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M에 관한 조경분야의 동향 및 LIM 활성화 방안
The Current Status of BIM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the Issues on the Adoption of LIM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3, 2014년, pp.50 - 63  

김복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손용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0년대 초 건설분야에서 BIM은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도입되어 각국 정부정책의 지원에 힘입어 세계적으로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조경분야에서는 미국 ASLA에서 BIM 도입에 관한 논의가 처음 진행된 이후, 유럽을 중심으로 연구가 확산되고 있고, 영국, 노르웨이 등은 이미 조직적인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반면, 국내 조경분야에서 관련 연구는 매우 드물며, 현업의 BIM 적용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외 조경분야의 BIM 도입 동향을 파악하고, 국내 조경분야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건축정보모델링을 의미하는 BIM이 조경분야에서 새로이 조경정보모델링을 의미하는 LIM(Landscape Information Modeling)이라는 용어로 통용되는 추세임을 확인했다. 또한 LIM의 활성화를 위해 조경정보의 통합과 재활용을 위한 정보 표준화와 호환성 확보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BIM의 정보표준인 IFC를 조경업에 맞추어 확대하려는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고, BIM과 GIS 연계를 통한 통합정보를 구축하는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영국과 노르웨이 조경협회는 working group들을 조직하여 조경분야에서의 BIM 도입을 선도하고 있는데, 이는 국내 조경분야의 LIM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참고사례가 된다. 따라서 연구의 고찰로서 이들 국가의 조경협회에서 수행하는 사업을 정리하여 국내 조경분야의 LIM 활성화에 필요한 4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new millennium, BIM has been widely adopted to improve productivity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with the government policies of each country. After its first introduction into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USA, BIM has been debated on its merits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연구 및 인터넷 자료를 토대로 건설분야에서 BIM이 등장하게 된 배경, 정의, 특성 및 효과를 파악하였다. 특히 BIM의 정의는 관련협회나 정부기관,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별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협회와 기관의 문서와 지침, 그리고 개발업체의 해당 웹사이트를 통해 공식적으로 공개된 정의를 조사하였다.
  •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조경분야의 BIM 도입과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아직 기초적인 연구가 수행되지 않은 조경분야의 BIM 활성화 방안을 고찰함으로써, 건설업에서 조경분야의 전문성과 업무 영역을 확실히 하고 위상을 정립하는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
  • 특히 BIM의 정의는 관련협회나 정부기관,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별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협회와 기관의 문서와 지침, 그리고 개발업체의 해당 웹사이트를 통해 공식적으로 공개된 정의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BIM이 조경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경 설계방법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고 있는 BIM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관련 문헌을 검토하고, 이를 통해서 해외 조경분야에서의 BIM 도입 동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조경분야의 BIM 도입과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7년 미국 건설분야에서 BIM을 사용하고 있는 비율은 2012년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이하 BIM)은 건축, 토목, 플랜트를 포함한 건설 전 분야에서 시설물 객체의 물리적 혹은 기능적 특성에 의하여 시설물 수명주기 동안 의사결정을 하는데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디지털 모델과 그의 작성을 위한 업무절차이다(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미국 건설시장 관련 전문서적 출판사인 McGraw-Hill Construction의 Smart Market Report에 의하면 미국 건설분야에서 BIM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비율은 2007년 17%에서 2012년 71%로 급격히 증가하였다(McGraw-Hill Construction, 2013). 국내에서는 2008년도에 한국 빌딩스마트 협회(BuildingSMART Korea)1) 및 한국 BIM학회가 구성되면서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BIM이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이하 BIM)은 건축, 토목, 플랜트를 포함한 건설 전 분야에서 시설물 객체의 물리적 혹은 기능적 특성에 의하여 시설물 수명주기 동안 의사결정을 하는데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디지털 모델과 그의 작성을 위한 업무절차이다(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미국 건설시장 관련 전문서적 출판사인 McGraw-Hill Construction의 Smart Market Report에 의하면 미국 건설분야에서 BIM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비율은 2007년 17%에서 2012년 71%로 급격히 증가하였다(McGraw-Hill Construction, 2013).
IFC의 적용 범위를 조경 영역으로 확장시키기 위해 조경요소들을 표준화하는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이러한 LIM의 활성화에 있어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중 하나는 정보의 표준화와 호환성 확보에 관한 것이다. BIM의 표준 포맷인 IFC는 건설분야가 주축이 되어 개발한 것이므로 건축, 구조, 설비 등에 적합하게 운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와 다른 객체를 설계 대상으로 하는 조경에서는 당연히 사용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IFC의 적용 범위를 조경 영역으로 확장시키기 위해 조경요소들을 표준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2)

  1. AGC(2006) The Contractors' Guide to BIM. Contractors-Edition One. 

  2. Ahmad, A. M. and A. A. Aliyu(2012) The need for Landscape Information Modelling(LIM) in landscape architecture, Proceedings of DLA Conference: 531-540. 

  3. AIA(2007) Integrated Project Delivery: A Guide. http://info.aia.org/siteobjects/files/ipd_guide_2007.pdf 

  4. AIA(2008) Document A295-2008 Instructions: General Conditions of the Contract for Integrated Project Delivery. 

  5. Bostadlokken, M. B.(2009) BIM for Landskap. Master's thesis. Norwegian University of Life Sciences. 

  6. Choi, J.(2012) Open BIM&Design Information Quality Control. Seoul: Goomi-Book. 

  7. Davis, B.(2013) Landscape and instruments. Landscape Journal 32(2): 293-308. 

  8. Eastman, C., P. Teicholz, R. Sacks and K. Liston(2014) BIM Handbook. 이강, 문현준, 권순옥, 이재민, 김준하, 이진국, 함성일, 강훈식, 최명석, 정지용, 정호중(역). 건축주, 건축가, 엔지니어 그리고 건설인을 위한 BIM 가이드. 서울: 시공문화사. 원서출판 2011. 

  9. El-Mekawy, M., A. Ostman and I. Hijazi(2012) A unified building model for 3D urban GIS. 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 1(2): 120-145. 

  10. Flohr, T. and M. Pihlak(2011) A landscape architect's review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echnology. Landscape Journal 30(1): 169-170. 

  11. GCCG(2011) BIM Working Party Strategy Paper. 

  12. GSA(2007) BIM Guide Series 01. http://www.gsa.gov/portal/content/102276 

  13. Hanna, K. C.(2010) All together now: IPD brings new rigor to the collaborative design process. Landscape Architecture 100(7): 46-53. 

  14. Hardin, B.(2012) BIM and Construction Management: Proven Tools, Methods, and Workflows. 김광희, 박우열, 안성훈, 윤석헌(역). BIM과 건설관리. 서울: 대가. 원서출판 2009. 

  15. Howe, R.(2006) 3D or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SLA Professional Practice Networks Design-Build Newsletter. 

  16. Hwang, J., H. Kang and C. Hong(2012) A study on the platform design for efficient interoperability of BIM and GIS.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6): 99-107. 

  17. Isokangas, E., A. Byrnes, J. Coglan, R. Drogemuller, D. Hicks, M. Jensen, D. Nielsen and J. Oliver(2009). Interoperable Standards Development. CRC Construction Innovation. Brisbane. 

  18. Jenson, H. L.(2012) BIM for Landskap: fra 2D til 5D, Studieobjekt Hersleb Skole, Oslo. Master's thesis. Norwegian University of Life Sciences. 

  19. Jung, K.(2010) Solution for problem with application of BIM through case stud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0(3): 18-22. 

  20. Kang, T., K. Yu, H. Choi and C. Hong(2013) BIM Interoperability and Platform. Seoul: CIR. 

  21. Kim, E. and H. Jun(2009) Design process based on generative design system. Proceedings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9(1): 355-358. 

  22. Kim, H.(2010) Revealing issues and prospects of domestic construction by analysis of BIM case studies. Architecture 54(1): 65-69. 

  23. Kim, J.(2002) Classification of Factors and Their Characteristics Changing the Planning for Landscape Planting Construction. Master's thesis. Gyeongju University. 

  24. Kim, K. and S. Park(2012)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IM status in the UK and U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process in Korea. Project Management Preview 2(2): 1-16. 

  25. Kim, K. and S. Park(2013) Sustainable construction through integration of IPD and BIM. Project Management Preview 3(1): 17-34. 

  26. Kim, M., H. Choi and H. Jun(2009) A study on the BIM application of domestic green building assessment system. Proceedings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9(1): 339-342. 

  27. Kim, M., M. No, I. Kim and H. Jun(2012)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GBT(Green BIM Template) for BIM-based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 Focused on CASBEE in Japan. Design Convergence Study 11(4): 31-44. 

  28. Kim, W., Y. Lee and W. Yoo(2011). Research on the Adoption of BIM by Case Studies of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CERIK. 

  29. Kim, Y.(2010) New paradigm of project delivery system for BIMbased construction projects: Integrated Project Delivery(IPD) system. Architecture 54(1): 37-40. 

  30.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2007) Standards on Landscape Design. Seoul: Kimoondang. 

  31. Kwon, O. and C. Jo(2011) Proposal of BIM quality management standard by analyz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BIM guid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1(3): 265-275. 

  32. Larsson, H.(2013) Landskapsarkitektur och Virtuellt Byggande: hur Beror Tillampningen av BIMoch VDC Landskapsarkitektens Yrkesutovning och Roll i Byggprocessen?. Master's thesis, Swedish University of Agricultural Sciences. 

  33. Lee, D.(201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utomated program for architectural landscape design.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3(3): 235-241. 

  34. Lee, G.(2011) 43 Questions on BIM. Seoul: Pixel House. 

  35. Lee, J. and H. Jun(2007) A study on the adaptability of BIM-based integrated building design process in domestic architectural design firms.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16(6): 19-27. 

  36. Lee, S., J. Yu and H. An(2012) Improvement of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in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s for efficient facility management.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8(5): 33-42. 

  37. Lenngren, O.(2012) BIM for Landskapsarkitekter. Master's thesis. Swedish University of Agricultural Sciences. 

  38. Lim, S. and S. Han(2013) A method of BIM modeling to improve the design quality: Extending BIM delivery standard for conceptual cost estimates and office building project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5(3): 111-118. 

  39. Lipscomb, M., E. Gilbey and J. Spies(2011) BIMWorkflow: Addressing Opportunities &Challenges. ASLA Annual Meeting and Expo Attendee Handout. 

  40. McGraw-Hill Construction(2013) McGraw-Hill Smart Market Report: The Business Value of BIM for Construction in Major Global Markets. 

  41.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2010) BIMApplication Guide in Architecture. 

  42. Monedero, J.(2000) Parametric design: A review and some experiences. Automation in Construction 9(4): 369-377. 

  43. Moon, S.(2011) Study on the Designs Systemization of Architecture Using Parametric Technology.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44. OGC(2012) OGC CityGML Encoding Standard. http://www.opengeospatial.org/legalf 

  45. Oh, C.(2010) A study on integration strategy between GIS and BIM.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4(3): 443-453. 

  46. Park, H. and H. Jun(2008) A basic study on a method of atypical form generation by parametric. Proceedings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8(1): 335-338. 

  47. Park, J., H. Limand M. Lee(2009) A basic study on an envelope design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based on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Proceedings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9(1): 225-228. 

  48. Park, S. and K. Hong(2010) A study on necessity of applying concept of BIM according to free form space. Journal of Korea Digital Design 10(3): 239-248. 

  49. Posco(2013) BIM in Practice. Seoul: Sejin. 

  50. Public Procurement Service(2013) BIM Application Guide. 

  51. Seo, Y.(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IM Templates for Landscape Design: With a Focus on Small Parks.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52.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13). Dongdaemun Design Planza&Park. 

  53. Sipes, J. L.(2007)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echnology is the future for landscape architecture. Landscape Architecture 97(3): 88-91. 

  54. Sipes, J. L.(2008) Integrating BIM Technology into Landscape Architecture. Landscape Architecture Technical Information Series. 

  55. Teicholz, P.(2004) Labor Productivity Declin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Causes and Remedies, AECbytes. http://www.aecbytes.com/viewpoint/2004/issue_4.html 

  56. Virtual Construction Research Group(2010) BIM Application Design Guidelines: 3D Architectural Guide. 

  57. Yamanashi T.(2011) BIM-Kensetsu Kakumei. 김명근(역). BIM건축혁명. 서울: 기문당. 원서출판 2009. 

  58. http://dirt.asla.org/2013/04/25/green-infrastructure-a-landscape-approach 

  59. http://underland.no 

  60. http://www.asla.org 

  61. http://www.autodesk.com 

  62. http://www.bentley.com 

  63. http://www.buildingsmart.org 

  64. http://www.buildingsmart.or.kr 

  65. http://www.buildingsmart-tech.org 

  66. http://www.landscapeinstitute.org 

  67. http://www.landskapsarkitektur.no 

  68. http://www.landxml.org 

  69. http://www.nationalbimlibrary.com 

  70. http://www.nibs.org/?pagebsa_cobi 

  71. http://www.opengeospatial.org 

  72. http://www.wbdg.org/bim/bim.ph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