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만금 해안간척지의 토양염분 차단재료와 차단위치별 토양염분 경시적 변화
The Change of Longitudinal Salt Movement in the Soil according to the Materials and Place of Salt Movement Prevent at Saemangum Reclaimed Land from the Sea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1, 2017년, pp.117 - 126  

김주성 (순천대학교 대학원) ,  김도균 (순천대학교 산림자원조경학부) ,  이임균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원연구과) ,  이재헌 (순천대학교 대학원) ,  이영상 (순천대학교 대학원) ,  채정석 (순천대학교 대학원) ,  박석곤 (순천대학교 산림자원조경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간척지 갯벌지반 식재 수목에 생장 저해하는 토양염분의 이동을 차단하는 염분차단재, 염분차단 위치 및 염분차단 두께에 따른 토양염분의 경시적 변화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7가지의 토양염분이동 차단재료, 3가지의 차단두께 유형 그리고 토양염분이동차단 3가지 유형별로 염분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났다. 갯벌지반은 초기에 토양염분이 높았으나, 점차 낮아졌다. 식생토인 객토는 초기에 토양염분이 낮았지만, 토양염분이동 무차단구에서는 점차적으로 토양염분이 높아졌고, 토양염분이동 차단구에서 전면차단구는 토양염분의 변화가 크지 않지만, 토양염분이동 벽면차단이나 밑바닥 차단만한 곳에서는 토양염분이 높아졌다. 토양염분은 강우시에는 토양염분이 낮아지나, 가뭄기에나 겨울철에는 토양염분이 높아지는 현상이 있었다. 토양염분이동 차단재료별 토양염분이동 차단능은 쇄석, 준설토, 목질칩이 다른 재료들 보다 우수하였다. 토양염분이동 차단벽은 최소한 20cm 이상 되어야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gure out on the changes of longitudinal salt movement in the soil through the soil according to the materials and thickness of salt prevent materials and the place of salt prevent at reclaimed land from the sea which is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when tree pla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새만금 노출간척지 갯벌 원지반 토양의 토양환경특성을 분석하고, 수목생장에 큰 저해 요인인 갯벌 하부에 상존하는 바다염분의 수직 및 수평적 이동을 차단하는 재료와 공법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간척지 토양염분의 차단에 대한 메카니즘을 파악할 수 있고, 고농도 염분토양에서 수목 식재를 위한 염분차단공법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간척지 토양염분이동 차단에 대한 경험적 주장들을 현장에서 실증적으로 실험한 것으로서, 갯벌지반의 토양염분도가 매우 높아 수목 생장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음을 밝혔고, 토양염분을 차단하는데 유용한 차단재료, 차단위치, 차단두께 등을 규명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여러 가지 제반 여건상 제한적인 재료, 공법, 염분동태변화 조사기간 등으로 염분차단에 대한 통합적 현상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 본 연구는 노출간척지 원지반에서 하부에서 식재 시, 모세관 현상에 의한 식재구덩이 내부로 이동하는 염분을 차단 또는 억제하는 효과적인 재료와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새만금간척지의 수목 식재를 위한 토양염분이동의 차단기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토양염분이동 차단재료, 차단 위치, 차단 두께별로 토양염분이동 차단 실험구를 설치하여 토양염분의 변화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목객토법이란? 단목객토법은 대부분 갯벌을 파내고, 식생토를 충전하는 것으로 지하부 또는 인접 갯벌에 상존하는 토양염분이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수직 또는 수평적으로 이동하여 식생토를 염류화되기 때문에 수목 생장에 저해 요인이 된다(Kim, 2013). 단목객토법은 충분한 토심 및 폭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에 모세관 현상에 의한 수분이동으로 식재구덩이가 과습되거나, 염해피해가 발생하여 수목의 생육불량 및 고사로 이어진다(Oh and Choi, 2001).
수평적으로 이동하는 토양염분 차단이 필요하다는 주장의 한계는? 또한, Kim(2013)은 종래의 염분차단은 주로 갯벌 밑바닥에서 상승하는 염분차단에 집중하여 있는데, 수평적으로 이동하는 토양염분 차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주장들은 기존의 이론을 유추 해석한 2차 자료이거나 현장경험에 의하여 제안된 것들로서 현장실험을 진행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고(Seo, 2012), 현장에서 뿌리가 깊게 뻗는 수목 식재를 고려한 염분차단 공법과 재료 등의 특수한 상황에서 염분차단 효과에 대한 자료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새만금간척지의 토지이용 목적에 맞게 활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새만금간척지는 간척과정에서 자연 환경, 생태계, 경관이 대규모로 훼손 또는 파괴되었고, 인접한 바다로 부터 강한 바람과 염분 등으로 인간정주생활, 산업생산, 업무, 관광 등의 활동에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새만금간척지의 토지이용 목적에 맞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각종 환경압의 조절, 실용적 이용, 심미적으로 아름답고 쾌적한 정주환경의 조성, 생태계의 기초 서식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대단위의 조경식재, 가로수, 경관림, 환경녹지, 방풍림, 완충림, 녹음수, 환경조절식물, 생물서식처 등의 수목 식재가 필요하다. 그러나 새만금 간척지는 해수를 흘러 보내고, 갯벌이 노출된 간척지로서 부지가 해수면보다 낮아 갯벌지반 토양 중에 높은 염분지하수위가 식재지반으로 이동하여 토양염분이 높아져 수목 생장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oe, I. H. and K. H. Hwang(2000) A case study on planting environment and improvement in reclaimed seaside areas. Research Report to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ostar, A., S. Howles, M. Stadter and T. Hill(2006) Loxton Salt Interception Scheme Trial Horizontal Drainage Well Design and Construction Report. Department of Water, Land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Government of South Australia. pp. 53. (in English) 

  3. Goh, J. S.(2010) Effects of Salt Interruption Layer on Plant Growth in Reclaimed Foreshore Land, Incheon City -Focused on Sewage Treatment Plant in Gumdan. Thesis of Master's Course. The Graduate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Honma, A.(1973) Studies on the problems of planting for landscape in the area reclaimed foreshore land. Bulletin of th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No 4. The University of Tokyo, Tokyo. pp. 127. (in Japan with English abstract) 

  5. Howles, S. R. and A. G. Smith(2005) Loxton Salt Interception Scheme Aquifer Testing and Well Hydraulics. Report DWLBC 2005/20, Department of Water, Land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Adelaide. (in English) 

  6. Jeong, J. H., C. N. Kim, K. S. Goo, C. H. Lee, H. G. Woon and J. G. Byun(2003) Physic-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parent rocks. Jour. Korean For. Soc. 92(3): 254-262. (in English) 

  7. Kang, J. G., K. D. Lee, J. H. Lee, J. H. Jeong, G. G. Gil, J. H. Ryu, S. H. Lim, S. W. Hwang and S. J. Kim(2010) Resalinization control of saline soil in reclaimed upland. Proceeding of The 2010 Spring Conference of Korean J. Soil Sci. Fert. 43(1) 208-209. (in Korean) 

  8. Kim, D. G.(2013) Cut rising soil salt. http://blog.daum.net/doaha/107165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H. J., H. C. Lee, G. H. Ryoo and K. H. Kim(2012) Effect of NaCl block using bottom ash. Workshop Presentation of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10: 1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J. B., G. M. Yang and J. S. Choi(2009) Effects of capillary water interruption layer on the growth of zoysiagrasses and coolseason turf grasses in reclaimed land. Weed & Turfgrass Science, 23(1): 35-44. (in Korean) 

  11. Koo, B. H., J. S. Kang and K. S. Jang(2000b) A study of soil characteristics on coastal reclaimed areas for planting ground treatmen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3(1): 89-95. (in Korean) 

  12. Koo, B. H., K. J. Kang and J. W. Kim(2000a) Temporal changes and correlations betwee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s in the case of the reclaimed costal area of Kyung-Gi Province.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7(5): 161-169. (in Korean) 

  13. Korea Agency for Saemangum Development & Investment(2016): Function area of Master plane http://www.saemangeum.go.kr/sda/cmm/main/enMainPage.do 

  14. Korea Forest Service(2011)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Facilities to Protect Tree and Vegetation Base to Promote Tree Growth in Saemanguem Reclaimed Lands. pp. 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2009) Project for Development of Nursery Tree Field in Saemangeum. Seoul. pp. 2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S. W.(2011) A Study on the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of Planting Ground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Korea.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The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J. G.(2005) A Study of the Construction of Salt Interception Layer by Analyzing of Soil Capillary Rising - Focused on Young-jong Do Golf Course "A". M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angmyung University.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Oh, W. Y. and B. K. Choi(2001) Fundamental Landscape Research and Technology of the Coastal Reclaimed Land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 Construction. Doseochulpan Jokyung, Seoul, pp. 2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Rahayu, G., M. Yang and J. S. Choi(2010) Effects of interruption layer for capillary rise on salt accumulation and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growth in sand growing media over the reclaimed saline soil. Korea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24(2): 106-116. (in English) 

  20. Seo, D. U.(2011) Salt Transport Model of Unsaturated Soil in Reclaimed Land. Doctorate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Seo, E. S.(2012) A Study on the Planting Foundation Design for Preventing Salt Capillary Rising in Coastal Reclaimed Area, M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Spark, D. L., A. L. Page, P. A. Helmke, R. H. Loepppert, P. N. Soltanpour, M. A. Tabatabai, C. T. Johnston and M. E. Sumner (1996)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3: Chemical Methods, SSSA, Madison, Wisconsin(USA). pp. 1,264. (in English) 

  23. Tanji, K. K.(1990) Nature and extent of agricultural salinity. In: Agricultural salinity assessment and management, ed. K. K. Tanji.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Manuals and Reports on Engineering Practice No. 71. ASCE. (in English) 

  24.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2013) Standard of Design on the Landscape Architecture. Kimoondang. pp. 495.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5. Yoo, S. H. and S. M. Lee(1988) Laboratory study on changes in hydraulic conductivity and chemical properties of effluent of soil during desalinization. Korean J. Soil Sci. Fert. 21(1): 3-10.(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