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장년 성인과 노인의 노화에 대한 태도
Attitude toward One's Own Aging among Korean Middle-aged Adults and the Elderly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9 no.1, 2017년, pp.41 - 50  

조아라 (을지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오희영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compare the factors influencing attitude toward one's own aging among Korean middle-aged adults and the elderly. Methods: A cross 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with a total sample of 70 middle-aged adults and 64 elderly reside in two metropoli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화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노화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장년 성인과 노인의 노화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어떤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다루었다. 노화태도 평균 점수를 보면 중장년 성인에 비해 노인의 노화태도가 부정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중장년 성인 및 노인의 노화태도를 비교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 주관적 건강인식, 건강통제위가 노화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장년 성인과 노인을 대상으로 노화태도를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주관적 건강인식 및 건강통제위가 노화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긍정적인 노화태도를 형성하는데 기여하고 궁극적으로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과정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화태도란 무엇인가? 인간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체, 심리, 사회적인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자신의 삶이나 상태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고 주관적인 인식을 가지게 되는 것을 노화태도라 한다[1]. 노화태도는 삶의 과정에 대한 만족이며 행복감의 한 구성요소이자[1] 나이를 먹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자아상이다[2].
긍정적인 노화태도를 갖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긍정적인 노화태도를 갖는 것은 성공적인 노화에 중요한 요소이다. 그 이유는 개인이 갖고 있는 노화태도가 자신의 건강행위나 삶의 질에 직 ․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6]. 노화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사람은 노화됨에 따라 지혜가 축적되고 젊은 세대에게 역할 모델이 된다고 느끼나 부정적인 사람은 건강 악화, 생산성 및 사회적 지위 상실의 과정으로 평가하고[7] 삶의 질과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저하[6], 질병의 안 좋은 예후, 사망률의 증가[8] 등을 경험한다. 따라서 각 개인이 긍정적인 노화태도를 갖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노화태도 형성에 기여하는 것은? 이 개념은 일반 노인에 대하여 사람들이 가지는 주관적인 인식이나 노인들은 늙고 능력이 없어 쓸모가 없다고 생각하는 노인편견과는 차별화된다[3]. 인간은 나이가 들수록 상황이 악화되거나 자신이 점점 쓸모없는 사람이 된다고 느끼기도 하고 반대로 나이가 들면서 기대했던 것보다 상황이 덜 나쁘다고 생각하는 등 개인마다 인식이 다른데 이것이 노화태도 형성에 기여한다[1]. 또한 본인이 젊은 시절에 가지고 있던 노인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본인에게 적용하는 과정에서 부정적인 노화태도가 형성되기도 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awton MP. The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ale scale: a revision. Journal of Gerontology. 1975;30(1):85-9. https://doi.org/10.1093/geronj/30.1.85 

  2. Sijuwade PO. Attitudes towards old age: a study of the self-image of aged. Studies on Home and Community Science. 2009;3(1):1-5. 

  3. Lee YK. Images of the elderly held by non-elderly.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2007;30(2):1-22. 

  4. Levy-Gigi E, Keri S. The interactive effect of negative reversal learning and age on depression: possible cognitive mechanisms underlying the elevated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adults. Psychology and Aging. 2015;30(2):341-7. https://doi.org/10.1037/a0039181 

  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nalysis of the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Policy Report.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4 December. Report No.:11-1352000-001426-12. 

  6. Top M, Eris H, Kabalcioglu F. Quality of life (QOL) and attitudes toward aging in older adults in Sanliurfa, Turkey. Research on Aging. 2013;35(5):533-62. https://doi.org/10.1177/0164027512447822 

  7. Samus QM. Positive attitudes on aging: a life course view.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014;26(9):1415-15. https://doi.org/10.1017/s104161021400115x 

  8. Benito-Leon J, Louis ED, Rivera-Navarro J, Medrano MJ, Vega S, Bermejo-Pareja F. Low morale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mortality in the elderly: a population-based prospective study (NEDICES). Age and Ageing. 2010;39:366-73. https://doi.org/10.1093/ageing/afq028 

  9. Suh SR, Choi HJ. Aging anxiety and related factors of middle-aged adul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 25(4): 464-72. https://doi.org/10.7475/kjan.2013.25.4.464 

  10. Bae HY, Kim A, Nam SJ, Youn JA, Youn HJ, Kim GY, et al. The influence of expectations regarding aging on health-promoting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4;25(1):77-85. https://doi.org/10.7465/jkdi.2014.25.1.77 

  11. Choi SJ. Life in old age and images of the aged perceived by middle-aged and old-aged generations in capital region in Korea.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9;29(1):329-52. 

  12. Lee MJ. Predictors of attitudes toward own aging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adults-panel analysis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2012;64(1):101-24. 

  13. Kim MI, Lee SW, Kim HJ. A study on the self-rated health of the elderly in Seoul according to their preparation for old age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3;33(3):327-60. https://doi.org/10.15709/hswr.2013.33.3.327 

  14. Wallston KA, Wallston BS, DeVellis R. Development of the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MHLC) scales. Health Education & Behavior. 1978;6(1):160-70. https://doi.org/10.1177/109019817800600107 

  15. McConatha JT, Schnell F, Volkwein K, Riley L, Leach E. Attitudes toward ag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young adults from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2003;57(3):203-15. https://doi.org/10.2190/k8q8-5549-0y4k-ugg0 

  16. Lifshitz H. Attitudes toward aging in adult and elderly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Educational Gerontology. 2002;28(9):745-59. https://doi.org/10.1080/03601270290099912 

  17. Jung YM. Mood stat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attitude towards aging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a spou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5;17(4):656-67. 

  18. Bae MJ. Middle aged people's attitudes toward elderly and preparations for their old ag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09;29(3):1107-22. 

  19. Park SM. Effect of health status on life-satisfaction of the elderly-focusing on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activities and economic activitie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11;53:305-32. 

  20. Seomun JH.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depression/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people. Journal of Church Social Work. 2010;12:67-95. 

  21.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2):175-91. https://doi.org/10.3758/bf03193146 

  22. Hong SH, Kwak IS. The effects of attitude towards aging on successful aging: the differences between single and couple aged famil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11;49(4):77-91. https://doi.org/10.6115/khea.2011.49.4.077 

  23. Speake DL, Cowart ME, Pellet K. Health perceptions and lifestyles of the elderl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989;12(2):93-100. https://doi.org/10.1002/nur.4770120206 

  24. Im YM, Kwak JG. A methodology on classification of data for effective data mining.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04;1(2):3. 

  25. Hwang MH. Factors influencing the well-being of the aged in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7;18(1):23-31. 

  26. Cha NH.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health locus of control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ch. 2013;19(2):177-85. https://doi.org/10.14370/jewnr.2013.19.2.177 

  27. Yang DW, Cho B, Chey JY, Kim SY, Kim B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dementia screening questionnaire (KDSQ).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02;20(2):135-41. 

  28. Statistics Korea. Chronic disease morbidity for 2014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5 Aug 21].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29. Oh HS, Lee GM. Caregivers' knowledge on aging and attitudes toward the aged. Korea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2008;17:73-81. 

  30. Yang YK. A study on aging knowledge, attitudes and awareness about supporting the aged in undergraduat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19(4):498-507.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4.4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