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수주기에 따른 실내녹화용 목본식물 4종의 초기 생육반응
Initial Growth Responses of Four Woody Plants for Indoor Landscaping according to Irrigation Frequency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1, 2017년, pp.28 - 34  

권계정 (충북대학교 대학원 원예학전공) ,  박봉주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실내에 많이 사용되는 목본식물인 산호수(Ardisia pusilla), 클루시아(Clusia rosea), 팔손이(Fatsia japonica), 인도고무나무(Ficus elastica)를 대상으로 관수주기에 따른 식물생육 상태를 측정하여 향후 실내 환경개선에 도움이 되는 조경식물의 적절한 관수주기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목본식물 4종을 10cm 포트에 식재하여, 관수주기를 2회/1주, 1회/1주, 1회/2주의 3수준으로 하여 120일 동안 처리한 후, 초고, 생체중, 건조중, SPAD, 엽색, 엽수분포텐셜, 엽록소 형광(Fv/Fm), 광합성율을 측정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평균 토양수분함량은 2회/1주 $48.8{\pm}2.1%$, 1회/1주 $25.2{\pm}4.4%$, 1회/2주 $10.3{\pm}2.4%$ 순으로 나타났다. 2회/1주 관수 시 산호수는 엽수분포텐셜이 높게 나타났고, Fv/Fm이 0.731로 나타나 과습에 대한 스트레스를 보였다. 1회/2주 관수 시 산호수, 팔손이, 인도고무나무의 광합성율은 유의성이 없어 클루시아에 비해 건조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회/1주 관수하여 평균 토양수분함량이 25%일 때 본 실험에 사용된 4종 목본식물 모두 실내 생육이 원활한 것으로 나타나 실내조경용으로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growth characteristics of woody plants that are widely used indoors in accordance with irrigation frequency and to find the optimum irrigation conditions for plants that help to improve the indoor environment. Four woody plant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이유로 실내식물로는 초본식물과 외래 관엽식물이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목본식물 4종의 관수주기에 따른 식물생육을 분석하여 초기생육에 적절한 토양수분함량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생육에 필요한 것은? 이에 따라 도시 화로 인한 녹지공간의 감소를 보완하고, 식물을 이용한 지속가 능한 공기정화를 위해 실내로의 식물 도입의 중요성이 인식 되고 있어, 실내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식물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식물생육에는 적절한 빛, 수분, 온도, 환기 등이 필요한데, 일반적으로 빛과 온도조건은 이미 실내 거주자의 상황에 맞춰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으나, 수분은 식물종류 및 성상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큰 제한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Boyer, 1982). 실내식물 관리현황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도 식물관리의 문제점으로 겨울철 동 해와 관수를 지적하고 있다(Jung et al.
토양수분이 과잉되면 일어나는 현상은? 토양수분이 과잉되면 산소결핍의 원인이 되고, 부족하여 건조되면 토양양분의 농도가 상승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Kim et al., 2005).
식물은 심리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는가? 식물은 인위적인 장식품과는 차별적인 식물 특유의 선명한 색체와 부드러운 질감으로 시각적 이미지를 연출하여 공간의 획일성과 경직성을 완화하는 장식적인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방음, 차광, 방열 및 방풍 효과와 부자연스러운 동선을 해소하는 동선 유도 효과 등의 건축적인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공기오염물질 정화, 음이온 발생, 실내 온습도 조절의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며, 심리적인 안정감과 지적인 만족감을 증대시키는 심리적 영향과 치유와 운동효과를 나타내는 신체적인 영향도 있다(Kwack and Lee,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ng, S. W., J. Y. Kim, J. E. Song, K. J. Kim, and D. H. Kim(2013) Effect of the bio green wall system for the improvement of indoor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9(6): 415-420. 

  2. Boyer, J. S.(1982) Plant productivity and environment. Science 218: 443-448. 

  3. Choi, J. I., J. H. Seon, K. Y. Paek, and T. J. Kim(1998) Photosynthesis and stomatal conductance of eight foliage plant species as affected by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and temp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39(2): 197-202. 

  4. Han, S. S. and K. R. Kim(1980). Ecophysiological interpretations on the water relations parameters of trees: I. The diagnosis of tolerant tree to drought by the pressure chamber technique.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50: 25-28. 

  5. Jung, J., M. H. Kwon, and K. J. Bang(2006) A study on the maintenance condition of the interior landscaping plants in the restroom of the expressway service area -Focus on the main expressway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9(4): 139-146. 

  6. Kil, M. J., K. J. Kim, J. K. Cho, and C. H. Park(2008) Formaldehyde gas removal effects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Fatsia japonica and Epipremnum aureum according to various light intensity.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6(2): 189-196. 

  7. Kim, M. S., S. C. Chae, M. W. Lee, G. S. Park, and S. W. Ann(2013) The effects of LED light quality on foliage plants growths in interior environ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2(11): 1499-1508. 

  8. Kim, S. B., S. B. Ko, T. S. Ko, W. T. Han, and S. S. Lee(2005) Changes in the plant mineral content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by irrigation methods of tomato under greenhouse cultivation.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4(1): 125-130. 

  9. Kwack, H. R. and J. S. Lee(1999) Effect of indoor landscaping influencing on the human life and emo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Landscape Architecture 1(1): 87-95. 

  10. Kwon, K. J., H. H. Jung, and B. J. Park(2015) Effects of irrigation frequency on growth responses of indoor foliage pla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8(5): 379-385. 

  11. Medrano, H., M. A. J. Parry, X. Socias, and D. W. Lawlor(1997) Long term water stress inactivates Rubisco in subterranean clover. Annals of Applied Biology 131(3): 491-501. 

  12. Park, S. A., M. G. Kim, M. H. Yoo, M. M. Oh, and K. C. Son(2010) Comparison of indoor $CO_2$ removal capability of five foliage plants by photosynthesi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8: 864-870. 

  13. Schmitt, A., K. Helen, S. J. Lee, and U. Luttge(1988) The response of the $C_3$ -CAM tree, Clusia rosea, to light and water stress: I. Gas exchange characteristics.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39(11): 1581-1590. 

  14. Son, K. C., K. Y. Paek, W. K. Park, and T. J. Kim(2000) Plant growth and wilting of indoor plants, and water content and rehydration of media irrigated by wick as affected by medium composi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41(4): 429-434. 

  15. Song, J. B., K. B. Jeon, and J. Y. Sohn(1988) Evaluation of thermal environment and comfort zone in residential house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4(6): 177-184. 

  16. Song, J. E.(2012) A study on the reduc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by Fatsia japonica and Ardisia pusilla.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2(4): 77-82. 

  17. Weisel, C. P., S. Alimokhtari, and P. F. Sanders(2008) Indoor air VOC concentration in suburban and rural New Jersey.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2: 8231-8238. 

  18. Yoo, S. Y., K. C. Eom, S. H. Park, and T. W. Kim(2012) Possibility of drought stress indexing by chlorophyll fluorescence imaging technique in red pepper(Capsicum annuum L.).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5(5): 676-682. 

  19. Yoon, J. W., K. C. Son, D. S. Yang, and S. J. Kays(2009) Removal of indoor tobacco smoke under light and dark conditions as affected by foliage pla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27(2): 312-3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