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석류의 거동 특성 및 유발강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Triggering Rainfall of Debris Flow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18 no.1, 2017년, pp.13 - 21  

장창봉 (Sam Kyung Co., Ltd.) ,  최영남 (Civil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유남재 (Civil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 동안 강원도 영서와 인접지역에서 토석류가 발생한 지역에 대해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강우자료를 수집하여 구축한 D/B를 바탕으로 토석류의 거동 및 강우특성을 조사하였다. 사면형과 계곡형의 토석류 종류에 따라 발생부, 유하부, 퇴적부로 구별되는 토석류 진행구간에 대해 토석류 거동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발생부 및 유하부의 침식 상태를 고려하여 토석류 규모를 산정하였다. 토석류 발생 당시의 강우자료 분석을 통해 토석류 유발 강우 기준에 대한 선행연구와 비교 분석하여 예경보 기준 정립에 고려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또한, 조사지역에 적합한 토석류 유발강우 ID 곡선을 제안하여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triggering rainfall of debris flow we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DB constructed by performing field investigation and collecting the rainfall data at the sites where debris flow occurred around the west of Gangwon and adjacent areas during the la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6∼2013년까지 여름철 집중호우와 태풍으로 인하여 발생한 토석류 발생지역을 대상으로 토석류 발생 및 진행된 전 구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06년 이후 강원도 영서지역 및 인근지역에서 발생한 토석류 현장의 발생부, 유하부 그리고 퇴적부를 조사하여 토석류의 거동특성에 대한 DB를 구축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토석류 유발강우의 특성에 대하여 토석류 발생 당시의 강우자료 분석을 통하여 토석류 산사태 유발 예・경보 기준에 대한 고려 사항을 제안하였으며 조사지역에 적합한 토석류 유발강우 ID 곡선을 제안하고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검토하였다.
  • 토석류가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계곡으로 이루어진 유하부를 따라 이동하며, 유하부의 경사가 6∼12° 이하의 완만한 경사가 되면 퇴적되기 시작한다(Ikeya, 1989). 본 연구에서는 유하부를 따라 이동하며 조사한 경사, 침식 폭, 심도 등을 통해 이동 특성 및 토석류 발생규모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변화로 인하여 2002년부터 2014년까지 우리나라는 어떤 피해를 입었는가?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 및 국지성호우의 증가로 2002년부터 2014년까지 우리나라의 연평균 산사태 피해면적은 666ha이며, 사망 9명, 905억 원(피해복구액 기준)의 재산피해로 인해 국가적으로 큰 손실을 입고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16). 특히, 2011년부터 2014년까지 발생한 사면재해 185개소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토석류는 77개소(41.
토석류의 형태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무엇을 의미하는가? 토석류의 형태는 사면형 토석류(Hill slope debris flow)와 계곡형 토석류(Channelized debris flow)로 구분할 수 있다. 사면형은 자연사면이나 인공사면에서 토석류가 시작되어 진행하다가 비탈면의 경사가 급격히 완화되면서 퇴적되는 토석류를 의미하며, 계곡형은 계곡의 하상이나 측면을 침식 및 세굴시키거나 사면형 토석류가 퇴적되지 않고 계곡으로 유입되어 진행하는 토석류를 의미한다(Evans, 1982). 토석류가 사면형으로 발생하더라도 토석류가 계곡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사면형보다는 계곡형이 더 많이 관찰되었으며, Kim(2008)이 2002∼2006년까지 고속도로에 피해를 입힌 토석류를 조사한 결과에서도 48개소 중 46개소가 계곡형으로 나타났다.
토석류 진행 전구간에 대한 정밀조사가 어려운 이유는? 토석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발생 지역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토석류 유발조건들을 파악하여 발생원인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 토석류의 진행경로 발생부, 유하부 그리고 퇴적부의 특성은 토석류 예방 대책수립에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되지만, 토석류 발생 시 응급복구로 인하여 현장 현황의 보전이 쉽지 않기 때문에 토석류 진행 전 구간에 대한 현장 정밀조사에 의한 의미 있는 자료의 확보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Caine, N. (1980), The rainfall intensity-duration control of shallow landslides and debris flows, Geografiska Annaler, 62A, pp. 23-27. 

  2. Cannon, S. H. and Savage, W. Z. (1988), A mass-change model for the estimation of debris-flow runout, Journal of Geology, Vol. 96, pp. 221-227. 

  3. Choi, D. Y. and Paik, J. C. (2012), Characteristics of runout distance of debris flow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2, No. 3B, pp. 193-201 (in Korean). 

  4. Choi, K. (1989), Landslide prediction methods and prevention, KFRI Research Information Report, No. 27, pp. 1-3 (in Korean). 

  5. D'Agostino, V. and Marchi, L. (2001), Debris flow magnitude in the eastern Italian Alps :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hysical Chemistry Earth(C), Vol. 26, No. 9, pp. 657-663. 

  6. Dahal, R. K. and Hasegawa, S. (2008), Representative rainfall thresholds for landslide in the Nepal Himalaya, Geomorphology, Vol. 100, pp. 429-443. 

  7. Evans, S. G. (1982), Landslides and surficial deposits in urban areas of British Columbia: A review,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 19, No. 3, pp. 269-288. 

  8. Ham, D. H. and Hwang, S. H. (2014), Review of landslide forecast standard suitability by analysing landslide-inducing rainfal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4, No. 3, pp. 299-310 (in Korean). 

  9. Hong, M. H., Kim, J. H., Jung, G. J. and Jeong, S. S. (2016), Rainfall threshold (ID curve) for landslide initiation and prediction considering antecedent rainfall,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32, No. 4, pp. 15-27 (in Korean). 

  10. Hungr, O., Morgan, G. C. and Kellerhals, R. (1984), Quantitative analysis of debris torrent hazards for design of remedial measures,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 21, pp. 663-677. 

  11. Ikeya, H. (1976) Introduction to sabo works: The preservation of land against sediment disaster, The Japan Sabo Association, Toyko, pp. 168. 

  12. Ikeya, H. (1981), A method of designation for area in danger of debris flow, In erosion and sediment transport in pacific rim steeplands, Proc. of the Christchurch Symp., Int. Assoc. Hydrol. Sci., Publ., No. 132, pp. 576-588. 

  13. Ikeya, H. (1989), Debris flow and its countermeasures in Japan, Bulletin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Engineering Geology, Vol. 40, pp. 15-33. 

  14. Jakob, M. (2005), A size classification for debris flow, Engineering Geology, Vol. 79, pp. 151-161 

  15. Jun, K. J., Kim, G. H. and Yune, C. Y. (2013), Analysis of debris flow type in Gangwon province by database co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3, No. 1, pp. 171-179 (in Korean). 

  16. Jun, K. J. and Yune, C. Y. (2015), Analysis of slope hazard triggering factors through field investigation in Korea over the past four years,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31, No. 5, May 2015, pp. 47-58 (in Korean). 

  17. Kang, S. H., Lee, S. R., Nikhil N. V. and Park, J. Y. (2015), Analysis of differences in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n initiation of landslides and debris flow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5, No. 2, pp. 249-258 (in Korean). 

  18. Kim, K. H., Jung, H. R., Park, J. H. and Ma, H. S. (2011), Analysis on rainfall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landslides in Gyeongnam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ol. 14, No. 2, pp. 33-45 (in Korean). 

  19. Kim, K. S. (2008), Characteristics of basin topography and rainfall triggering debris flow,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8, No. 5, pp. 263-271 (in Korean). 

  20. Kim, K. S., Jang, H. I. and Lee, S. Don. (2008), Analysis of debris flow magnitud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3015-3018 (in Korean). 

  21. Kim, W. Y., Kim K. S., Chae B. G. and Cho, Y. C. (2000), Case study of landslide types in Korea, Korean Society of Engineering Geology, Vol. 10, No. 2, pp. 18-35 (in Korean). 

  22. Korea Forest Service (2016), http://www.forest.go.kr. 

  23. Lo, Dok (2000), Review of natural terrain landslide debrisresisting barrier design. GEO Report No. 104, Geotechnical Engineering Office, Civil Engineering Department, The Government of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pp. 27-29. 

  24. Oh, J. R. and Park, H. J. (2014), Analysis of landslide triggering rainfall threshold for prediction of landslide occurre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4, No. 2, pp. 115-129 (in Korean). 

  25. Rickenmann, D. (1999), Empirical relationships for debris flows, Natural Hazards, Vol. 19, pp. 47-77. 

  26. Rickenmann, D. (2005), Runout prediction methods. In: Jakob, M., Hungr, O. (Eds.), Debris-flow hazards and related phenomena. Praxis, Chichester, UK, pp. 305-324. 

  27. Sassa, K. (1988), Special lecture: geotechnical model for the motion of landslides, Proceedings of the 5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Landslides, pp. 37-55. 

  28. Takahashi, T. (1991), Debris flow, IAHR Monograph, Balkema, pp. 165. 

  29. VanDine, D. F. (1996) Debris flow control structures for forest engineering, Working Paper 22/1996, BC Ministry of Forests, Victoria, BC, Canada, pp. 4-10. 

  30. Yoo, N. J., Yoon, D. H., Um, J. K., Kim, D. G. and Park, B. S. (2012), Analysis of rainfall characteristics and landslides at the west side area of Gangwon province, Journal of Korea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3, No. 9, pp. 75-82 (in Korean). 

  31. Yu, K. H. (2015), A Study on the movement and spread of hillslope debris flow - focusing on the case of Duchon-myeon, Hongcheon in 2013, M.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p. 68-75 (in Korean). 

  32. Yune, C. Y., Jeon, K. J. and Kim, G. H. (2010), Analysis of slope hazard-triggering rainfall characteristics in Gangwon province by database co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26, pp. 27-3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