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독교적 관점에서 본 사회적 기업 이해: 선교적 교회를 중심으로
The Understanding of a Social Enterprise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Focused on a Missional Church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 2017년, pp.387 - 401  

봉원영 (삼육대학교 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선교적 교회를 중심으로 한 기독교적 입장에서 어떻게 사회적 기업을 활용하고 또 지역 사회를 발전시킬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이었다. 사회적 기업은 고도의 산업화로 인해 발생한 도시화, 실업, 경제적 양극화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을 정부나 비영리기업들이 해결하기에는 한계를 느끼던 과정에서 그 해결책으로 생겨났다. 사회적 기업은 나라마다 사회적 기업의 유형이 다를 뿐 아니라, 심지어는 같은 나라 안에서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기업이 존재하기 때문에 한 마디로 정의하는 것이 어려운 일이지만 그것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가치는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적 기업이 등장했던 시기와 때를 같이하여 기독교계에서는 선교적 교회(론)이 등장하였다. 사회적 기업과 선교적 교회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출현시기, 출현배경, 사업가치, 활동의 초점, 기본요소 등에서 공통적 요소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선교적 교회가 공동체적 차원에서 사회적 기업과 협력하여 보다 건강한 지역사회를 만들어 나갈 수 있는 적용점들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how to utilize social enterprise in the Christian aspect, especially from the view of the missional church, and to show how to help the community develop. Social enterprises appeared when the government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felt limitation in dea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사회적 기업의 역사와 특징들에 대해 살펴보고 지금까지 그것이 우리 사회에 끼친 영향들과 여전히 해결해야 할 한계점은 무엇인지 논의해 볼 것이다. 그런 다음에 사회적 기업의 출현시기와 거의 비슷하게 기독교 공동체 안에서 출현했던 선교적 교회의 특징들을 다루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주된 관심부분인 선교적 교회와 사회적 기업 사이에 공유하는 몇 가지 주요 가치들을 살펴보면서 선교적 교회의 입장에서 사회적 기업을 어떻게 보고 있으며 또 그것을 어떻게 기독교적으로 적용하여 지역사회에서의 사회적 문제를 함께 해결할 수 있겠는지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 따라서 지금까지의 사회적 기업에 대한 연구가 그 성공모델, 노동통합, 일자리 창출을 통한 빈곤탈출, 제도개선방안 등 사회적 기업 그 자체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던 것과는 달리, 본 연구는 선교적 교회의 관점에서 사회적 기업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를 살펴봄으로 어떻게 교회가 사회적 기업과 협력하고 지역공동체와 그 구성원들을 행복하게 할 수 있겠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사회적 기업의 역사와 특징들에 대해 살펴보고 지금까지 그것이 우리 사회에 끼친 영향들과 여전히 해결해야 할 한계점은 무엇인지 논의해 볼 것이다.
  • 그런 다음에 사회적 기업의 출현시기와 거의 비슷하게 기독교 공동체 안에서 출현했던 선교적 교회의 특징들을 다루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주된 관심부분인 선교적 교회와 사회적 기업 사이에 공유하는 몇 가지 주요 가치들을 살펴보면서 선교적 교회의 입장에서 사회적 기업을 어떻게 보고 있으며 또 그것을 어떻게 기독교적으로 적용하여 지역사회에서의 사회적 문제를 함께 해결할 수 있겠는지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 따라서 지금까지의 사회적 기업에 대한 연구가 그 성공모델, 노동통합, 일자리 창출을 통한 빈곤탈출, 제도개선방안 등 사회적 기업 그 자체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던 것과는 달리, 본 연구는 선교적 교회의 관점에서 사회적 기업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를 살펴봄으로 어떻게 교회가 사회적 기업과 협력하고 지역공동체와 그 구성원들을 행복하게 할 수 있겠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사회적 기업의 역사와 특징들에 대해 살펴보고 지금까지 그것이 우리 사회에 끼친 영향들과 여전히 해결해야 할 한계점은 무엇인지 논의해 볼 것이다. 그런 다음에 사회적 기업의 출현시기와 거의 비슷하게 기독교 공동체 안에서 출현했던 선교적 교회의 특징들을 다루고자 한다.
  • 이전보다 훨씬 더 빠르게 변화하고 더 복잡한 문제를 안고 살아가는 현대사회에서 사회적 기업의 가치들을 선교적 교회가 효과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몇 가지 내용들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문화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이다. 그동안 교회는 세상의 변화에 가장 저항적인 조직 중 하나로서 존재해왔다[51].
  • 그러나 정부의 재정적 지원을 기반으로 유지되는 사회적 기업의 특성상, 고용 창출은 사회적 기업의 여러 활동 중의 하나일 뿐임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둘째는, 사회적 기업이 단순히 정부나 영리기업의 지원을 받기 위한 도구로서 인식되는 것이다. 이는 ‘기업’이라는 말의 의미가 가지는 이윤창출과 지속성을 간과한 까닭이다.
  • 이제 앞에서 살펴본 연구를 토대로, 사회적 기업과 선교적 교회 사이에는 몇 가지 공통적인 요소들이 존재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출현시기가 비슷하다. 사회적 기업의 시작에 관하여 학자들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유럽에서의 사회적 기업은 1970년대 후반, 미국은 1990년대, 한국 역시 1990년대로 그 시작점을 잡는데 의견을 같이 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기업이란 무엇인가? ‘사회적 기업’이라 함은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판매 등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으로 제7조에 따라서 인증 받은 자를 말한다.
사회적 기업이라는 개념에 대한 우리나라와 유럽의 차이점은? 그런데 사회적 기업이라는 개념이 정부에 의해 먼저 제도화되고 그 필요성에 의해 자리 잡은 우리나라와 달리, 유럽의 경우에는 자발적으로 발생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럽에서의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기업이라는 유형의 조직이 앞서 존재했다기 보다는, 비영리단체들과 시민단체들이 사회적 서비스나 일자리 창출에 참여했던 유럽 각국의 다양한 사회적 맥락에서 나타난 현상들을 종합적으로 개념화 한 것이라고 보는 것이 옳다[15].
사회적 합의가 이뤄지지 못한 채 법적으로만 효력을 발휘하는 사회적 기업을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만은 않은데, 이런 사회적 기업을 바라보는 왜곡된 견해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그러나 이러한 정의가 정부가 사회적 기업을 인증하기 위한 법적인 효력으로 작용하기는 하지만, 사회적기업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정의가 아니기 때문에 우리 사회에서 사회적 기업을 바라보는 왜곡된 견해들이 존재하고 있다[12]. 첫째는 사회적 기업이 취약계층을 위해 무한정으로 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인데, 이는 정부의 사회적 기업에 대한 정책의 흐름이 ‘고용창출’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 그러나 정부의 재정적 지원을 기반으로 유지되는 사회적 기업의 특성상, 고용 창출은 사회적 기업의 여러 활동 중의 하나일 뿐임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둘째는, 사회적 기업이 단순히 정부나 영리기업의 지원을 받기 위한 도구로서 인식되는 것이다. 이는 ‘기업’이라는 말의 의미가 가지는 이윤창출과 지속성을 간과한 까닭이다. 셋째는 사회적 기업과 영리 기업 간의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사회적 기업을 그저 기업으로 바라보는 입장으로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부분을 고려하지 못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최태원, 새로운 모색, 사회적 기업, 이야기가있는 집, 2014, 

  2. 유일, 최혁라, 김선명, "농촌지역 사회적기업 활성화 방안: 전남 보성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332-346, 2013. 

  3. 최혁진, 협동조합의 경험에 기초한 사회적기업의 성장전략과 민관협력 및 제도개선 방안, 사회적기업연구, 제3권, 제1호, pp.67-90, 2010. 

  4. 심창학, 사회적 기업의 개념 정의 및 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유럽의 사회적 기업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제23권, 제2호, pp.61-85, 2007. 

  5. M. J. Roy, C. Donaldson, R. Baker, and A. Kay, "Social enterprise: New pathways to health and well-being?," Journal of Public Health Policy, Vol.34, No.1, pp.55-68, 2013. 

  6. 노희진, 김희선, "사회적 기업의 육성 방안 : 한일 양국의 사적 고찰을 통하여," 한국경영사학회, 제28권, 제2호, pp.147-176, 2013. 

  7. P. Dey and S. Teasdale, "Social Enterprise and Dis/identification: The Politics of Identity Work in the English Third Sector," Administrative Theory and Praxis, Vol.35, No.2, pp.248-270, 2013. 

  8. 이용재, 김봉환, "사회적기업 자원연계 현황 및 활성화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227-235, 2013. 

  9. 남승연, 조창현, 정무권, "사회적기업의 개념화와 유형화 논쟁: 사회적기업의 다양성과 역동성의 이해를 위하여," 창조와 혁신, 제3권, 제2호, pp.129-173, 2010. 

  10. 류만희, "한국의 사회적기업 특성과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상황과 복지, 제31호, pp.161-191, 2011. 

  11. J. A. Kerli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Global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Voluntas, Vol.21, pp.162-179, 2010. 

  12. 김정원, 사회적기업이란 무엇인가?, 아르케, 2009. 

  13. 김성기, "사회적기업 특성에 관한 쟁점과 함의," 사회복지정책, 제36권, 제2호, pp.139-166, 2009. 

  14. 민병욱,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독일과 한국 사회적 기업 특성 비교연구," 한독사회과학논총, 제25권, 제3호, pp.101-132, 2015. 

  15. 엄형식, "유럽적 의미의 사회적 기업과 시사점," 도시와 빈곤, 제10호, pp.78-117, 2005. 

  16. OECD, Social Enterprises, 1999. 

  17. DTI, Social Enterprise: A Strategy for Success,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2002. 

  18. S. K. Alter, Case Studies in Social Enterprise: Counterpart International's Experience, Counterpart International, 2002. 

  19. Social Enterprise Coalition, There's More to Business Than You Think: A Guide to Social Enterprise, Social Enterprise Coalition, 2003. 

  20. 김봉화, 김배호, 세계 사회적 기업의 현황과 전략, 한국학술정보(주), 2010. 

  21. I. Vidal, "Social Enterprise and Social Inclusion: Social Enterprise in the Sphere of Work Integ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Vol.28, pp.807-825, 2005. 

  22. D. Bornstein, How to Change the World: Social Entrepreneurs and the power of New Ideas,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3. 황덕순, "유럽에서의 사회적 기업의 확산과 국가의 지원," 국제노동브리프, 제2권, 제6호, pp.72-78, 2004. 

  24. 노동고용부, 예비사회적기업 재정지원사업 업무 매뉴얼, 노동고용부, 2013. 

  25. 황덕순, 장원봉, 길현종, 김신양, 사회적기업의 임금실태와 저임금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5. 

  26. 김선일, "선교적 교회의 패러다임에서 조망하는 교회학교 사역," 복음과 선교, 제17권, pp.9-38, 2012. 

  27. D. Kimball, The Emerging Church, Zondervan, 2003. 

  28. J. Leland, "Searching for a Holy Spirit," Newsweek pp.61-63, 8 May 2000. 

  29. M. Regele with M. Schulz, The Death of the Church, Zondervan, 1995. 

  30. T. Cheste and S. Timmis, Evaryday Church, Crossway, 2012. 

  31. R. Powell and K. Jacka, "Moving beyond Forty Years of Missing Generations," National Church Life Survey, Occasional Paper 10, 2008. 

  32. L. E. Schaller, 44 Questions for Church Planters, Abingdon, 1991. 

  33. W. Arn, The Pastor's Manual for Effective Ministry, Church Growth, 1988. 

  34. C. Van Gelder, The Essence of the Church, Baker, 2000. 

  35. D. Guder, The Continuing Conversion of the Church, Eerdmans, 2000. 

  36. L. Barrett, Treasure in Clay Jars: Patterns in Missional Faithfulness, Eerdmans, 2004. 

  37. 이후천, "한국에서 선교적 교회론의 접근 방법들에 대한 선교학적 고찰," 선교와 신학, 제30호, pp.49-74, 2012. 

  38. 이후천, "한국에서의 선교적 교회의 사례와 그 기준지표에 대한 고찰," 선교신학, 제34집, pp.141-165, 2013. 

  39. 이후천, "선교적 교단을 향하여: 선교적 교회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교단," 선교신학, pp.205-236, 2014. 

  40. 한국일, "한국적 상황에서 본 선교적 교회: 지역 교회를 중심으로," 선교와 신학, 제30집, pp.75-112, 2012. 

  41. 한국일, "마을 만들기와 지역 교회 역할: 선교적 교회의 관점에서,"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교회에 에큐메니칼 신학 교육, pp.1-17, 2013. 

  42. M. Frost and A. Hirsch, The Shaping of Things to Come: Innovation and Mission for the 21st Century Church, Baker, 2013. 

  43. R. Oldenburg, The Great Good Place: Cafes, Coffee Shops, Community Centers, Beauty Parlors, General Stores, Bars, Hangouts and How They Get You Through the Day, Paragon House, 1989. 

  44. M. Frost, Exiles: Living Missionally in a Post-Christian Culture, Hendrickson Publishers, 2006. 

  45. V. Turner. From Ritual to Theater: The Human Seriousness of Play, PAJ Publications, 1982. 

  46. A. Hirsch, The Forgotten Ways: Reactivating the Missional Church. Brazos, 2009. 

  47. 이후천, 응답하라 선교적 교회론, 2016년 한국선교신학회 제1차 학술대회 논문집, pp.18-31, 2016. 

  48. D. L. Guder ed. Missional Church: A Vision for the Sending of the Church in North America,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8. 

  49. D. Bonhoeffer, Letters and Papers From Prison, Macmillan, 1953. 

  50. D. Bosch, Transforming Mission: Paradigm Shifts in Theology of Mission. Maryknoll, Orbis Books, 2011. 

  51. A. Malphurs, A New Kid of Church: Understanding Models of Ministry for the 21st Century, Baker Books, 2007. 

  52. 이상훈, "선교적 교회를 통한 목회 패러다임의 갱신," 복음과 선교, 제20집, pp.89-118, 2012. 

  53. 황병배, "한국 기독교 사회적 기업 연구 -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실천신학회, 제32호, pp.755-780,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