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왕대와 솜대의 줄기, 가지, 잎에 양분 분포
Nutrient Distribution of Culm, Branches and Leaf in Phyllostachys bambusoides and Phyllostachys nigra var. nenosis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6 no.4, 2017년, pp.388 - 396  

박성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백경원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조현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유병오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정수영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이광수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김춘식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약 40년 전 식재된 왕대와 솜대를 대상으로 지상부 바이오매스의 기관별 양분 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대나무 줄기, 가지, 잎에 양분 분포 비교를 위해 왕대 및 솜대 각 14본(당년생과 다년생 각 7본)을 선정하여 벌채하고 양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나무 줄기, 가지, 잎에 양분 농도(concentration) 중 마그네슘은 솜대에 비해 왕대가 높았으며, 질소, 인, 칼륨은 당년생 대나무가 다년생 대나무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다. 양분 농도의 크기는 잎에 경우 탄소 > 칼륨 >= 질소 > 인 >= 칼슘 >= 마그네슘 순이었다. 줄기, 가지, 잎에 저장된 총 양분 함량(content)의 경우 왕대가 솜대에 비해 높아, 왕대가 솜대에 비해 양분 요구량이 크게 나타났다. 지상부 바이오매스의 양분 함량 크기는 왕대와 솜대 모두 탄소 > 칼륨 > 질소 > 인 > 칼슘 >= 마그네슘 순으로 두 대나무가 같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사한 입지에 생육하는 왕대와 솜대의 경우 양분 함량에 차이를 보였으며, 양분 요구량은 왕대가 솜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effects of bamboo species on the distribution of nutrients in aboveground biomass of Phyllostachys bambusoides and Phyllostachys nigra var. nenosis, Damyanggun, Korea. The study site was established around 40-year-ago to produce bamboo culm and edible shoot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나무의 기관별 양분 분포 추정은 매년 죽순 수확과 선택적 벌채가 발생하는 대나무 임분의 시비량 산정이나 양분 흡수 특성과 관련한 임분 관리의 기초자료이나 국내에 넓은 면적이 분포하는 왕대와 솜대의 기관별 양분 분포 관련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본 연구는 유사한 입지에 식재된 왕대와 솜대를 대상으로 줄기, 가지, 잎과 같은 기관별 양분 분포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대나무의 새로운 수요로 기대되는 용도는 무엇인가? 최근 대나무는 지구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의 효과적인 탄소격리수단으로 잠재력(Christanty et al., 1996; Nath et al., 2015; Yen et al., 2016)뿐만 아니라 식·약용 자원으로 다양한 용도가 개발되고 있어 대나무 조림 면적의 증가와 이용적인 측면에서 새로운 수요가 기대된다(Tripathi and Singh, 1996; Lee et al., 2014; Zhang et al.
국내에 자생하는 대나무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국내에 자생하는 대나무류는 5속 19종이며 맹종죽, 왕대, 솜대 등이 죽순 생산이나 산업용 소재로 이용을 위해 주로 집약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대나무 분포 면적은 약 22,998 ha로, 왕대와 솜대는 6,024 ha와 6,175 ha가 분포하여 전체 대나무 면적의 약 53%를 차지하는 우점종이다(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6).
일반 산림지역의 임목에 비해 칼륨 농도가 높은 대나무 종은 어떤 게 있는가? 이러한 이유 때문에 국내에서도 대나무의 양분 분포와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 예를 들면 맹종죽, 왕대, 솜대의 무기 양분 분포의 경우 일반 산림지역 임목에 비해 칼륨 농도가 높은 경향이 보고된 바 있으며(Park and Ryu, 1996), 맹종죽 지하경의 양분 함량(Hwang et al., 2005)이나, 왕대 지상부 양분 함량(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ristanty, L., Mailly, D. and Kimmins, J.P. 1996. "Without bamboo, the land dies": biomass, litterfall, and soil organic matter dynamics of a Javanese bamboo talun-kebun system.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87(1-3): 75-88. 

  2. Embaye, K., Weih, M., Ledin, S. and Christersson, L. 2005. Biomass and nutrient distribution in a highland bamboo forest in southwest Ethiopia: Implications for managemen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04: 159-169. 

  3. Hwang, J.H., Chung, Y.G., Lee, S.T., Kim, B.B., Shin, H.C., Lee, K.J. and Park K.J. 2005. Estimation of aboveground biomass and belowground nutrient contents for a Phyllostachys pubescens stand.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4(3): 161-167. 

  4. Kalra, Y.P. and Maynard, D.G. 1991. Methods Manual for Forest Soil and Plant Analysis. Forestry Canada, Northwest Region, Northern Forestry Centre, Edmonton, Alberta. Information Report. NOR-X-319E. pp. 116. 

  5. Kim, C. 1999. Aboveground nutrient distribution in pitch pine (Pinus rigida) and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plantation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8(2): 266-272. 

  6. Kleinhenz, V. and Midmore, D. 2001. Aspect of bamboo agronomy. Advances in Agronomy 74: 99-145. 

  7. Lee, S.L., Hwang, J.H., Kim, B.B., Lee, K.J., Shin, H.C. and Park, K.J. 2004. A study on the biomass and nutrient contents of Phyllostachys bambusoides stands. Korean Journal of Forest Measurement 7(2): 55-62. 

  8. Lee, K.S., Jung, S.Y., Yoo, B.O., Park, J.H., Kim, C. and Ju, N.G. 2014. Biomass estimation for Moso bamboo (Phyllostachys pubescens) stands and Henon bamboo (Phyllostachys nigra) stands in southern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48(6): 109-118. 

  9. Li, X.B., Shupe, T.F., Peter, G.F., Hse, C.Y. and Eberhardt. 2007. Chemical changes with maturation of the bamboo specie Phyllostachys pubescens. Journal of Tropical Science 19(1): 6-12. 

  10. Nath, A.J., Lal, R. and Das, A.K. 2015. Managing woody bamboos for carbon farming and carbon trading. Global Ecology and Conservation 3: 654-663. 

  11.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6. Distribution Status of Bamboo Forest Resources in Korea, December 2016 (No. 16-27), Seoul, Korea. 

  12. Park, I.H. and Ryu, S.B. 1996. Biomass, net production and nutrient distribution of bamboo Phyllostachys stand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5(3): 453-461. 

  13. Shanmughavel, P. and Francis, K. 1996. Above ground biomass production and nutrient distribution in growing bamboo (Bambusa bambos (L.) Voss). Biomass and Bioenergy 10(5): 383-391. 

  14. Tripathi, S.K. and Singh, K.P. 1996. Culm recruitment, dry matter dynamics and carbon flux in recently harvested and mature bamboo savanna in the Indian dry tropic. Ecological Research 11(2): 149-164. 

  15. Umenmura, M. and Takenaka, C. 2014. Retranslocation and localization of nutrient elements in various organs of moso bamboo (Phyllostachys pubescen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94: 845-853. 

  16. Wu, J., Xu, Q, Jiang, P. and Cao, Z. 2009. Dynamics and distribution of nutrition elements in bamboos. Journal of Plant Nutrition 32: 489-501. 

  17. Zhang, Q., Wang, J., Wang, G., Shamsi, I.H. and Wang, X. 2014. Site-specific nutrient management in a bamboo forest in Southeast China. Agriculture, Ecosystem and Environment 197: 264-2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