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 대상의 오감을 활용한 채소 선호도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평가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Education Program to increase Children's Preference for Vegetables through Five Sens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0 no.1, 2017년, pp.41 - 50  

문혜경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창원시 1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  허은실 (창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ed a vegetable preference increase program that can be applied at the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CCFM) for children in child-care facilities and kindergarten and the training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192 5-year old children. Teachers considered 'disliked fo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따라서 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을 채소 편식을 예방․개선하는데 두며, 이를 위해 채소에 대한 선호도를 높이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되었다. 유아가 편식하는 이유로는 ‘맛’(30.
  • 정규 영양교육의 수혜 대상은 관할 어린이집과 유치원 원아들 대다수가 포함되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 개발된 5차시의 채소 선호도 증진 프로그램은 이렇게 진행하기에는 비용과 인력 부족 등 현실적 제약이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은 어린이집과 유치원 12개소의 신청을 받아 진행하되, 영양교육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주 1회 방문하여 교육을 실시하는 것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영양사들이 방문 교육할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만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현장 적용하고, 그 효과를 평가해봄으로써 유아 영양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들이 인식하는 만 5세 원아들의 식생활 문제점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영양교육의 요구도를 알아보았으며, 개발된 채소 선호도 증진 프로그램이 유아의 채소 지식과 선호도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영양사가 현장 방문하여 시행할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만 5세를 대상으로 교육하고, 그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유아 영양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교육이란 무엇인가? 영양교육이란 “교육대상의 영양상태 증진을 목적으로 영양과 관련된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이루어지는 활동”이라고 정의된다. 즉, 바람직한 식생활 영위에 필요한 영양지식을 습득시켜 실생활에 실천하려는 태도를 갖도록 하며, 스스로 행동에 옮겨 실천하도록 유도해 나가는 일련의 과정이다(Lee 등 2013).
유아기의 주된 편식식품은 무엇인가? 특히 편식은 음식을 좋아하고 싫어하는 감정이 강하고, 식사내용이 영양적으로 불균형하여 발육과 성장 및 영양상태가 상당히 뒤떨어지는 경우를 뜻한다(Wright & Radiclife 1992). 편식이 심한 경우, 영양소의 결핍으로 여러 가지 질병을 유발하게 되는데, 유아의 약 60~70%가 편식하며, 김치류, 채소류, 콩류, 생선류 등이 주된 편식식품이었다(Oh & Chang 2006). 울산지역 유아의 약 30% 정도만 음식 투정을 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고(Yu KH 2009), 무기질과 비타민 및 식이섬유의 섭취를 위해서 편식식품의 섭취가 증가되도록 선호도를 높이기 위한 식생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지적된 바 있어(Lee & Lee 2014)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도 이와 관련된 유아 대상의 영양교육을 적극 시행해야 할 것이다.
영양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즉, 바람직한 식생활 영위에 필요한 영양지식을 습득시켜 실생활에 실천하려는 태도를 갖도록 하며, 스스로 행동에 옮겨 실천하도록 유도해 나가는 일련의 과정이다(Lee 등 2013). 영양교육의 목적은 영양상태를 향상시킴으로써 정상적인 성장과 건강의 유지는 물론 질병까지 예방하는 것이다. 특히 영․유아기는 식습관이 형성되는 초기이므로 영양교육을 통해 바른 식습관이 정착되게 이끌어야 할 것이다(Her& Jung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irch LL, Markin DW. 1982. I dont's like it; i never tired it: effects of exposure on two-year-old children's food preferences. Appetite 3:353-360 

  2. Cho HN, Park EH. 2015.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ensor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J Early Childhood Edu 35:263-292 

  3. Choo JH, Chung KM. 2013. Effect of direct and indirect visual exposure to increase toddlers' vegetable eating. Korean J Health Psychology 18:687-708 

  4. Chung YH. 2006. Children's constructive understanding process of the change of materials through cooking activities. Ph. D.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5. Her ES, Jung SH. 2009. Analysis of dietary education status and the demand of child center teachers in Masan. Korean J. Food & Nutr 22:166-176 

  6. Hong MA, Choi MS, Han YH, Hyun TS. 2010.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a public health center on preschool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and the parent's dietary attitudes. Korean J Community Nutr 15:593-602 

  7. Hong SB, Park HR, Go GA, Jeong GO, Song KH. 2010.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using picture-questionnaire. Korean J Community Nutr 15:475-484 

  8. Jo CY, Kim JH, Han JS. 2015. Study 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in association with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childcare facilities and hom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5:372-385 

  9. Ju HJ. 2014.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in Korean traditional food making activitie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0. Kim HR, Lee KH, Seo HC. 2014. The effect of cooking activities on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J Brain Edu 14:47-71 

  11. Ko HJ. 2008. Developing a program for formative play through five senses-With the first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as the center.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2. Kwon MH. 2006. Cooking activity operation actual conditions and content analysis in kindergarten. Master's Thesis, Jungbu University. ChungNam. Korea 

  13. Lee AR, Yu YL, Kim HJ, Kim KA, Kim KW. 2016. Status of dietary life related knowledge, self-efficacy, food preference and dietary behavior of preschoolers in Kyunggi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1:274-283 

  14. Lee MH, Park YH, Lee MJ. 2013. Nutrition in Infancy and Childhood. pp.177-179. Yangseowon. Gyeonggi 

  15. Lee MS, Lee KH.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etary education to improve the vegetable intake of preschoolers. J Korean Diet Assoc 20:26-35 

  16. Lee SJ, Chung KM. 2015. Effect of an exposure program to vegetables to increase young children's vegetable consumption. Korean J Health Psychology 20:425-444 

  17. Lee SS, Park HM, Bang GH, Kim YI, Park GR, Chang HS. 2013. A study on practical arts class using five senses for improv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J Primary Edu 27:71-92 

  18. Lee SS. 2013. A study on emotional education methods applying five senses to home economics area practical arts education. J Korean Practical Arts Edu 26:21-42 

  19. Min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Case studies of activities at children foodservice management support centers. Min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ungbuk 

  20. Min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2016 Guideline for children foodservice management support centers. Min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ungbuk 

  21. Oh SM, Ye LY, Choi HI, Kim KW. 2012.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increasing vegetables, fruits and dairy foods consumption for pre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7:517-529 

  22. Oh YJ, Chang YK. 2006. Children's unbalanced diet and parents' attitudes. Korean J Nutr 39:184-191 

  23. Park JH. 2009. Fostering environment-friendly behavior through feeling five senses activities at social studies environment education.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Annual Meeting Book. pp.89-95 

  24. Park NY, Park HK, Park HJ, Seo MK, Im HR, Lim HH, Jung JH, Yoon KS. 2011. Employee food-hygiene and nutrition awareness and performance at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Korean J Food Cookery Sci 27:45-59 

  25. Park SR. 2001. A study on teaching of creative expression activities through perception of the 5 senses for ar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26. Pyun JS, Lee KH. 2010.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etary habits of mothers and their preschoolers and the mother's need for nutritional education for preschoolers. J Korean Diet Assoc 16:62-76 

  27. Seo JY, Choi BS, Lee IS. 2010. Effect of nutritional education featuring cooking activities on preschool children in the Daegu area: Food habits and dietary attitud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794-801 

  28. Seol MH. 2012. A study on method of teaching how to think for daily essay writing using strategy for stimulating five sense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29. Son HJ, Song HE, Son KC. 2015. Horticultural activities using colorful food for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reduction of unbalanced vegetable diet of young children. Kor J Hort Sci Technol 33:772-783 

  30. Wright DE, Radiclife JD. 1992. Parents' perception of influence on food behavior development of children attending day care facilities. J Nutri Edu 24:198-201 

  31. YU KH. 2009. Study on the dietary behaviors, physical development and nutrient intakes in pre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42:23-37 

  32. Yunk SJ. 2007. Research for what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 evaluation presents to individualization in class. J Elem Educ Studies 14:99-1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