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장목의 부후 및 흰개미 저항성
Decay and Termite Resistance of Yellow-Hearted Pine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5 no.1, 2017년, pp.12 - 19  

이애희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장재혁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황원중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김남훈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황장목(黃腸木)은 적황색을 띠는 심재부의 비율이 높고 연륜폭이 매우 조밀하며 최소 수령이 100년 이상 되는 귀중한 소나무 자원이다. 조선시대에는 황장목을 궁궐, 사찰 등 중요 건축물에 사용하였다. 하지만 황장목의 재질특성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황장목의 천연내구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부후균 및 흰개미 저항성을 조사하였다. 공시균은 갈색부후균(Fomitopsis palustris)과 백색부후균(Trametes versicolor) 균주를 사용하였고, 공시 흰개미는 일본흰개미(Reticulitermes speratus)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갈색 및 백색부후균에 의한 중량감소율은 심재부에서 3.7~5.6%, 변재부에서는 16.1~26.3%로 나타났다. 또한, 흰개미 사충률은 심재부에서 약 4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황장목의 심재부는 부후균 및 흰개미에 대한 저항력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Yellow-hearted pine (YHP;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is one of the Red pine species and has extremely narrow growth ring and high ratio of heartwood growing in Korea. It has been used for valuable wooden constructions as palace and temple for royal family since the Joseon Dynasty period. 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2014)은 선행 연구로 황장목의 해부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황장목의 천연 내구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갈색부후균(Fomitopsis palustris)과 백색부후균(Trametes versicolor), 일본흰개미(Reticulitermes speratus)를 사용하여 내후조작 과정을 거친 후, 이들로부터 얻어진 중량감소율로 천연내구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갈색부후균과 백색부후균을 접종하고 내후조작을 시행한 시편에서 황장목의 변재부의 중량 감소율이 높게 나타난 이유는? 황장목의 변재부의 경우 내후조작여부에 따라 중량감소율이 약 7%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내후조작을통해 갈색부후균의 침투를 방해하는 추출물이 많이 제거되어 내후조작을 실시한 시편에서 중량감소율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황장목이란 어떤 소나무를 일컫는가? 황장목(黃腸木)은 연륜폭이 매우 조밀하고 최소 수령이 100년 이상 되는 소나무를 의미하며 수피는 암회색이며 거북이등껍질 모양으로 갈라져 있다. 또한 심재와 변재간의 색차이가 뚜렷하고, 적황색을 띠는 심재부가 크게 발달되어있다(Kim, 2013).
황장목의 서식지는 어디인가? 이러한 이유로 황장목을 생산하는 곳을 황장봉산으로 지정하였으며, 이 지역에는 수목을 보호하기 위한 경고의 표시로 황장금표(黃腸金表)를 세우기도 하였다(Park, 2006). 황장봉산과 황장금표의 위치를 통하여 황장목의 서식지는 태백산맥 주위 지역과 전라도 지역(순천, 강진, 고흥)인 것을 알 수 있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09). 태백산맥 주변 지역에서 생장하고 있는 황장목은 1928년 Uyeki에 의해 금강송으로 분류되어 현재는 금강송으로 불리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STM. 2005. ASTM D-2017: Standard test method for accelerated laboratory test of natural decay resistance of woods.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Philadelphia, U.S.A. 

  2. Chong, S.H., Park, B.S. 2008. Wood properties of the useful tree species grown in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pp. 208-376. 

  3. Hwang, S.W., Kim, D.W., Lee, W.H. 2014. Property of Uljin-Geumgangsong Wood (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 : Appearance Pattern of Resin Canal and Ray.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2(1): 78-87. 

  4. JIS K 1571. 2004 Test methods for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wood preservatives and their performance requirements. Japanese Industrial Standard (JIS), Japanese Standards Association, Tokyo. 

  5. Jo, J.C. 1994. Stand structure and growth pattern Pinus densiflora S. et Z. and their relationship to forest fire in Sokwang-Ri, Uljin-Gu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pp. 101. 

  6. Kim, D.W., Hwang, S.W., Lee, W.H. 2014. A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Korean Red Pine (Geumgangsong, 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2(1): 58-67. 

  7. Kim, G.H., Jee, W.K., Ra, J.B. 1996. Reduction in-mechanical properties of Radiata pine wood associated with incipient brown-rot decay.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4(1): 81-86. 

  8. Kim, N.H. 2013. Hwangjangmok-Yellow-Hearted Akamatsu Wood - for Wooden Cultural Assets in Korea. International Symposium on Frontier Researches in Sustainable Humanosphere 2013. pp. 5-7. 

  9. Kim, Y.H., Jung, G.S., Yoon, S.M., Lee, J.S., Ra, J.B., Kim, Y.S. 2015. Termite resistance of useful korean wood species according to European standard (EN118). 2015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wood science and technology annual meeting. pp. 108-109. 

  10. Kim, Y.S., Kim, K.H., Kim, Y.S. 2004. 木材保存科學.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ess. pp. 56-72. 

  11. Kirk, T.K., Highley, T.L. 1973. Quantitative changes in structural components of conifer woods during decay by white-and brown-rot fungi. Phytopathology 63: 1338-1342. 

  12. KS M 1701. 2010. Wood preservation.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13.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 Hwangjanggeumyo and Bongpyo. Korea National Arboretum, South Korea. pp. 58-66. 

  14. Lee, A.H., Jang, J.H., Kim, N.H., Park, B.H. 2014.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Yellow-hearted pine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30(1): 56-61. 

  15. Lee, H.S., Hwang, W.J., Lee, H.M., Son D.W., 2014b. Effectiveness of Three Commercial Wood Preservatives against Termit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3(6): 804-809. 

  16. Lee, H.S., Lee, H.M., Hwang, W.J., Son D.W., Lee, D.H. 2014a. Effect of cellulose and lignin component to feeding activity of Reticulitermes speratus. 2014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wood science and technology annual meeting. pp. 332-333. 

  17. Lee, W.C., Lee C.H. 1989. Plant Sociological Studies on the Pinus densiflora Forest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pp. 257-284. 

  18. Lee, W.K., Biging, G.S., Son, Y.H., Byun, W.H., Lee, K.H., Son, Y.M., Seo, J.H. 2006. Geostatistical analysis of regional differences in stem taper form of Pinus densiflora in central Korea. Ecological Research 21: 513-525. 

  19. Maeda, K., Ohta, M., Momohara, I. 2015. Relationship between the mass profile and the strength property profile of decayed wood.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9: 331-344. 

  20. Park, B.W. 2006. Pine and Hwangjangmok. Forestry Cooperative Federation. Forest 486: 28-33. 

  21. Park, H.C. 1996. The role of termites in an Ecosystem, Korea Society of Soil Zoology 1(2): 140-148. 

  22. Seo, J.W., Eom, C.D., Park, S.Y. 2014. Study on the Variations of Inter-annual Tracheid Length for Korean RP from Sokwang-ri in Uljin.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2(6): 646-652. 

  23. Shin, S.H., Lee, H.T., Im, Y,T., Kang, S.M., Kim, G.H. 2004. Natural durability and resistance evaluation of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and Larix leptolepis. 2004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wood science and technology annual meeting. pp. 353-356. 

  24. Song, H.K., Kim, S.D., Jang, K.K. 1995. Articles : An Analysis of Vegetation - Environment Relationships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and Chunyang - type of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by TWINSPAN and DCC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4(2): 266-2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