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 2017년, pp.673 - 691
허준수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조승호 (숭실대학교 글로벌통상학과)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extraneous variables, social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persons. This study analyzed 4014 elderly persons out of 2010 KLoSA. The path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s were examined by AMOS. Except educational level, f...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노인들의 건강증진 및 향상은 단기간에 성취되기 어려우므로 필요한 조치는 무엇이 있는가? | 노인들은 일반 성인 인구계층보다 만성질환에 걸릴 확률이 높고, 그리고 노인들의 건강증진 및 향상은 단기간에 성취되기는 매우어렵다. 그러므로 노인들이 본인들이 갖고 있는 만성질환 및 질병들을 잘 관리하고 개인별 건강특성에 부합하는 건강증진행위(Health Promotion Behavior)를 도모할수 있도록 지지적인 가족환경과 체계적인 공공 건강관 리시스템을 지역단위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 |
활동이론이란 무엇인가? | 활동이론(Activity Theory)은 노인들이 활동적으로 생활하고 사회적 접촉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때 성공적 노화를 추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노인이 사회적 활동을 지속하면 할수록 노화의 과정(Aging Process)은 늦추어지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 |
노인들에게 사회참여활동의 기회를 증진시키는 것이 가져오는 기대 효과는? |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사회참여활동(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이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 규명되었다. 노인들에게 사회참여활동의 기회를 증진시키는 것은 노인들의 우울과 스트레스와 같은 다양한 심리·정서적인 문제들을 경감시키고 노년기의 다양한 욕구들에 대응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노년 기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17]. 노인들이 사회적 활동에 참여할 경우 노인들의 역할상실을 대체하는 효과가 있고, 특히 노인들이 종교활동, 문화활동, 여가활동 및 봉사활동 등에 참여하는 경우 삶의 만족도가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14][21]. |
박성연, 최혜경, "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가족부양체계를 중심으로 한 인과모형의 검증,"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23, No.1, pp.71-85, 1985.
윤명숙, 이묘숙, "지역사회 여성노인들의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36, pp.89-115, 2011.
J. Fisher, "Successful aging, life satisfaction, and generativity in later lif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41, No.3, pp.239-250, 1995.
N. Steverink and S. Lindenberg, "Which social needs are important for subjective well-being? What happens to them with aging?," Psychology and Aging, Vol.21, pp.281-290, 2006.
M. Gutierrez, J. Tomas, L. Galiana, P. Sancho, and M. Cebria, "Predicting life satisfaction of the Angolan elderly: A structural model," Aging & Mental Health, Vol.17, No.1, pp.94-101, 2013.
M. Coke,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African Americans," Journal of Gerontology, Vol.47, No.5, pp.316-320, 1992.
K. Chou and I. Chi,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in Hong Kong Chinese elderly: A longitudinal study," Aging & Mental Health, Vol.3, No.4, pp.328-335, 1999.
권중돈, 조주연,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Vol.20, No.3, pp.61-76, 2000.
허준수,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Vol.24, pp.127-151, 2004.
S. Meeks and S. Murrell, "Contribution of education to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mediated by negative affect," Journal of Aging and Health, Vol.13, No.1, pp.92-119, 2001.
A. Mhaolain, D. Gallagher, H. O Connell, A. Chin, I. Bruce, F. Hamilton, and B. Lawlor, "Subjective well-being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s: what determines satisfaction with life? Findings from the Dublin Healthy Aging Study,"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Vol.24, No.2, pp.316-323, 2012.
김미령,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 Vol.28, No.1, pp.33-48, 2008.
임은의, 구본진, 임세현, "농촌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 구, Vol.25, No.2, pp.567-590, 2014.
황라일, 임지영, 이영휘, "노인의 인지 기능 수준에 따른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 비교," 대한간호학회지, Vol.39, No.5, pp.622-631, 2009.
권현수, "노인의 사회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학회지, Vol.18, No.5, pp.995-1008, 2009.
S. Markides and W. Martin, "A causal model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Gerontology, Vol.34, No.1, pp.86-93, 1979.
E. Spreitzer and E. Snyder,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aged," Journal of gerontology, Vol.29, No.4, pp.454-458, 1974.
원종순, 김계하, "방문간호 대상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및 생활만족도 평가," 대한간호학회지, Vol.38, No.1, pp.1-10, 2008.
남기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한 노인의 활동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 사회복지연구, Vol.30, pp.303-328, 2006.
R. Jenkins, M. Pienta, and L. Horgas,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ies," Research on Aging, Vol.24, No.1, pp.124-149, 2002.
주경희, "노인의 사회참여 활동영역과 수준에 따른 삶의 질 비교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39, pp.231-264, 2011.
신원우, "노인의신체및정신건강문제와생활만족도간의관계: 자원봉사활동참여의조절효과를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Vol.54, pp.135-163. 2011.
문보영, 이경희, 문혜영, "노인의 여가활동, 여가 만족도 및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관광.레저연구, Vol.25, No.5, pp.273-287, 2013.
J. Havighurst, "Successful Ageing," The Geronologiest, Vol.1, pp.8-13, 1961.
J. Diggs, Activity Theory of Aging. Encyclopedia of Aging and Public Health,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8.
L. Bengtson and M. DeLiema, Theories of Aging and Social Gerontology: Explaining How Social Factors Influence Well-Being in Later Life, Gerontology: Changes, Challenges, and Solutions, 2016.
W. Lemon, L. Bengtson, and A. Peterson, "An Exploration of the Activity Theory of Aging: Activity Typ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In-movers to a Retirement Community," Journal of Gerontology, Vol.27, pp.511-523, 1972.
C. Mannell, "High-investment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In J. Kelly(Ed.), Activity and Aging, Newbury Park, CA: Sage, 1993.
R. Atchley, Activity Theory, The Encyclopedia of Aging: Fourth Edition, Volume 2.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6.
H. Hsu, "Does Social Participation by the Elderly Reduce Mortality and Cognitive Impairment?," Aging and Mental Health, Vol.11, No.6, pp.699-707, 2007.
L. Richard, L. Gauvin, C. Gosselin, and S. Laforest, "Staying Connected: Neighbourhood Correlates of Social Participation among Older Adults Living in an Urban Environment in Montreal, Quebec,"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Vol.24, No.1, pp.46-57, 2008.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년 노인생활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배진희, "고령노인의 일상생활기능 저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Vol.29, No.1, pp.353-368, 2009.
허준수, "노인들의사회참여활동유형별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Vol.64, pp.235-263, 2014.
신창환, "삶의 특성이 노인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Vol.30, No.2, pp.453-469, 2010.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Third Edition), Guilford Press, 2010.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SPSS & AMOS 21, 한빛아카데미, 2014.
안도희, 안병국, "공무원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Vol.34, No.2, pp.173-196, 2015.
H. Yuan, "Structural Social Capital, Household Income and Life Satisfaction: The Evidence from Beijing, Shanghai and Guangdong- Province, China,"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17, No.2, pp.569-586, 2016.
R. Baron and D. Kenny,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1173, 1986.
http://basicpension.mw.go.kr/Nfront_main/ index.jsp.
이동오, 반성오, "노인들의 질환별 유형여부와 건강관련 삶의 질 구조모형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 pp.216-224, 2011.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