.2) 현대사회에 물질적 풍요와 의학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과거에 쉽게 볼 수 없었던 질병(우울증,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등)이 나타남에 따라 물질문명만큼 마음이 편안한 삶을 살기 위해 힐링(Healing), 웰빙(Well-being)을 요구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guilar, J. S. (2003). Bio-architecture. New York: Architectural Press. 

  2. Choi, A. S., Lee, J. E., & Choi, S. Y. (200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ealth lighting plan in residential area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10), 287-294. 

  3. Ha, M. K., & Lim, B. L. (2005). Characteristics of healthconcerning interior design under well-being trend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4(3), 130-139. 

  4. Jeong, I. C. (1997). The effects of the overcrowded and noisy environment on the middle schooler's mental heal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School of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5. John, K., & Garret, E. (1992). Interior architecture.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6. Kellert, S. R., Heerwagen, J. H., & Mador, M. (2008). Biophilic design: Theory, science, and practice. New York: Wiley. 

  7. Kim, J. S. (2010). A study on the lighting environmental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the premium city hotels in Seoul,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8. Lim, J. R. (2010). A study on the feature of interior space design expression in accord with the incoming light seen in Steven Holl's architect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9. Noh, S. W., & Kim, C. B. (2009).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ecological school environmen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7(1), 117-140. 

  10. Shin, M. Y., & Kim, J. Y. (2010). A study on the categor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ight in spa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9(4), 22-30. 

  11. Son, M. H. (2012). A study on lighting design for eating and drinking space with the application of light's characteristics of archite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myoung University, Seoul, Korea. 

  12. Wilson, E. O. (1984). Biophilia: The human bond with other spesie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3. Yoo, Y. -H. (2007). Extraction of design concepts of light for the architectural interior space -Focused on the plastic character of space as visual phenomenon by Ligh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6(2), 115-122. 

  14. Yun, D. G., & Kim, K. J. (1998). A study on the correlativity between architecture components and ligh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4(2), 125-13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