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구문론과 전문가시스템을 활용한 BIM 공간배치 최적화 방안
BIM Space Layout Optimization by Space Syntax and Expert System 원문보기

한국CDE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v.22 no.1, 2017년, pp.18 - 27  

권오철 (대림대학교 건축공학과) ,  조주원 ((사)빌딩스마트코리아)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building space constitution and layout are critical for satisfying the building owner and users, their optimization is so important in the design process. However it's not always simple to set up objective criteria for the space layout optimization for different requirements and the architects 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은 공간의 연결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그 의미를 제시해줌으로써 객관적인 공간해석이 가능하도록 해주었다. 나아가 공간의 구성 및 배치에 대한 완성도를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주었다. 특히 BIM은 객체지향 CAD에 기반하고 있기에 공간구문론 분석에 유리한 점을가지고 있다[13].
  • 본 연구에서는 공간설계에 있어서 경험지식의 일관성, 객관성, 신뢰성 확보라는 위 3가지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전문가시스템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위해 일반적 요구조건 및 공간구문론으로 표현된 설계자의 경험지식을 전문가시스템에 입력하여 설계자의 기술적 오류를 방지하고 나아가 최적화된 공간의 배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공간의 배치란 설계 및 디자인 요구사항에 따라 이와 같이 공간을 구성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구사항 가운데 공간의 용도와 접근성에 관련된 설계 경험지식을 적용하여 최적화된 공간배치 대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여기서의 공간배치란 공간 사이의 위상학적 관계성과 용도를 고려한 구성 및 배치를 의미하며 개별 공간의 크기나 형태 등 기타 요소의 최적화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 특히 전문가시스템[2]은 경험지식의 유지관리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고도화가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에 적절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설계에 있어서 경험지식의 일관성, 객관성, 신뢰성 확보라는 위 3가지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전문가시스템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위해 일반적 요구조건 및 공간구문론으로 표현된 설계자의 경험지식을 전문가시스템에 입력하여 설계자의 기술적 오류를 방지하고 나아가 최적화된 공간의 배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부분 통합도를 Table 2에서와 같이 용도 별 공간들의 평균 통합도로 제안한다. 여기서 공간 구성의 기준은 시설계획이나 용도 등이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공간의 접근성은 이와같은 기준에 따라 달리 요구된다.
  • 이를 위해 공간구성 별로 통합도의 우선순위를 사전에 정해 놓을 필요가 있으며 이는 전문가의 경험지식에해당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된 다양한 경험지식을 가정하여 적용하였고 그 결과를 비교하여 최적의 공간배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의 경험지식을 최적화된 건축물의 공간배치에 적용하려는 목적으로 공간구성에 대한 조건과 더불어 시범적으로 부분 통합도의 상대적 순위를 규칙의 형태로 변환하여 전문가시스템에 입력하였다. 또한 입력된 경험지식을 전문가시스템으로 추론하여 공간을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 또한 이러한 공간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 패턴과 연계하여 해석하거나[6] 그들의 행동을 예측하는 연구도[7] 다수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목표인 건축물의 공간배치 작업에는 공간의 특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감안하면 공간 구문론은 유용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다양한 공간배치 대안들이 존재할 경우 공간구문론적 이론은 최적의 대안을 도출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공간의 접근성에 대한 지식은 Table 2에 정의된 용도별 부분 통합도의 우선순위로 표현하였다. 어느 용도의 접근성을 우선시할 것인지는 전문가마다 의견이 다를 수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모든 경우를 시험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Table 4에 명시된 4가지 용도에 대하여 총 24가지의 경우의 수가 발생하며 이를 개별 시나리오로 정의하면 Table 8에서와 같다.

가설 설정

  • 그리고 공간의 크기와 형태 등 기타 속성은 고려하지 않았다. 다만 본 모델은 Table 4에서와 같이 4가지의 용도만을 고려하였고 각 용도별로 일정한 수량의 공간들로 구성된다고 가정하였다.
  • 반면에 두 배치안에서 용도2은 통합도는 전체 결과에서 가장 낮았다. 또한 가장 격리된 공간들이 필요하다면 용도2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따라서 접근성의 차이가 가장 큰 공간들을 원한다면 배치6의 용도 4와 2의 위치에 각각 배치하는 것이 최선일것이다.
  • 본 연구에 적용된 경험지식의 대상은 2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 공간 용도에 대한 지식으로서 모든 공간은 하나의 용도만을 가져야 하며 용도1, 용도2, 용도3, 용도4의 4가지로 분류된다고 가정하였다. 이를 규칙(Rule)으로 표현하면 Table 6와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체 공간과의 상호 관계를 바탕으로 개별 공간의 위상학적 특성을 연구를 위해 진행한 과정은? 공간구문론은 공간의 연결관계를 분석하여 건축물이나 도시의 공간배치에 대한 사회적, 심리적, 기능적 의미를 해석하는 이론으로서 전체 공간과의 상호 관계를 바탕으로 개별 공간의 위상학적 특성을 연구하는 이론이다. 이를 위해 건축물의 내부공간의 경우 볼록공간(convex space) 형태의 단위공간을 노드로 표현하고 링크 형태로 연결한 공간 네트워크로 변환한다. 그리고 모든 단위 공간은 상호 연결되고 이동시 거쳐야 하는 링크의 수량을 깊이로 다루어 다양한 정량적 지표들을 산출한다. 공간구문론은 이들 단위공간이 전체 공간에서 차지하는 관계성을 정량적으로 산출해보면 결국 인간의 거주하는 공간들은 어느 특정한 관계성을 내포한다는 이론이다.
공간구문론이란? 공간구문론은 공간의 연결관계를 분석하여 건축물이나 도시의 공간배치에 대한 사회적, 심리적, 기능적 의미를 해석하는 이론으로서 전체 공간과의 상호 관계를 바탕으로 개별 공간의 위상학적 특성을 연구하는 이론이다. 이를 위해 건축물의 내부공간의 경우 볼록공간(convex space) 형태의 단위공간을 노드로 표현하고 링크 형태로 연결한 공간 네트워크로 변환한다.
통합도는 무엇인가? 이러한 관계성을 표현하는 대표적 지표인 통합도(Integration)는 특정 공간에서 다른 모든 공간까지 도달하는데 거쳐야 할 깊이에 반비례는 지표이다. 즉 통합도가 높은 공간일수록 이동하는데 거쳐야 하는 공간의 전체적인 수량이 적기 때문에 중심에 근접하여 접근이 쉬운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illier B. and Hanson J., 1984,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https://en.wikipedia.org/wiki/Expert_system 

  3. Park, I., 2015, The Trend of Space Syntax Studies and Research Problem Typ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1(9), pp.29-38. 

  4. Oh, J., Park, H., and Kim, S., 2011, A Study on the Analysing Space Configuration and Character of Exhibition Area in Neo-Classical Museu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0(3), pp.225-232. 

  5. Choi, J., 1996, Changes in Residential Lifestyle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n the Context of the Changes in the 3LDK Apartment Unit Plans in the Metropolitan Seoul Are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2(9), pp.3-13. 

  6. Kim, K., et al. 2014,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edestrian Traffic Density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of Commercial Streets,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5(5), pp.161-171. 

  7. Yoo, J. and Lee, Y., 2008, A Study on the Correlation trough Quantitative Analysis of Spatial Configuration and Customer's Behavior in Retail Shop,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Spatial Design, 3(1), pp.59-67. 

  8. Moon, C., 199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Expert System for the Architectural Programming of Nursing Department in General Hospita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8(5), pp.29-37. 

  9. Kim, S. and Yeom, J., 2008, A Basic Study to Implement a Spatial Reasoning Engine - Reasoning and Visualizing Spatial Relations using a Rule Engin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4(5), pp.109-116. 

  10. Park, Y.,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Expert System for Validation of Spatial Layout in Terms of Space Program in Healthcare Architecture based on BIM Technologies-Focused on the Design Competition for Seoul Geriatric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16(4), pp.7-14. 

  11. https://en.wikipedia.org/wiki/Building_information_modeling 

  12. http://www.buildingsmart-tech.org/specifications/ifc-overview 

  13. Li, Y. et al., 2009. Design with Space Syntax Analysis based on Building Information Model: Towards an Interactive Applic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 in Early Design Process, CAAD Futures 2009, Montreal, pp.501-514. 

  14. Jeong, S., 2010, Development of a Spatial Subdivision Technique using BIM for Space Syntax Analysis of a Korean Traditional Hous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0(3), pp.57-62. 

  15. Kim, M., 2011, Development of the Spatial Analysis Software for the Application to the Early Stage of BIM Design Proces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7(10), pp.171-178. 

  16. Park, Y., 2012,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Spatial Network Analysis Tool based on Open BIM Technologies, Society of CAD/CAM Engineering, 17(1), pp.7-16. 

  17. http://www.solibri.com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