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가 와상 환자를 돌보는 노인배우자의 경험
The Elderly Spouses' Experiences of Providing Care for their Bedridden Patient at Home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9 no.1, 2017년, pp.63 - 75  

조연실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  손수경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describe the reported experiences of elderly spouses who care their bedridden spouse in the home.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4 male and female elderly spouses who live in B metropolitan city and have provided care for more than six months. 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재가 와상 환자를 돌보는 노인배우자들의 경험의 의미와 과정을 심층 분석하여 기술함으로써 그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돌봄 부담감을 경감시키기 위한중재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에서 노인 호나자를 돌보는 주돌봄자들의 특징은 무엇인가 가정에서 노인 환자를 돌보는 주돌봄자들은 평균 60세 이상의 여성 배우자가 많았으며[5,7], 하루 평균 10시간 이상의 집중적인 환자 돌봄으로 인한 부담감을 갖고 있으며, 우울 증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6]. 또한 돌봄 역할은 환자의 나이, 건강 상태, 정서적 상태, 돌봄 시간, 정서적 지원에 따라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8], 뇌졸중과 치매, 파킨슨병을 가진 노인의 배우자에서 심리적 부담감이 높았으며, 사회생활에 대한 제한, 수면 방해를 호소하고 있었다[9].
주돌봄자들은 어떤 증상을 호소하고 있는가 가정에서 노인 환자를 돌보는 주돌봄자들은 평균 60세 이상의 여성 배우자가 많았으며[5,7], 하루 평균 10시간 이상의 집중적인 환자 돌봄으로 인한 부담감을 갖고 있으며, 우울 증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6]. 또한 돌봄 역할은 환자의 나이, 건강 상태, 정서적 상태, 돌봄 시간, 정서적 지원에 따라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8], 뇌졸중과 치매, 파킨슨병을 가진 노인의 배우자에서 심리적 부담감이 높았으며, 사회생활에 대한 제한, 수면 방해를 호소하고 있었다[9]. 노인 환자를 돌보는 배우자 또한 노인이라는 점과 고립된 공간에서 전적으로 혼자서 돌봄을 책임져야 하는 상황[10]이 대부분이므로 체력적, 심리적으로 취약한 상태가 되기 쉬우므로 관심이 요구된다.
재가노인의 특징은 무엇인가 노인은 일상생활활동능력이 떨어진 경우가 대다수이며, 이로 인해 와상상태로 병원치료를 받거나 퇴원 후에도 지속적인 돌봄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재가노인의 경우 만성질환이 많을수록, 우울정도가 심할수록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저하되며[3], 성별, 연령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인식, 알코올 남용여부에 따라 인지기능의 장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 이들 노인 환자 중 재가간호가 필요한 경우 방문요양서비스나 가정 간호서비스를 받고 있지만 주돌봄자인 배우자에 의해 간호를 받고 있는 경우가 대다수이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orea insurance research institute. The 3.8 times increasement of geriatric disease medical expense for last six years. KIRI Weekly. 2010 February 8:14. 

  2. Statistics Korea. Th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older person in Korea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6 November 18].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71_2011N055&conn_pathI2 

  3. Baik OM. Factors associated with functional health outcome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2011;38:1-27. 

  4. Kim EJ. Factors influencing cognitive impairment of the elderly resi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0;16(2):122-30. 

  5. Ree KO, Lee MJ. A study on caregiving burden among family caregivers of impaired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0;20(2):215-28. 

  6. Han SJ.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of home care patient's primary caregiver.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0;17(2):144-55. 

  7. Baek HC, Choi YJ. Identifying the needs of home care patient's family caregiver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08;15(2):115-21. 

  8. Given B, Stommel M, Collins C, King S, Given CW. Responses of elderly spouse caregiver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990;13(2):77-85. 

  9. Thommessen B, Aarsland D, Braekhus A, Oksengaard AR, Engedal K, Laake, K. The psychosocial burden on spouses of the elderly with stroke, dementia and Parkinson's disease.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2;17(1):78-84. https://doi.org/10.1002/gps.524 

  10. Lee SM, Kim HK. Elderly husbands' caregiving for their sick wives: narratives of husbands and wives. Family and Culture. 2009;21(4):63-94. 

  11. Eun Y, Choi KS, Kim SJ. A Study on burden of older spouses of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999;1(2):160-71. 

  12. Han JH, Park YH. Caregiver's burden and quality of life of male spouses with stroke wiv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2;24(6):615-26. 

  13. Jeon SN. A grounded theory on the caregiving experiences for the rural elderly males who caring for their wives of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7;16:105-28. 

  14. Choi HK. A ground theory study on elderly male caregivers of spouses: focused on the structure and types of care. Family and Culture. 2012;24(4):45-81. 

  15. Gregory DM, Peters N, Cameron CF. Elderly male spouses as caregivers: toward an understanding of their experience.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1990;16(3):20-4. 

  16. Medina MV, Haltiwanger EP, Funk KP. The experience of chronically ill elderly Mexican-American men with spouses as caregivers. Physical & Occupational Therapy in Geriatrics. 2011;29(3):189-201. https://doi.org/10.3109/02703181.2011.587636 

  17. Jang HY.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n caring experience of the spouses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4. 

  18. Kim, NY. A study on long-term care financing and providers in the United States and its policy implica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0;168(10):45-56. http://repository.kihasa.re.kr:8080/handle/201002/4343 

  19. Strauss AL, Corbin JM.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998. 

  20. Lincoln YS, Guba EG.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1985. 

  21. Han GH, Lee SY. The effect of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on burden of spouse caregivers: focused on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9;29(2):683-99. 

  22. Kim SY. The experience of primary caregivers of bed ridden patients receiving home health care service.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2013. 

  23. Lee HA. Caregiver burden in caring for elders before and after long-term care service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2):236-47. 

  24. Lee JW, Lee HA, Hwang JH. Awareness of Korean elderly on aged lif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1;31(3):711-32. 

  25. Chung MS.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07;37:249-73. 

  26. Song IS, Yoo EK. A study on the stress of the family caregiver caring the elderly hospitalized by chronic illness. Hanyang Journal of Medicine. 1998;18(2):187-96. 

  27. Kim TS, Seo SN. A qualitative approach of the elderly's lives through the life history research: focused on the elderly who lived hom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12;53:291-318. 

  28. Choi KS. Eun Y. A theory construction on the care experience for spouses of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0;30(1):122-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