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 밖 청소년 현장전문가의 활동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Meaning of Services based on Practitioner's Experiences: With Practitioners for Out-of-School Youth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 2017년, pp.100 - 112  

박병금 (서울디지털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 관련 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현장전문가들의 활동경험에 대한 본질적 주제와 의미를 탐색하고 이해함으로써 학교 밖 청소년복지 실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들은 7명이며,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학교 밖 청소년 관련 기관 현장전문가의 경험은 진술한 의미를 가지고 주제 17개로 재조직화 후 5개의 범주로 합치기가 되었다. 경험의 5개의 범주는, "즐겁지 않은 학교", "행복하지 않은 가족", "아픔 뒤에 혹은 핑계 뒤에 숨는 아이들", "찾을 수 있을 때까지 같이 가보자", "세상이 바뀌었으면"으로 나타났다. 학교 밖 청소년들이 학교를 떠날 것을 결심하는 것에서부터 학교를 떠나고 학교를 떠난 후 생활에 대한 과정을 직접 듣고, 함께 생활하면서 겪은 현장전문가들의 실질적 지원과정의 경험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복지정책에 기여하고 실천적 지원방안 모색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phenomenological study was to explore the practitioner's experiences according to practitioner's perception and to enrich our understanding about them.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research, 7 practitioners with out-of-school youths participated. Data were collected thro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 밖 청소년의 정의는 무엇인가? 학교 밖 청소년이란, 학교 밖 청소년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정의) 제1호와 제2호에 따라 현재 규정되고있으며, 초중등교육법 제2조에 따라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3개월 이상 장기 결석하거나 취학의무를 유예한 청소년 혹은 고등학교까지의 교육과정 상에서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 그리고 상급학교에 진학하지 않은 비진학 청소년을 말한다.
현재 학교를 떠난 청소년을 위한 국가차원의 투자는 무엇이 있나? 학교 밖 청소년은 많은 지원이 필요함에도 공교육에 비해 국가차원의 투자는 매우 낮은 수준이다. 1인당 공교육비는 중학생(4,454천원)과 고등학생(5,923천원)이약 4-6백만원인데 비해[10] 학교 밖 청소년들을 위한 지원은 학교 밖 지원센터나 쉼터 등의 운영에 그치고있다. 또한 학업중단자의 대다수는 고등학생 연령대이므로 청소년이 20대 후반에 도달하기까지의 장기적인 지원책도 시급하다[3].
미 파악 청소년 수는 어떻게 산출되나? 이 중 소재가 파악되지 않는 학교 밖 청소년의 규모는 약 28만 명으로 추산된다[1]. 약28만 명의 소재 미 파악 청소년 수는, 국내출생과 해외유입 초·중·고 학령기 인구에서 정규학교와 기타학교(특수·공민학교, 방통고 등) 재학생, 그리고 소재가 파악되는 학교 밖 청소년(미인가 대안학교, 평생교육시설,직업훈련기관, 보호관찰, 소년원, 소년교도소, 유학, 장기입원 등)을 제외한 인원으로 현재 ‘어디서 무엇을 하는지’ 파악이 어려운 청소년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윤철경, 유성렬, 김신영, 임지연,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2. 전경숙, "10대 학업중단 청소년의 근로실태에 관한 실증적 고찰 연구: 가출경험 학업중단 청소년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제14권, 제1호, pp.3-21, 2006. 

  3. 윤철경, 서정아, 유성렬, 조아미,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I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b. 

  4. 남기곤, "고등학교 단계 학업중단의 경제적 효과 추정," 시장경제연구, 제40권, 제3호, pp.63-94 2011. 

  5.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 교육부, 2012. 

  6. 오은경, "학교 밖 청소년 유형별 사회적지지, 진로 준비행동, 사회적 배제 및 우울간의 차이," 청소년시설환경, 제12권, 제2호, pp.65-80, 2014. 

  7. 오정아, 김영희, 김정운, "청소년의 학업중도포기 과정,"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5호, pp141-168, 2014. 

  8. 오혜영, 박현진, 공윤정, 김범구, "현장상담자들이 인식한 학업중단청소년의 특성과 개입방향,"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12호, pp.153-179, 2013. 

  9. 윤철경, 서정아, 유성렬, 조아미, 학업중단 청소년의 특성과 중단 후 경로 :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조사 I 데이터분석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a. 

  10. 관계부처합동, 학업중단 예방 및 학교밖 청소년의 자립역량 강화 학교 밖 청소년 지원대책, 2015. 

  11. 김상현, 양정호, "학업중단 경험이 있는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배경과 복교 후 학교생활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제31권, 제1호, pp.81-113, 2013. 

  12. 이주연, 정제영, "학업중단결정에 대한 학교밖청소년의 인식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11 호, pp.239-267. 2015. 

  13. 조아미, 이진숙, "학업중단 청소년의 생활과 욕구,"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7호, pp.145-170, 2014. 

  14. 이상준, 이수경, 2013년 비진학청소년 근로환경 실태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보고서, 2013. 

  15. 박창남, "학교밖 청소년의 자립을 위한 미국의 사회적 기업 YouthBuild USA의 성공요인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8호, pp.513-546, 2014. 

  16. 정현주, "학업중단 청소년 기숙형 대안캠프 모델에 관한 논의,"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12호, pp.279-308, 2015. 

  17. 김범구, "청소년 학업중단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4호, pp.315-337, 2012. 

  18. 김효미, 미술치료를 통한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자의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탐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9.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학업중단 예방 및 학교 밖 청소년 지원정책의 발전방향, 2014. 

  20. 성정현, 김희주, 이미정, 박영미, "미혼모들의 경험을 통해 본 공공서비스 전문가들의 미혼모들에 대한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405-406, 2016. 

  21. 김현아, 이자영, "다문화상담자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다문화 현장 전문가 FGI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468-484, 2013. 

  22. 현온강, 이홍숙, "청소년쉼터에서의 가출청소년과 쉼터종사자들의 생활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8권, 제1호, pp.163-195, 2001. 

  23. 김순규, 최혜정,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서 실천하는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소진탄력성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8호, pp.185-213, 2015. 

  24. 박병금, "결혼이민여성의 가족적응 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277-295, 2013. 

  25. 박병금, 노필순, "외국인 며느리를 맞이한 시어 머니의 가족적응경험에서 나타난 부담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250-265, 2014. 

  26. 이선애, 만성질환아동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 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27. 윤명숙, 이해경, "농촌지역 시어머니의 외국인 며느리 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농촌사회, 제20권, 제2호, pp.191-232, 2010. 

  28. J. W. Creswell, 질적연구방법론,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역, 학지사, 2005. 

  29. 홍현미라, 권지성, 장혜경, 이민영, 우아영, 사회 복지 질적연구방법론의 실제, 학지사, 2008. 

  30. P. F. Colaizzi,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gist Views It. In R. Valle & M. King (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31. 신경림, "현상학적 연구의 이론과 실제," 간호학 탐구, 제12권, 제1호, pp.49-68, 2003. 

  32. Y. S. Lincoln and E. G. Guba, Effective Evaluation, 4th Ed. San Francisco: Jossy-bass Publication, 1985. 

  33. 최지연, 김현철, "학업중단 청소년의 특성 및 지원 방안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3호, pp.103-132,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