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들의 웰다잉에 대한 인식 태도 및 공간 계획요소 중요도 연구
A Study on Importance Evaluation on Planning Factors of Well-dying Space and Recognition Attitude of Well-dying in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8 no.1, 2017년, pp.63 - 72  

유복희 (울산대학교 주거환경학전공) ,  이민아 (국립군산대학교 사회환경디자인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verall recognition on attitudes of well-dying and evaluation the importance of planning factors of well-dying space in college students. This will serve as a basis to accumulate materials on the recognition of well-dying and well-dying spaces of var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U대와 K대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죽음과 웰다잉, 그리고 웰다잉 공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2015년 10월 4일~8일에 걸쳐 실시하였고 편의표집을 활용, 총 119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인식 태도와 웰다잉 공간의 계획요소에 대한 중요도 인식 태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는 인문사회학적특성과 죽음에 대한 인식 태도, 웰다잉 공간의 계획요소에 대한 중요도의 인식 특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전반적 인식 태도와 웰다잉 공간의 계획요소에 대한 중요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것은 한국의 다양한 연령층의 죽음과 웰다잉 공간에 대한 인식 자료를 축적하기 위한 기초 작업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웰다잉의 의미는? 최근 웰다잉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일련의 여러 가지 사건을 배경으로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가칭 웰다잉법)이 입법예고 되면서 2018년 시행을 앞두고 있다. 삶의 아름다운 마무리, 좋은 죽음을 의미하는 웰다잉(Welldying)은 삶과 극단적으로 반대의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아니라 삶의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거쳐야 하는 단계로 인식되고 있다.
학생들에게 올바른 죽음교육이 다른 세대보다 절실히 요청되는 이유는? 이런 사회적 움직임 속에서 대학교 내에서도 웰다잉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에 입각하여 죽음을 주제로 한 교육이 시작되고 있다(Lee & Yoo, 2016). 생애 발달주기에서 후기 청소년기(청년기)는 죽음에 대한 명확한 관념을 형성하는 세대이므로 죽음에 대한 관심이 생기고 그에 따른 불안, 우정의 상실, 분리 불안, 새로 획득한 정체성 상실, 단절의 공포 등을 갖게 된다(Cho, 2004). 이러한 맥락에서 감정적으로 충동성이 내재하는 대학생들에게 존재의 의미와 자기가치를 깨닫게 하고 바르고 성실한 삶을 지속적으로 펼치기 위한 올바른 죽음교육이 다른 세대보다 절실하게 요청된다고 하겠다.
웰다잉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시행을 앞둔 법은? 최근 웰다잉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일련의 여러 가지 사건을 배경으로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가칭 웰다잉법)이 입법예고 되면서 2018년 시행을 앞두고 있다. 삶의 아름다운 마무리, 좋은 죽음을 의미하는 웰다잉(Welldying)은 삶과 극단적으로 반대의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아니라 삶의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거쳐야 하는 단계로 인식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o, H. J. (2004). The effect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on the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of nursing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yeong Nam, Korea. 

  2. Cho, J. Y., & Lee, H. W. (2010).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elderly care facilities fo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using the therapeutic environment elements.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Journal, 16(1), 25-33. 

  3. Cho, Y. S. (2015). Influencing factors on the death attitude of nursing student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eagu, Korea. 

  4. Choi, E. J. (2014). Influence of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r well-dying on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Seoul, Korea. 

  5. Choi, J. Y., Kim, Y. E., & Kang, B. K. (2003). A study on the method to the healing environment of the hospice facility. Proceeding of Annual Conference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3, No. 2 (pp. 115-118), Seoul, Korea. 

  6. Chung, W. K. (2015). The relationship of among of welldying program, quality of life, death anxiety, and selfintegrity of the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Venture University, Seoul, Korea. 

  7. Ha, J. H., & An, S. H. (2008). The verification of a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of suicidal ideation to stress, coping styles, perfectionism, depression, and impulsivit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4), 1149-1171. 

  8. Jang, K. S. (2003). A study on elderly's attitude about death at facilities the elderly'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9. Jo, K. H. (2010). The meaning of dignified dying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1), 72-82. 

  10. Jo, K. H., Lee, H. J., & Lee, Y. J. (200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online education on death.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7(4), 442-452. 

  11. Jung, E. J., & Byun, S. H. (2012). Impact of education for well-dying on workers related to senior welfar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7), 215-222. 

  12. Jung, Y. S. (2014). A study on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death anxiety in older adults: Mediation effects of egointegr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Joong-ang Sangha University, Gyeoggi Do, Korea. 

  13. Kim, G. (2013). A beautiful approach to death, well-dyingthe bucket list, closer to heaven, ending note, amour-. The Journal of Literature and Film, 14(3), 641-664. 

  14. Kim, I. S. (2012). College students' suicide ideation and attitude toward death department of nur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Pusan, Korea. 

  15. Kim, I. H., & Min, K. H. (2005). The influence of gender and personality on fear of death and death acceptance among young adult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24(2), 11-36. 

  16. Kim, Y. M. (2014). Research on the factors of death anxiety in the middle ag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Seoul, Korea. 

  17. Kwon, B. K. (2007). A study on the attitude to death and the hospice care perceived by medical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18. Lee, C. H., & Kim, Y. H. (2006).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improvement plans of independent hospice faciliti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2(12), 239-247. 

  19. Lee, H. J., & Lee, H. K. (2014). A study on healing environmental elements of a unit of learning space of herman herztberger’s educational facility work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3(3), 3-10. 

  20. Lee, H. K., & Kang, M. J. (2013). A space design of department of psychiatry & behavioral science of applying the healing environment. Proceeding of Annual Conference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ol. 16, No. 1 (pp. 151-154), Seoul, Korea. 

  21. Lee, M. A., & Yoo, B. H. (2016). The class development of liberal arts through link of well-being.well-dying and housing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5(2), 267-280. 

  22. Lee, M. S. (2012). A study on identifying good-dea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eo University, Choong Nam, Korea. 

  23. Lee, M. S. (2015). Factors influencing fears of death of elderly 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ya University, Gyeong Nam, Korea. 

  24. Lee, O. J., & Yang, N. Y. (2007). A study on the deathrelated attitude in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6(4), 389-397. 

  25. Lee, S. H., Shin, D. E., Sim, J. A., & Yun, Y. H. (2013). Public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the national strategy for well-dying. Korean Journal of Hospice Palliative Care, 16(2), 90-97. 

  26. Park, S. K., & Moon, J. M. (2011). A study on the space design research tendencies for the healing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0(4), 21-28. 

  27. Roh, S. H. (2004).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orientation and attitudes, death, and congnition degree of hosp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University, Pusan, Korea. 

  28. Shim, H. W. (2012). A study on the cognition and attitude on well-dying in undergraduate students; Q methodological approach. The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2), 233-243. 

  29. Yoo, B. H., & Lee, M. A. (2016). Spatial characteristics and plans enabling linkage between well-being, well-dying and spac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5(5), 649-664. 

  30. Yoo, S. E. (2016). A study on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 death and need for death preparation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31. Yoon, S. J. (2015). The effect sofa death preparing education on death attitude, death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