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평족에 대한 관절가동술과 자가신장이 요부의 신장성, 요통과 하지 체중부하 차이에 대한 비교 연구
The Comparison Study of Ankle Joint Mobilization and Elongation on the Difference of Weight-bearing Load, Low Back Pain and Flexibility in Flat-foots Subjects 원문보기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v.23 no.2, 2017년, pp.9 - 16  

박성두 (다사랑연합의원 재활슬링운동센터) ,  유달영 (OPT 운동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ine and the flat-foot, the stability and the alignment of the posture of the neck to prevent the alignment of the ankle joint operation and the lower back flexibility of the lumbar region according to the type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자가신장운동과 수동적 중재인 족관절의관절가동술을 결합시키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는문상은(2004)의 이론에 기초 하였다. 그러한 결과로 요부의 굴곡에서는 자가신장 집단과 관절가동술의 결합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요부의 유연성, 통증, 양하지 체중지지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더욱 더 효과적인 방법임을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편평족에 자가신장과 족관절 주위의 관절가동술의 중재를 실시하였을 때 요부에서 일어나는 통증의 변화와 하지의 체중부하의 지지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되었다. 기존에 요부의 신장성과 통증강도의 연구를 보았을 때 대부분 요부에 직접적으로 중재를 함으로써 일어나는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들이 많았다.
  • 본 연구에서는 균형의 중요 전략중 하나인 족관절전략의 핵심요소인 족관절의 편평족에 대해 신장성운동과 관절 가동술을 시행하고 양하지 체중지지 차이를 통한 균형과 아울러 연결된 관절의 연결성을 파악하여 요부의 통증과 신장성, 체중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연구되고 있는 요추부의 직접적인 치료중재와 더불어 보행과 체중의 지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균형 유지를 위한 발목의 전략이 필요하므로 발의 정렬을 통하여 전체적인 신체 균형을 유지하고 능동적인 중재와 수동적인 중재를 결합한 것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하여 연구를 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보듯이 발목의 국소적 치료를 통해 전신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가정 하고 발목의 치료가요부의 통증, 기능과 신장성 증가에 영향을 주어 요통의 치료에 도움을 주고, 양하지의 체중부하에 대한 비정상을 얼마나 개선시키는지의 효과를 연구하며 이로써 요통에 대한 예방과 치료에 대한 부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스스로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능동신장을 이용한 자가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요통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연구되고 있는 요추부의 직접적인 치료중재와 더불어 보행과 체중의 지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균형 유지를 위한 발목의 전략이 필요하므로 발의 정렬을 통하여 전체적인 신체 균형을 유지하고 능동적인 중재와 수동적인 중재를 결합한 것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하여 연구를 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보듯이 발목의 국소적 치료를 통해 전신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가정 하고 발목의 치료가요부의 통증, 기능과 신장성 증가에 영향을 주어 요통의 치료에 도움을 주고, 양하지의 체중부하에 대한 비정상을 얼마나 개선시키는지의 효과를 연구하며 이로써 요통에 대한 예방과 치료에 대한 부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통이란 무엇인가? 요통은 일생을 통해 80% 이상의 사람들이 한 번 이상 경험하는 매우 흔한 요부의 이상증상이다(Wheeler, 1996). 원인은 다양하지만 체간 연부조직의 손상과 그에 따른 근력의 약화가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고(Fordyce 등, 1986), 특히 반복되는 일상생활동작과 습관이 나쁜 자세에서 이루어질 경우 요통의 발생 및 재발을 촉진 시킬 수 있으며, 그 근본적인 교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완전한 요통의 치료를 기대하기는 어렵다(Cailliet, 1998).
어떤 경우 요통의 발생 및 재발을 촉진하는가? 요통은 일생을 통해 80% 이상의 사람들이 한 번 이상 경험하는 매우 흔한 요부의 이상증상이다(Wheeler, 1996). 원인은 다양하지만 체간 연부조직의 손상과 그에 따른 근력의 약화가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고(Fordyce 등, 1986), 특히 반복되는 일상생활동작과 습관이 나쁜 자세에서 이루어질 경우 요통의 발생 및 재발을 촉진 시킬 수 있으며, 그 근본적인 교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완전한 요통의 치료를 기대하기는 어렵다(Cailliet, 1998). 요통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체간 연부조직의 손상이나 근력의 약화로 인한 것이 요통의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하였다(Fordyce 등, 1986).
체중지지하에서 거골하 관절이 회내로 움직일 때 어떤 결과를 야기하는가? 발과 족관절에 있는 거골하 관절은 거골과 종골 사이에 전,중,후면이 분리된 관절면으로써 삼면운동이 단일축으로 일어나며 회내와 회외를 형성하고(Hamill 와 Knutsen, 1965) 비체중부하시 거골하 관절이 회외 방향으로 움직일때 발은 거골 주위에서 종골의 내반, 족저굴곡, 내전되며(Lattanza 등, 1998), 거골하 관절이 회내로 움직일 때 종골은 외전, 외반, 배측굴곡 된다(Wright등, 1964). 그러나 체중지지하에서 거골하 관절의 회내자세는 종골이 바깥쪽으로 움직이고 동시에 거골의 안쪽 모음과 족저 굴곡되며 하지의 움직임은 거골이 수평면에서 안쪽회전되는 결과를 가져온다(Magee, 1997;Root 등, 1997; Tiberio, 1987). 과도한 편평족의 가장흔한 역학적 문제는 과도한 종골의 외반(2~3도)과 다리와 무릎, 고관절, 허리 등의 문제를 동반한 자세 증상등도 포함 되고(Valmassy, 1998), 편평족은 체중부하 상태에서 중족 지절관절의 배측굴곡을 제한한다(Munteanu와 Bassed,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김선엽. 요통환자와 정상인의 양하지 체중지지 차이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1;8(1):1-8. 

  2. 문상은. 전신조정술. 서울. 정담미디어. 30-83. 2004 

  3. 이성은. 발목관절 가동범위 증진 프로그램이 노인의 보행과 균형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5;12(2):28-36. 

  4. 이재학, 함용운, 장수경. 측정 및 평가. 서울, 대학서림. 111-112. 1998 

  5. 최현임. 척추측만증과 족부의 관련성 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18-19. 

  6. 황윤태, 유경태, 이미영 등. 스트레칭운동에서 온열요법 이 요부의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재활과학연구. 2007;25(1):103-114. 

  7. 형인혁, 김형수, 이건철. 회내발에 대한 관절 가동술과 능동운동이 근활성도와 동적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09;37(2): 1023-1032. 

  8. Bolz S, Davies GJ. Leg length differences and correlation with total leg strength. J. Orthop. Sports Phys. Ther. 1982;3(3):105-107. 

  9. Brantingham JW, Gilbert JL, Shaik J. Sagittal plane blockage of the foot, ankle and hallux and foot alignment-prevalence and association with low back pain. J. Chiropr Med. 2006;5(4): 123-127. 

  10. Brown M, Sinacore DR, Host HH. The relationship of strength to function in the older adult.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1995;50,55-59. 

  11. Cailliet R. Low Back Pain Syndrome. Philadelphia, FA Davis Co. 147-184. 1998. 

  12. Cherkin DC, Deyo RA, Loeser JD, et al.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back surgery rates. Spine. 1994;19(11):1201-1206 

  13. DeLome TL. Heavy resistance exercise. Arch Phys Med Rehabil. 1946;27:607 

  14. Fordyce WE, Brockway JA, Bergman JA. Acute back pain: A control group comparison of behavioral vs traditional management methods. J Behav Med. 1986;9(2):127-140. 

  15. Hamill J, Knutzen KM. Biomechanical basis of human movement. Lippincott Wilson & Wilkins, 1965. 

  16. Horak FB. Clinical measurement of postural control in adults. Phys Ther. 1987;67(12):1881-1885 

  17. Kisner C, Colby LA. Therapeutic Exercise. 4th Ed. Philadelphia : FA Davis, 2002. 

  18. Lattanza L, Gray GW, Kantner RM. Closed versus open Kinematic chain measurement of subtalar joint eversion.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8;9(9):310-314 

  19. Magee DJ. Orthopedic Physical therapy, 3rd ed, WB saunders. 1997. 

  20. Munteanu E, Bassed D. Effect of foot posture and inverted foot orthoses on hallux dorsiflexion. JAPMA. 2006;96(1):32-37. 

  21. Norkin CC, Levangie PK. Joint structure and function: A comprehensive analysis. 2nd ed, F. A. Davis Co. 1992. 

  22. Paul RL. The primary respiratory mechanism beyond the craniospinal axis. American Academy Ostheopathy J. 2001;(1):24-34 

  23. Root ML, Orien WP, Weed JH. Normal and abnormal function of the foot, clinical biomechanics. Los Angeles. clinical biomechanics co. 1997. 

  24. Scott J, Huskisson EC. Vertcal or Horizontal visual analogue scale. Ann Rheum Dis. 1979;38(6): 560. 

  25. Tiberio D. The effect of excessive subtalar joint pronation on patellofemoral mechanics, A theoretical model. J Orhtop Sports Phys Ther. 1987;9(4):160-165. 

  26. Tropp H, Odenrick P. Postural control in single-limb stance. J Orthop Res. 1998;6(6):833-839. 

  27. Valmassy RL. Clinical Biomechanics of the Lower Extremities. St-Louis: Mosby. 1998. 

  28. Wheeler AH. Diagnosis and management of low back pain and sciatica. Am Fam Physician. 1996;52(5):1333-1341. 

  29. Wright DG, Desai SM, Henderson WH. Action of the subtalar and ankle joint complex during the stance phase of walking. J Bone Joint Surg Am. 1964;(46):361-3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