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소비자 조사와 착의 실험을 통한 온도감응형 기능성 의류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Thermo-sensitive Clothing Development by Consumer Investigation and Wearing Test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9 no.1, 2017년, pp.90 - 100  

상정선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정경화 (중앙대학교 디자인학부 패션디자인전공) ,  박주현 (중앙대학교 화학신소재공학부) ,  오경화 (중앙대학교 디자인학부 패션디자인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research, consumer awareness investigation and wearing test were carried out for obtaining useful data on the development of thermo-sensitive functional clothing material. A survey involved 216 people in Seoul and Kyeonggi-do, and 200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도감응형 사계절용 기능성 의류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기능성 소재에 대한 소비자 조사를 실시하고 착의실험을 통하여 외기온에 따른 신체 부위별 의복온도와 피부온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소비자 조사를 통해서는 온도감응형 지능형 소재 적용을 통한 기능성 의류개발 시 소비자의 제품 선택 기준을 반영하여 제품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소비자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아이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도감응형 사계절용 기능성 의류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기능성 소재에 대한 소비자 조사를 실시하고 착의실험을 통하여 외기온에 따른 신체 부위별 의복온도와 피부온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소비자 조사를 통해서는 온도감응형 지능형 소재 적용을 통한 기능성 의류개발 시 소비자의 제품 선택 기준을 반영하여 제품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소비자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아이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착의실험을 통해서 외기온 변화에 따른 인체의 피부온과 의복표면온도를 조사하고 발한 부위를 고려하여 효율성이 극대화된 온도감응형 의복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소비자 조사를 통해서는 온도감응형 지능형 소재 적용을 통한 기능성 의류개발 시 소비자의 제품 선택 기준을 반영하여 제품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소비자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아이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착의실험을 통해서 외기온 변화에 따른 인체의 피부온과 의복표면온도를 조사하고 발한 부위를 고려하여 효율성이 극대화된 온도감응형 의복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소비자 조사는 소비자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는 시장성 있는 온도감응형 지능형 소재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설문을 통해 소비자들의 4계절 활용 의류 사용 경험, 체온조절 기능성 의류 사용 경험, 온도감응형 지능형 의류소재에 대한 인식 등을 알아보았다(Table 1).
  • 온도감응형 지능형 의류소재는 외기온에 반응하여 성능이 변하므로,계절에 관계없이 착용할 수 있는 의류의 소재로서 개발하기 적합하다. 따라서 온도감응형 지능형 의류소재를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제품군 및 관련 기술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소비자들의 4계절 활용 의류 사용 경험을 알아보았다. 4계절 활용 의류제품 보유 여부, 보유한 4계절 활용 의류제품의 제품군 및 소재, 착용 상황, 그에 대한 불만족 사항 등을 물어보았으며, 제품군, 착용 상황, 소재는 복수 응답할 수 있도록 하고, 불만족 사항은 가장 큰 불만족 사항 한가지만을 응답하도록 하였다.
  • 온도감응형 지능형 의류소재의 핵심 성능으로 개발되어야 할 성능은 체온조절 관련 성능이다. 따라서 기술 개발 시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을 파악하기 위해 체온조절 기능성 의류 사용경험도 알아보았다. 체온조절 기능성 의류에 관한 간략한 설명을 제시한 후, 체온조절 기능성 의류제품 보유 여부, 보유한 체온조절 관련 기능성 의류제품의 제품군 및 소재, 착용 상황, 그에 대한 불만족 사항 등을 물어보았다.
  • 본 연구는 온도감응형 사계절용 기능성 의류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온도감응형 기능성 소재에 대한 소비자 조사와 착의 실험을 통하여 외기온에 따른 신체 부위별 의복온도와 피부온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소비자 조사 결과, 많은 소비자들이 실내복 또는 실내용 운동복의 용도로 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소재로 된 속옷, 양말, 운동복 등을 계절에 관계없이 착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설 설정

  • 우선 운동복이 아닌 일상복으로는 몸에 많이 밀착되지 않는 실루엣의 가볍고 편안한 single jersey를 바탕으로 통기를 위하여 신체 부분적으로 mesh조직을 배치한 디자인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발한량이 많고 피부온도가 높은 등 윗부분과 등 중앙, 그리고 가슴 앞골 부분은 통기성이 우선시 되어야 하므로 hole의 개수도 많고 크기도 크며 밀도도 높은 mesh조직을 배치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겨드랑이 부분 또한 발한이 많으므로 통기성의 향상을 위해 hole의 개수와 밀도가 비교적 높은 mesh 조직의 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겨드랑이 부분 또한 발한이 많으므로 통기성의 향상을 위해 hole의 개수와 밀도가 비교적 높은 mesh 조직의 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피부온도가 비교적 낮은 어깨 부분에는 hole의 크기가 작고 개수와 밀도도 적게 편성된 조직을 배치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신체 상부의 배 부분은 의복외부온도가 가장 낮고 피부온도차이 또한 심하여 보온성 향상을 위해 mesh조직보다는 이중편성조직을 응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복은 어떤 능력을 제공해야 하는가? 인간이 생활하고 있는 환경 기후는 지역과 계절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 인간과 가장 가까이에 있는 환경인 의복은 인체의 생리적 기능을 보조하여 쾌적성을 유지시켜 인간으로 하여금 이러한 다양한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인체는 성별이나 계절 그리고 공기 중의 습도나 기류 등 환경요인에 따라 발한량이 달라지며 운동강도에 따라 신체 부위별로 또한 발한량이 달라진다.
의복에 외부의 온도변화와 신체 부위에 따른 다양한 발한량에 대처하고 피부온을 유지시키는 기능이 요구되는 이유는? 인간과 가장 가까이에 있는 환경인 의복은 인체의 생리적 기능을 보조하여 쾌적성을 유지시켜 인간으로 하여금 이러한 다양한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인체는 성별이나 계절 그리고 공기 중의 습도나 기류 등 환경요인에 따라 발한량이 달라지며 운동강도에 따라 신체 부위별로 또한 발한량이 달라진다. 그러므로 의복은 외부의 온도변화와 신체 부위에 따른 다양한 발한량에 대처하고 피부온을 유지시키는 기능이 요구된다.
지능형 섬유의 주요 핵심 기술은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체온조절을 위한 기능성 소재는 섬유나 의류자체의 전통적인 체온조절을 위한 보조기능이 아닌 변화무쌍한 외기온에 대한 감지 및 능동적 반응시스템을 적용한 인체와 정보의 상호교환이 가능한 지능형 섬유(smart fiber)라고 할 수 있다. 현재까지 온도조절 관련 지능형 섬유의 개발은 국내외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주요 핵심기술은 폴리머 개질에 의한 흡습·발열 섬유, 무기물 복합방사에 의한 보온 섬유, 체온 반사기능 보온소재 개발 등이다(Choi et al., 2006;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 Y. J. (2011). The influence of male consumers' clothing benefits sought on purchase intention of functional clothing : Focused on well-being health consciousness and 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3(6), 900-908. doi:10.5805/KSCI.2011.13.6.900 

  2. Cho, Y. J., Choi, J. H., & Beak, H. K. (2010). Gender and age difference in evaluative criteria and information sources of functional cloth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60(9), 150-161. 

  3. Choi, J., Yoo, J., Lee, Y., Park, Y., Kim. C., & Ku, G. (2006). 고기능성 축열, 발열 직물의 특성에 관한 연구 [Thermostatic mechanical and properties of fabric].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Spring Conference, Korea, pp. 204-206. 

  4. Choi, L. Y., Jeon, E. K., & Yoo, H. S. (2009). Effect of consumer knowledge and expectation of functional materials for apparel on university students' behavioral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1(2), 262-270. 

  5. Chung, I. H. (2009). The effect of well-being lifestyle and functional textile knowledge on the perception of high functional sports/leisure wear import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9), 1495-1505. doi:10.5850/JKSCT.2009.33.9.1495 

  6. Ha, J. H., & Kim, H. E. (2011). Physiological response of quick absorbing/drying T-shirts designed with sweating and skin temperature distribu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3(4), 635-643. doi:10.5805/KSCI.2011.13.4.635 

  7. Havenith, G, Fogarty, A., Bartlett, R., Smith, C. J., & Ventenat, V. (2008). Male and female upper body sweat distribution during running measured with technical absorbents.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04(2), 245-255. doi:10.1007/s00421-007-0636-z 

  8. Hong, H. S., & Koh, A. R. (2009). The effect of benefits pursued to clothing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apparel for consumer's wellbeing -Eco-friendly and health-functional appare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1), 1839-1852. doi:10.5850/JKSCT.2009.33.11.1839 

  9. Hu, J., Chung, S., & Li, Y. (2007). Characterization about the shape memory behavior of woven fabrics. The Institute of Measurement and Control, 29(3/4), 301-319. doi:10.1177/0142331207079814 

  10. Kim, J. H., Cho, G. S., & Cho, C. K. (2005). Thermal storage/release properties of thermostatic fabrics treated with octadecanecontaining microcapsules.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Spring Conference, Korea, pp. 285-288. 

  11. Lee, D. E. (2015). 발열 섬유 소재 및 개발 동향 [Development trend of heat release fiber]. Fiber Technology and Industry, 19(4), 255-261. 

  12. Min, M. H. (2014). 아웃도어 소재용 기능성 가공기술 동향[Processing technology trend of functional material for outdoor sportswear]. Fiber Technology and Industry, 18(2), 108-119. 

  13. Moon, J. H., Jeon, E. K., & Yoo, H. S. (2008). Information search behavior in functional sportswear purchasing -Focused on clothing and sports concer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11), 1814-1824. doi:10.5850/JKSCT.2008.32.11.1814 

  14. Oh, D., Jung, K., Yang, G., & Rho, Y. (2012). Development of intelligent thermoregulation textile material for sportswear.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Spring Conference, Korea, p. 98. 

  15. Park, H. (2011). Highly moisture absorbing and electro-conductive acrylic fibers for heat release materia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Seoul. 

  16. Park, S. J., Tokura, H., & Sobajima, M. (2006). Effect of moisture absorption of clothing on pitching speed of amateur baseball players in hot environmental conditions. Textile Research Journal, 76(5), 383-387. doi:10.1177/0040517506063388 

  17. Sim, S. B. (2014). 아웃도어 기능성 섬유소재 기술 동향 [Technology trend of functional material for outdoor sportswear]. Fiber Technology and Industry, 18(2), 96-107. 

  18. Son, S. G. (2015). 냉감기능성 섬유기술 개발 동향 [Technology and development trend of coolness fiber]. Fiber Technology and Industry, 19(2), 142-151. 

  19. 'Sweating & evolution'. (2010, May 1). The Dry Phamacist. Retrived June 20, 2016, from http://www.drypharmacist.com/sweating--evolution.html 

  20. 'Ventex heaterex'. (2013, November 19). Sedail. Retrived November 2, 2016, from http://www.ventexkorea.com 

  21. Yang, J. S., Park, H. S., & Jeon, Y. M. (2015). 온감/냉감 의류제품의 기능성 평가법 동향 [Evaluation trend of coolness and warmth clothing product]. Fiber Technology and Industry, 19(4), 262-27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