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다문화 이주여성의 구강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oral health status of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7 no.1, 2017년, pp.145 - 153  

이종화 (수성대학교 치기공과) ,  최미숙 (안동과학대학교 치위생과) ,  장영호 (안동과학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paper aimed to contribute to better oral disease prevention and practice of health behavior for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to define missing and filled permanent teeth index of immigrant women, data from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에서 수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11] 자료를 이용하여 다문화 이주여성의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 일반적 특성 및 구강건강행태와의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보다 실증적인 다문화 이주여성의 구강건강예방 및 관리방안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다문화 이주여성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구강보건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에서 수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11] 자료를 이용하여 다문화 이주여성의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 일반적 특성 및 구강건강행태와의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보다 실증적인 다문화 이주여성의 구강건강예방 및 관리방안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다문화 이주여성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구강보건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에서 수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2014)[11] 자료를 이용하여 다문화 이주여성의 우식경험영구치지수에 대해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다문화 이주여성의 우식경험영구치지수는 7.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문화 이주여성의 구강건강상태를 범주화하고, 분석 결과에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대표성과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다문화 이주여성을 위한 사업에서 치아우식증 관리의 중요성과 이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에서 수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2014)[11] 자료를 이용해서 다문화 이주여성의 구강건강상태에 대해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층화, 집락, 표본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건강 설문, 구강검진조사를 실시한 만 19세 이상 다문화 이주결혼여성으로 출생 시 국적이 외국이며, 현재국적이 한국인 추정수 133,09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질환 예방과 검진에 대해서 다문화 이주여성이 사각지대에 놓인 이유는 무엇인가? 구강질환을 예방하고 구강건강상태를 건강하게 유지, 관리하기 위해서는 구강건강행태와 구강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정기적인 구강검진이 필요하나, 언어적 소통문제와 경제적 비용의 부담으로 다문화 이주여성들의 구강건강관리는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4].
세계화와 다문화란? 현대사회는 국제간 다양한 교류를 통해 급속한 사회구조의 변화를 겪고 있으며, 그에 따른 세계화와 다문화 사회로의 변모를 갖추고 있다. 세계화와 다문화란 광의로 국경과 인종을 초월한 사회, 경제, 정치 등을 서로 소통하고, 교류하는 사회를 말한다. 이는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활발히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되고, 이러한 추세는 사회 구조적인 요소들이 장기적으로 정착될 것으로 예상된다[1].
다문화 이주여성들에 대한 구강건강과 관련 교육의 실정은 어떠한가? 이러한 다문화 이주여성들의 우리나라 생활 적응은 그들이 성장한 문화적 환경과는 상이한 새로운 문화권으로의 진입이고, 새로운 사람들과의 관계를 형성을 습득하는 과정으로 생활양식의 다양성 가운데 구강건강을 포함한 건강은 생활의 기본적인 요인으로 체계적인 예방과 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이주에 따른 식습관의 급작한 변화로 인한 적절한 영양 섭취 부족과 구강건강과 건강 관련교육 및 의료혜택은 적절한 배려가 없거나 취약한 실정이다[4]. 이에 그로인한 구강질환의 악화는 발치로 이어지고, 잔존 치아의 기능 회복을 위한 후속 진료에 보다 큰 경제적 부담이 되기도 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Lee YN. Qualitative study on 'Becoming a mother'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Centered on Japanese mothers. Korean J Japan Edu 2015;20(1):65-85. 

  2. Korea Immigration Service MOJ. Annual Report Korea Immigration Service Statistics: Gyeonggido: Ministry of Justice; 2015:171-2. 

  3. Kim JH. A study on the dietary patterns affecting acculturation among marriage migrant women in urban area. J Korean Home Eco Edu Asso 2015;27(4):173-89. 

  4. Cho WS, Chun JH, Choi MS, Lee JH, Lee HM, Yi JH, et al. Oral healthcare related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in Gyungsangnam-Do.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1;35(4):432-40. 

  5. Petersen PE, Bourgeois D, Ogawa H, EstuPinan-Day S, Ndiyae C. The global burden of oral disease and risks to oral health.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5;83(9):661-9. 

  6. Jeon ES, Jin HJ, Choi SL, Jang BJ, Jeong SY, Song KB, Choi YH. Oral health status in women of Korean multicultural familie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9;33(3):499-509. 

  7. Lee JH, Nam IS, Jun MS, Yun HK. Oral health characteristics of the multicultural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in Gimcheon, Gyeongbuk, Korea. J Korean Soc Dent Hyg 2015;15(5):865-72.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5.865 

  8. Kim HJ, Nam JY. Related factors of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igrant women in ulticultural families. J Korean Soc Dent Hyg 2016;16(1):93-101.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1.93 

  9. Jeon ES, An SY, Choi YH. Migrant multi-cultural family women's life quality related to oral health: survey in Dae-Gu. J Dent Hyg Sci 2011;11(3):181-7. 

  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1 [Interne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ited 2016 July 6].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Interne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ited 2016 July 6]. Available from: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12. Lee JH, Kim BS.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the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of Korean adults. Asia-pacific J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5;5(3):119-30. https://doi.org/10.14257/AJMAHS.2015.06.20 

  13. Petersen PE, Ogawa H. Strengthening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the WHO Approach. J Periodontol 2005;76(12):2187-93. 

  14. Jin HJ, Jung EK, Lee YE, Song KB. Cognition of dental caries prevention by the level of the social economic status in Korea: Based on Gallup survey. J Korean Soc Dent Hyg 2015;15(1):39-46.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1.39 

  15. Lim SH, Hwang JM. Relationship of oral health management behavior to plaque index systems. J Dent Hyg Sci 2015;15(2):159-65. https://doi.org/10.17135/jdhs.2015.15.2.159 

  16. Kwon HK, Choi YH, Choi CH. The baseline study for insurance coverage of preventive treatment item on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2;26(3):271-81. 

  17. Cho MJ, Hong NH, Ha MO.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based on preventive dentistry and practice. J Korean Soc Dent Hyg 2015;15(5):907-16.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5.90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