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각 장애인의 의복행동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clothing behavior of visually impaired people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5 no.1, 2017년, pp.75 - 87  

김태미 (한국폴리텍대학섬유패션캠퍼스 패션소재과) ,  조철현 (법무부 직업훈련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isually impaired people's clothing behavior,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The results are intended to be used as baseline data to make an instrument that can measure the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visually impaired people's clothing needs from the pers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후천적인 원인에 의한 시각 장애인의 비율은? 2015년 보건복지부 통계자료에 의하면 등록된 시각 장애인은 25만 명을 넘어섰으며, 현재 시각 장애인의 90%는 질환과 사고로 인한 후천적인 원인으로 시각 장애를 겪고 있다. 시각장애인 중 88%는 저시력 장애인으로 잔존 시력을 가지고 있다(Oh et al.
현대인의 의복 욕구란? 욕구란 개인의 구매의사 결정과 소비 사이클에 영향을 주는 중요 요인으로, 개인이 의복을 통해 충족시키고자 하는 총체적인 욕구를 의복욕구라고 정의할 수 있다. 현대인의 의복 욕구는 기본 욕구의 충족을 얻어 자기 정체성을 표현하고, 쾌락과 체험을 추구하므로 의복욕구는 개인의 심리적인 만족과 이를 위해 구체적인 선택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다차원적이고 총체적으로 파악하여야 한다(Kim & Rhee, 2008). Maslow는 욕구 5단계 이론에서 인간은 생존을 위한 의식주와 같은 1단계의 “생리적 욕구”가 충족되면, 2단계로 몸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욕구를 갈망하고, 이 “안전 욕구”가 충족되면, 3단계에서의 사회적 관계 속에서 “사랑과 소속감의 욕구”를 추구한다고 하였다.
사회적 환경이 의복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의복행동에는 의복에 대한 개인의 욕구에 못지않게 개인에 작용하는 환경적 또는 사회적 환경이 개인의 욕구에 작용한다. 왜냐하면 의복관련 행동은 본질적으로 일종의 사회적 행동이고, 사회적 행동에는 문화적, 경제적, 사회적 영향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개개인이나 집단이 가지는 자아 존중감과 주변관계와의 만족 정도가 의복행동의 특성에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Kim & Choi,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J.-H., & Lee, S.-J. (2007). A study on developing color braille system for the blind.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0(4), 571-581. 

  2. Chong, H.-S., & Lee, K.-R. (2011). A qualitative study on the disability experience of the handicapped with restricted growth.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7(4), 265-289. 

  3. Giorgi, A. (2004).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K. L. Shin, Y. G. Jang, I. S. Park, M. Y. Kim, & S. E. Jung, Trans). Seoul: Hyunmunsa. (Original work published 1985) 

  4. Hong, S. S. (2001). Clothing for the handicapped: Brace?crutch & wheelchair user.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9(6), 830-841. 

  5. Kang, H. W. (1995). 의상사회심리학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Paju: Kyomunsa. 

  6. Kim, D. G. (2005).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independent living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13, 83-110. 

  7. Kim, H. S., & Rhee, E.-Y. (2008).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clothing needs and want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9(4), 1-18. 

  8. Kim, J. E. (2006). 소비자행동 [Consumer behavior]. Seoul: Hyungseul Publishing. 

  9. Kim, K.-A., & Park, S.-K. (200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lothes for the visually impaired: Focusing on the multi-functional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5(2), 15-29. 

  10. Kim, T. M., & Choi, I.-R. (2011). A study of cloth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self-esteem, body-cathexis and personal-relationship in multicultural families: Forcing on the chinese, filipinos and vietnamese.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3(4), 179-188. 

  11. Lee, H.-J. (2010). Wedding dress design for handicapped peopl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8(6), 1254-1260. 

  12. Lee, W.-S., & Ye, K.-H. (2016). A study on the condi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18(3), 369-378. doi:10.17337/JMBI.2016.18.3.369 

  13. Lee, Y. S., & Yoo, H. J. (2003). A study on fabrics and designs of clothing for handicapped persons. The Journal of Applied Science Technology, 12(2), 1-11. 

  14. Merriam, S. B., & Tisdell, E. J. (2015).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4th ed). San Francisco: John Wiley & Sons. 

  15. Oh, I. P., Baek, A. R., Kwon, J. A., Park, H. J., Sohn, S. G., & Choi, H. K. (2016, January). A study on improvement of assistive device for low vision: Focused on the use of smart assistive device and mobile application. Proceedings of HCI Korea, Jeongseon, 198-205. doi:10.17210/hcik.2016.01.198 

  16. Park, H. J. (2011). Korea Patent No. 1020110132473. Daejeon: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17. Park, M. H., Park, M. S., Jae, M. K., Park, M. H., Jung, J. W., & Choi, K. S. (2013). (가치소비시대의) 소비자 의사결정 [Consumer values: How they affect consumer decision marking]. Paju: Kyomunsa. 

  18. Shin, E. H., & Ohmi, G. (2012, May). Characteristics of color terms and their interrelationship in congenitally blind people.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Seoul, 13-14. 

  19. Shin, J.-S., Kim, I.-K., & Choi, J.-W. (1999). An analysis of condition on clothing of disability.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7(2), 304-314. 

  20. Shin, S. M., & Chun, J. S. (2011). A study on donning and doffing independence of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on upper-limb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1), 42-53. 

  21. Stake, R. E. (2001). 질적 사례연구 [The arts of case study research]. (Y. H. Hong, K. J. Roh, & J. H. Shim, Trans.). Seoul: Chang-Ji Co,. Publishers. (Original work published 199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