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채소섭취행동 강화를 위한 채소노출 및 채소놀이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Eat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Using a Direct Visual Stimulating Program on Vegetables and Nutrition Education with Vegetable Playing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4 no.4, 2018년, pp.298 - 311  

박모라 (경북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과) ,  김영진 (상주시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getable eating behavior of care givers and that of children, 2)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with vegetable playing using direct visual stimulating programs on vegetable eat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기존의 섭취빈도를 기준으로 노출자극 효과를 보았을 때에는 기존 섭취빈도가 낮은 집단에서 직접노출자극 전후의 섭취 수준이 의미있게 변화하였으나, 기존 섭취빈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의미있는 수준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채소 직접노출방법에 채소놀이를 통한 친밀도 증진의 노출방법을 각각 계획하여 유아의 채소 섭취 증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즉, 단순노출과 놀이중심의 채소영양교육이 유아의 채소 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유아의 채소 편식교정을 위한 효과적인 영양교육모델을 표준화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유아에게 급식 시 단순히 채소접시를 제공하는 단순노출과 급식 전 채소놀이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선행하고 채소접시를 제공하는 교육 1군, 교육 2군, 교육 3군의 유아가 채소 섭취량에 변화가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설문지를 통해 양육자의 채소 섭취빈도와 유아의 채소 섭취빈도가 상관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 사전 조사는 유아의 채소 기피 정도를 먼저 파악하기 위해 2017년 6월 19일부터 23일까지 5일 동안 실시하여 조사대상 88명의 채소 기피 정도를 분석하였다. 본 조사는 6월 26일부터 7월 21일까지 4주간 진행되었으며, 노출 및 채소놀이 영양교육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교육의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해 본 조사 종료 1개월 후 2017년 8월 23일 채소 섭취 정도를 1회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채소 직접노출방법에 채소놀이를 통한 친밀도 증진의 노출방법을 각각 계획하여 유아의 채소 섭취 증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즉, 단순노출과 놀이중심의 채소영양교육이 유아의 채소 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유아의 채소 편식교정을 위한 효과적인 영양교육모델을 표준화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는 어떤 시기인가? 유아기는 신체의 성장 및 발육이 왕성하게 진행 되며, 동시에 활동량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필요 열량과 영양소의 요구량이 크게 증가하는 중요한 시기이다(Kerry 등 1968; Koo 1999; Lim 2001). 또한 유아기에 형성된 식사습관은 학령기 및 청소년기를 지나 성인이 되어서도 섭취하는 식품의 종류나 영양균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평생 건강상태를 좌우하게 된다(Lederman 등 2004).
채소 편식 비율이 유아기에 높게 나타나는 원인은 무엇인가? 그러므로 유아기의 편식은 주로 채소나 과일에 두드러지게 관찰되며(Cooke 등 2006), 유아의 편식과 식품기신증 연구에서도 유아의 편식은 채소 편식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특정 식품군을 모두 먹지 않는 경우도 많았다. 이러한 편식의 원인은 유아가 새로운 음식을 접해볼 기회가 적고 평상시 선호하는 음식으로 식습관이 형성되기 때문이라 하였다(Oh & Chang 2006). Falciglia 등 (2000)는 유아기 식품기신증이 섭취 식품의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들 대부분의 유아가 영양권장량에 미치지 못하는 식사를 하고 있다고 보고하면서 특히 채소와 과일, 곡물 섭취량이 권장량 보다 낮다고 보고하였다.
유아기의 편식은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가? 하지만 이시기 유아는 여러 가지 식사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으며(Linscheid 1992), 그중 편식은 유아기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식사문제 중 하나로 지적하고 있다(Bryant-Waugh 등 2010). 유아기의 편식은 성장발달에 필요한 영양소의 균형적인 섭취를 방해하고 면역력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빈혈과 같은 만성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Black & Hurley 2007). 유아의 식습관에 대한 국내 연구에서 우리나라 유아의 식습관 문제 중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편식이고, 유아의 6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ddessi E, Galloway AT, Visalberghi E, Birch LL (2005): Specific social influences on acceptance of novel food in 2-5-year-old children. Appetite 45(3):264-271 

  2. Birch LL, Marlin DW (1982): I don't like it, I never tried it: effect of exposure on two-year-old children's food preferences. Appetite 3(4):353-360 

  3. Black MM, Hurley KM (2007): Helping children develop healthy eating habits. Encyclopedia o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4. Bryant-Waugh R, Markham L, Kreipe RE, Walsh BT (2010): Feeding and eating disorder in childhood. Int J Eat Disord 49(2):98-111 

  5. Chung HJ (2009): A study on children's eating and food preference -focused on staple food and side dishes. J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4(6):631-640 

  6. Cooke L. Carnell S, Wardle J (2006): Food neophobia and mealtime food consumption in 4-5year-old children. Int J Behav Nutr Phys Act 3:14 

  7. Cooke LJ, Wardle J, Gibson EL, Sapochnik M, Sheiham A, Lawson M (2004): Demographic, familial and trait predictors of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by pre-school children. Public Health Nutr 7(2):295-302 

  8. Dovey TM, Staples PA, Gibson EL, Halford JC (2008): Food neophobia and 'picky/fussy' eating in children: a review. Appetite 50(2-3):181-193 

  9. Falciglia GA, Couch SC, Gribble LS, Pabst SM, Frank R (2000): Food neophobia in childhood affects dietary variety. J Am Diet Assoc 100(12):1474-1481 

  10. Han HK, Kim YK, Park KW (1997):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 knowledge, food attitude, food habits, food preference and plate waste of elementary school served nutritional school lunch program. Korean J Nutrition 30(10):1219-1228 

  11. Heath P, Houston-Price C, Kennedy OB (2011): Increasing food familiarity without the tears. A role visual exposure? Appetite 57(3):832-838 

  12. Hendy HM, Raudenbush B (2000): Effectiveness of teacher modeling to encourage food acceptance in preschool children. Appetite 34(1):61-76 

  13. Hong SB, Park HR, Go GA, Jeong GO, Song KH (2010): Eve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using picture-questionare. Korean J Community Nutr 15(4): 475-484 

  14. Howard AJ, Mallan KM, Byrne R, Magarey A, Daniels LA (2012): Toddlers' food preferences. The impact of novel food exposure, maternal preferences and food neophobia. Appetite 59(3):818-825 

  15. Ju JH (2013): Effect of direct and indirect visual exposure to increase toddlers' vegetable eating. Masters degree thesis. Yonsei University 

  16. Jung YH (2014): Evaluation of food behavior and nutrition statues of preschool children by Using Nutrition Quotient(NQ). Masters degree thesis. Seoul women University 

  17. Kerry E, Crispin S, Fox HM, Kies C (1968): Nutritional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Dietary and biochemistry findings. Am J Clin Nutri 21(11):1274-1279 

  18. Kim EK, Bae YH, Yang IS, Lee SJ, An HJ (1993):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promotes eat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especially focused on being familiar with vegetable. Korean J Dietary Cuture 8(2):125-137 

  19. Koo JO (1999): The present status and future scheme in nutrition education for infants. Korean J Community Nutri 4(4):623-628 

  20. Lederman SA, Akabas SR, Moore BJ, Bently ME, Devaney B, Gillman MW, Kramer MS, Mennella JA, Ness A, Wardle J (2004): Summary of presentations at the conference on preventing childhood obesity, december 8, 2003. Pediatrics 114(Supple 3) 

  21. Lee JY, Lee YE (2010): Parets' satisfaction on food service quality of kindergartens in Chungbuk Provi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9(4): 613-623 

  22. Lee KS, Chung KM, Park JA, Kim HJ (2008):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for the Korean version of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The Korean J Clinic Psych 27(3):689-707 

  23. Lee MS, Lee KH (201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etary education to improve the vegetable intake of preschoolers. J Korean Diet Assoc 20(1):26-35 

  24. Lim HJ (2001): Assessment of dietary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in Busan: assessment based on food group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 6(1):3-15 

  25. Lim Y, Oh SY (2002): Development of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pre-school children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7(1):58-66 

  26. Linscheid TR (1992). Eating problem in children. In: Walker CE, Robert MC, eds. Handbook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nd ed. J. Wiley & Sons. New York 

  27. Menella JA, Jagnow CP, Beauchamp GK (2001): Prenatal and postnatal flavor learning by human infant. Pediatrics 107(6):E88 

  28. Milton K (1993): Diet and primate evolution. Sci Am 269(2):86-93 

  2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Guideline of children food service.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brd/m_227/view.do?seq14587. Accessed October 1, 2017 

  30. Mo SM (1990): The present status and a future scheme in nutrition education. Korean J Nutri 23(3):208-212 

  31. Oh SM, Yu YL, Choi HI, Kim KW (2012): Implementation and evalu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increasing vegetables, fruits and dairy foods consumption for preschc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7(5):517-529 

  32. Oh YJ, Chang YK (2006): Children's unbalanced diet and parents' attitudes. J Korean Nutr 39(2):184-191 

  33. Pliner P, Salvy SJ (2006): Food neophobia in humans. CABI Publishing. Wallingford 

  34. Potts HW, Wardle J (1998): The list heuristic for studying personality correlates of food choice behaviour: a review and results from two samples. Appetite 30(1):79-92 

  35. Seo JY, Choi BS, Lee IS (2010): Effect of nutritional education featuring cooking activities on preschool children in the Daegu area; food habits and dietary attitud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5):794-801 

  36. Skinner JD, Carruth BR, Wendy B, Ziegler PJ (2002): Children's food preference: a longitudinal analysis. J Am Diet Assoc 102(11):1638-164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