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조경분야에서의 BIM 도입효과 및 실행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BIM Adoption and Methods of Implementationin Landscape Architecture through an Analysis of Overseas Case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1, 2017년, pp.52 - 62  

김복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손용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미국, 호주, 북유럽 등지의 해외 조경실무에서 BIM의 필요성에 대한 자각과 함께 전문적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관련 단체에서도 조직적 활동을 펼침으로써 BIM을 활용한 조경 프로젝트들이 증가하는 추세다. 그러나 아직 국내 조경분야에서는 BIM 도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BIM을 활용한 조경 프로젝트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BIM 도입에 따른 효과와 활용방법을 논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세 가지 BIM 도입효과인 설계업무의 효율성 향상, 협업 환경의 마련, 지형설계의 형태 구현을 보여주는 조경 프로젝트들을 선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조경정보 구축, 3D 모델링 제작, 상호운용성 확보, BIM 모델의 시각적 활용이라는 네 가지 측면에서 BIM의 활용방법을 살펴보았다. 첫째, 조경정보 구축의 측면에서 사례들을 살펴본 결과, 시설물과 수목 등 상세한 조경요소들로부터 기반시설 등 광범위한 건설정보들이 3D 라이브러리나 2D CAD 형식으로 구축되었다. 둘째, 3D 모델링 제작을 살펴보면 간단한 지형과 수목을 포함한 조경공간을 Revit으로 모델링하거나, 정교하고 복잡한 지형을 Maya와 같은 전문적 3D 모델링 도구로 모델링했다. 그리고 통합모델은 분야별 모델을 제작하여 주기적으로 교환, 검토하고, 최종적으로 이들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셋째, 분야간 데이터의 상호운용성은 파일 포맷의 단일화, 상이한 포맷의 변환, 또는 정보 표준의 준수를 통해 이루어졌고, 이를 토대로 건설정보를 공유하여 협업을 도모했다. 넷째, 3D 모델을 시각화함으로써 참여자들간의 의견조율, 설계안의 인허가, 대중 홍보가 이루어졌다. 사례분석을 통해 BIM은 디자인 도구라기보다 설계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분야간 협업을 도모하는 프로세스임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조경가들이 BIM을 활용한 통합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그간 건설분야에서 BIM으로의 전환을 통해 많은 이익과 기회를 누렸듯이 조경분야에서도 적극적으로 BIM을 도입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verseas landscape practices have already benefited from the awareness of BIM while landscape-related organizations are encouraging its use and the number of landscape projects using BIM is increasing. However, since BIM has not yet been introduced in the domestic field, this study investigated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BIM을 활용한 해외 조경 프로젝트 사례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국내 조경분야에서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BIM의 도입효과와 그 실행방법을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를 위해 BIM의 일반적 특징과 여기에서 예상되는 도입효과들을 유추해 보고, 이 효과들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조경 프로젝트들을 선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조경정보 구축, 3D 모델링제작, 상호운용성 확보, BIM 모델의 시각적 활용이라는 네 가지 측면에서 BIM의 실행방법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IM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이하 BIM)은 건설분야에서 시설물의 물리적, 기능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디지털화하고, 3D 모델링하여 사업의 다양한 참여자들이 시설물의 전생애주기 동안 그 정보를 생산, 통합,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절차를 지칭한다(Kim and Son, 2014). 미국, 호주, 북유럽등지에서는 정부 차원에서 BIM 활성화 정책을 펴고 있으며, 다양한 사업에서 적용을 시도하고 있다.
조경분야에서의 BIM 도입이 늦는 이유는? BIM의 여러 가지 이점과 다양한 프로젝트에서의 활용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조경분야에서의 BIM 도입은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 BIM 도입이 단일 소프트웨어의 전환이 아닌 설계, 시공, 관리 프로세스 전반에 걸친 대변화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조경용 BIM 소프트웨어 및 라이브러리의 부재라는 한계와 함께 조경소재의 특성과 다양성, 시공의 현장성이 조경정보의 규격화와 표준화를 어렵게 한다.
국내 조경분야에서 BIM 도입의 추진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이와 함께 근본적으로 국내 조경분야에서 BIM 도입의 추진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내부적으로 그 실질적 효과와 실행방법이 공유되지 못한 채 도입에 대한 막연한 어려움과 부정적 시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 조경설계는 단순한 도면제작과 수정작업이 비효율적으로 반복되고 있고, 법규 등 관련 분야의 폭넓은 이해와 지식이 부족한 상황이며, 지형을 고려하지 못한 2D 평면 위주의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bdirad, H. and K. Lin(2015) Advancing in object-based landscape information modeling: Challenges and future needs.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pp. 548-555. 

  2. Ahmad, A. M. and A. A. Aliyu(2012) The need for landscape information modelling(LIM) in landscape architecture. Proceedings of Digital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531-540. 

  3. Arup(2013) London 2012: To the finish line and beyond. (http://publications.arup.com/publications/l/london_2012_to_the_finish_line_and_beyond). 

  4. Barth, B.(2016, February) The limits of BIM. Landscape Architecture Magazine: pp. 118-125. 

  5. Carmichael, L.(2012) Learning legacy: Lessons from master planning and designing London 2012. Olympic Delivery Authority. (http://learninglegacy.independent.gov.uk/documents/pdfs/supporting-documents/learning-legacy.pdf). 

  6. Eastman, C., P. Teicholz, R. Sacks and K. Liston(2014) BIM Handbook. 이강, 문현준, 권순옥, 이재민, 김준하, 이진국, 함성일, 강훈식, 최명석, 정지용, 정호중(역). 건축주, 건축가, 엔지니어 그리고 건설인을 위한 BIM 가이드. 서울: 시공문화사. 원서출판 2011. 

  7. Flohr, T.(2011) A landscape architect's review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technology. Landscape Journal 30(1): 169-170. 

  8. Goldman, M.(2011) Landscape Information Modeling. (http://www.di.net/articles/archive/landscape_information_modeling). 

  9. Khemlani, L.(2015) HOK's fifth annual BIM awards. (http://www.aecbytes.com/feature/2015/HOK_BIM_Awards.html). 

  10. Kim, B. Y. and Y. H. Son(2014) The current status of BIM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the issues on the adoption of LI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3): 50-63. 

  11. Landscape Institute(2016) BIM for landscape. Abingdon: Routledge. 

  12. May, I., D. McCloud and M. Wan(2012) Learning legacy: Web-based spatial data viewer. Olympic Delivery Authority. (http://learninglegacy.independent.gov.uk/documents/pdfs/systemsand-technology/312-web-based-spatial-data-viewer-s-t.pdf). 

  13. McGraw-Hill Construction(2014) SmartMarket report: The business value of BIM for construction in major global markets. (http://damassets.autodesk.net/content/dam/autodesk/www/solutions/building-information-modeling/construction/business-value-of-bim-for-construction-in-global-markets.pdf). 

  14. Petschek, P.(2014) Grading: Landscaping Smart 3D-Machine Control Systems Stormwater Management. Basel: Birkhauser. 

  15. Roberts, H.(2012) Learning legacy: Engineering content management and collaboration system deployed by ODA delivery partner. Olympic Delivery Authority.(http://learninglegacy.independent.gov.uk/documents/pdfs/systems-and-technology/354-engineering-content-mans-t.pdf). 

  16. State Government Victoria(2009) Partnerships Victoria project summary: Victorian desalination project. (http://www.dtf.vic.gov.au/Pub-lications/Infrastructure-Delivery-publications/ Partnerships-Victoria/Victorian-Desalination-Project-summary). 

  17. Timmis, S. and M. Wan(2012) Learning legacy: 3D model creation and its use on the Olympic Park. Olympic Delivery Authority. (http://learninglegacy.independent.gov.uk/documents/pdfs/systemsand-technology/323-3d-model-creation-s-t.pdf) 

  18. Turnbull, S.(2012) Learning legacy: Using an integrated CAD model for design coordination. Olympic Delivery Authority. (http://learninglegacy.independent.gov.uk/documents/pdfs/systemsand-technology/9-integrated-cad-s-t-amended.pdf). 

  19. Wallis, J., and H. Rahmann(2016) Landscape Architecture and Digital Technologies. Abingdon: Routledge. 

  20. Wallis, J., and H. Rahmann(2014) Interdisciplinary intersections: New roles for digital technologies and landscape architecture in the design of large scale infrastructures.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Kingdom of Saudi Arabia: the Arab Society for Computer Aided Architectural Design. 123-135. 

  21. Yoon, M. C. and S. L. Koh(2011) Creating parametric atypical form on the BIM-base in the digital space: Focusing on the Voronoi diagram to definition of the parametric space.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3(3): 79-86. 

  22. http://www.aecbytes.com/feature/2015/HOK_BIM_Awards.html 

  23. http://learninglegacy.independent.gov.uk 

  24. http://www.arup.com/projects/london_2012_landscape_engineering _the_olympic_park 

  25. http://www.depi.vic.gov.au 

  26. http://aspect.net.au 

  27. http://www.asla.org/contentdetail.aspx?id47349 

  28. https://www.landscapeinstitute.org/wp-content/uploads/2016/01/WhatisBIM.pdf 

  29. http://landarchbim.com/2015/04/09/bim-in-practice-hok 

  30. http://www.designingbuildings.co.uk/wiki/BS_1192 

  31. http://www.depi.vic.gov.au/water/urban-water/desalination-project 

  32. http://aspect.net.au 

  33. http://www.landscapeinstitute.org/wp-content/uploads/2016/01/GENERALPRACTICENOTEONSOFTWAREFORBIMPROJECTS.pdf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