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성별에 따른 배우자 폭력 피해 경험과 우울의 관계 : 2015년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Relationship between Partner Violence and Depression by Gender in the Elderly: Based on 2015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 2017년, pp.522 - 531  

김민주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 발생하는 배우자 폭력은 심각한 수준이다. 이러한 배우자에 의한 폭력은 피해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초래할 수 있다. 노인의 경우 배우자와의 관계가 노인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본 연구는 성별에 따라 노년기에 발생한 배우자에 의한 폭력 피해 경험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노인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5년 실시된 한국복지패널조사에 참여한 노인 중 주요변수에 응답한 2,819명이며, 각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 및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 배우자 폭력 피해경험 및 우울 정도를 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3.0을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 독립 t-tests, $x^2$-tests, 단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위계적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구학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자녀와의 관계 및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를 통제한 상태에서 남성노인과 여성노인 모두 배우자에 의한 폭력 경험은 우울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성 노인뿐만 아니라 남성노인을 포함하여 배우자 폭력 예방과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건강중재 계획 수립을 위한 근거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ner violence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This secondary analysis study used the data from 2015 Korean Welfare Panel Study. A total of 2,819 older adults who completed the survey abou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대부분의 배우자에 의한 폭력 경험과 우울과의 관계 연구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것이 대부분 이며[20][21], 또한 배우자에 의한 폭력 경험에 대한 연구는 주로 여성 피해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남성 피해자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21-25]. 가정폭력실태조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남성노인도 배우자 폭력의 피해자가 되는 상황에서 성별에 따른 노인의 배우자 폭력 피해 경험과 우울과의 관계를 확인하여 성별에 따른 배우자 폭력과 우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 배우자 폭력 피해경험과 우울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2015년도에 실시한 제 10차 한국복지패널 조사 자료를 활용한 2차 자료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전국단위의 자료를 이용하여 배우자에 의한 폭력 경험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제10차 한국복지패널조사를 이용하여 노인의 배우자에 의한 폭력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2차 자료분석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 다른 나라에 비해 우리나라 노인이 배우자에 의한 폭력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 노년기에 발생하는 높은 배우자 폭력 발생률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건강문제를 고려했을 때 이는 단순히 부부간의 문제가 아닌 우리 사회가 중요하게 관심을 기울여야 할 사회적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에 의한 폭력 경험이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에 얼마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노인의 부부관계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는데 실천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전국민을 모집단으로 하여 층화확률표본 추출을 통해 선발된 대상자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의 대상자는 표본의 대표성을 가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폭력이란 무엇인가? 가정폭력은 가족구성원 중 한 사람이 다른 가족에게 의도적으로 물리적 힘을 사용하거나 정신적인 학대를 통하여 고통을 주는 행위를 의미한다[1]. 이러한 가정폭력은 단순한 신체적 폭력과 성적 학대뿐만 아니라 정서적 폭력, 경제적 폭력, 방임 및 통제까지 포함한 광의적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2].
가정폭력의 포괄적 개념은 무엇인가? 가정폭력은 가족구성원 중 한 사람이 다른 가족에게 의도적으로 물리적 힘을 사용하거나 정신적인 학대를 통하여 고통을 주는 행위를 의미한다[1]. 이러한 가정폭력은 단순한 신체적 폭력과 성적 학대뿐만 아니라 정서적 폭력, 경제적 폭력, 방임 및 통제까지 포함한 광의적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2]. 2013년에 여성가족부가 실시한 가정폭력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 1년간 경험한만 19세 이상 65세 미만의 기혼 남녀의 통제를 제외한 모든 폭력 유형을 포함한 배우자 폭력 피해는 45.
배우자 폭력은 어떠한 일을 초래하는가? 배우자에 의한 폭력은 피해자에게 신체적 손상뿐만 아니라 정신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선행연 구에 따르면 배우자에 의한 폭력을 경험한 후 우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불안장애, 약물/알코올 남용과 자살행동 등의 만성적인 정신과적 문제를 유발 할 수 있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황정임, 장혜경, 윤덕경, 김영란, 주재선, 김동식, 이인선, 정수연, 정춘숙, 2013 가정폭력 실태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가족부, 2013. 

  2. Z. Winstok, "Toward an interactional perspective on intimate partner violence,"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Vol.12, No.3, pp.348-363, 2007. 

  3. M. C. Black, K. C. Basile, M. J. Breiding, S. G. Smith, M. L. Walters, and M. T. Merrick, National intimate partner and sexual violence survey: 2010 Summary report, National Center for Injury Prevention and Control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4. National Center for Injury Prevention and Control, Costs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against women in the United Stat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3, 

  5.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dverse health conditions and health risk behaviors associated with intimate partner violence-United States, 2005,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pp.113-117, 2008. 

  6. 배나래, 박충선,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9 권, 제2호, pp.761-779, 2009. 

  7. K. M. Devries, J. Y. Mak, L. J. Bacchus, J. C. Child, G. Falder, M. Petzold, J. Astbury, and C. H. Watts,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incident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e attempts: a systematic review of longitudinal studies," PLoS Med, Vol.10, No.5, p.e1001439, 2013. 

  8. J. M. Golding, "Intimate Partner Violence as a Risk Factor for Mental Disorders: A Meta- Analysis," Journal of Family Violence, Vol.14, No.2, pp.99-132, 1999. 

  9. J. C. Campbell, "Health consequences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Lancet, Vol.359, No.9314, pp.1331-1336, 2002. 

  10. M. Serby and M. Yu, "Overview: Depression in the Elderly," Mount Sinai Journal of Medicine, Vol.70, No.1, p.38, 2003. 

  11. S. Awata, T. Seki, Y. Koizumi, S. Sato, A. Hozawa, K. Omori, S. Kuriyama, H. Arai, R. Nagamoto, H. Matsuoka, and I. Tsuji,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in an elderly urban Japanese population: A community-based, cross-sectional study,"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Vol.59, No.3, pp.327-336, 2005. 

  12. 전진숙, "한국노인의 자살," 노인정신의학, 제10권, 제1호, pp.14-19, 2006. 

  13. I. C. Bogers, M. Zuidersma, M. L. Boshuisen, H. C. Comijs, and R. C. Oude Voschaar, "Determinants of thoughts of death or suicide in depressed older persons,"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Vol.25, No.11, pp.1775-1778, 2013. 

  14. M. M. Henriksson, M. J. Marttunen, E. T. Isometsa, M. E. Heikkinen, H. M. Aro, K. I. Kuoppasalmi, and J. K. Lonnqvist, "Mental disorders in elderly suicide,"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Vol.7, No.2, pp.275-286, 1995. 

  15. P. Scocco and D. De Leo, "One-year prevalence of death thoughts, suicide ideation and behaviors in an elderly pop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17, No.9, pp.842-846, 2002. 

  16. M. M. Fassberg, K. A. van Orden, P. Duberstein, A. Erlangsen, S. Lapierre, E. Bonder, S. S. Canetto, D. De Leo, K. Szanto, and M. Waern, "A systematic review of social factors and suicidal behavior in older adulthood,"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9, No.3, pp.722-745, 2012. 

  17. 서홍란, 정윤경, 김희년, "신체적 질환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돌봄행위의 조절효과," 노인복지연구, 제61권, pp.57-83, 2013. 

  18. 이민숙, "노인의 우울과 자살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 임상사회사업연구, 제2권, 제3호, pp.191-212, 2005. 

  19. 정영미, "여성노인의 우울에 따른 건강상태 및 우울관련 요인," 한국노년학, 제27권, 제1호, pp.71-86, 2007. 

  20. L. M. Renner, L. Habib, A. M. Stromquist, and C. Peek-Asa, "The association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depressive symptoms in a cohort of rural couples," Journal of Rural Health, Vol.30, No.1, pp.50-58, 2014. 

  21. 송진영, "남성의 문제음주여부가 배우자에 대한 언어폭력에 미치는 영향," GRI 연구논총, 제17권, 제2호, pp.53-79, 2015. 

  22. 김재엽, 김희수, "여성노인의 가정폭력 피해실태와 정신건강," 한국노년학, 제23권, 제2호, pp.51-65, 2003. 

  23. 조자영, 이경민, "노인의 배우자폭력 피해경험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67권, pp.227-247, 2015. 

  24. 조혜정, 윤명숙, "남성노인의 문제음주와 배우자 폭력의 관계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0권, 제1호, pp.31-58, 2012. 

  25. 현진희, "노인 배우자의 음주문제와 폭력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알코올과학회지, 제11권, 제1호, pp.89-101, 2010. 

  26. L. S. Radloff,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1, pp.385-401, 1977. 

  27. F. J. Kohout, L. F. Berkman, D. A. Evans, and J. Cornoni-Huntley, "Two shorter forms of the CES-D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depression symptoms index," Journal of Aging Health, Vol.5, No.2, pp.179-193, 1993. 

  28. 김동배, 손의성, "한국노인의 우울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 제25권, 제4호, pp.167-187, 2005. 

  29. 이은령, 강지혁, 정재필, "노인 우울에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291-300, 2013. 

  30. 김정유, 최유석, "사회적 지지가 중소도시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4호, pp.208-219,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