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노동시장 참여 고령 1인가구의 직무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성별과 연령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Among the Old Workers Living Alone: Focused on Gender and Age원문보기
그동안 선행연구들에서 고령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고령 1인가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을 분석하고, 성별과 연령에 따라서 인구 사회적 요인, 건강 심리적 요인 및 노동 관련 요인 등으로 구분하여 고령 1인 가구의 직무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의 18차 자료를 활용하였고 연구대상자는 55세 이상의 고령 1인 가구 총 3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남성 고령 1인가구의 경우 행복, 조직몰입도 및 근로기간 등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지만, 그러나 여성 고령 1인가구의 경우는 연령, 행복, 조직몰입도 및 기술수준 등이 직무만족도의 결정요인이었다. 55세-64세의 경우 소득, 조직몰입, 고용안정성 및 근로기간 등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65세-74세의 경우 교육, 조직몰입 및 기술수준 등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75세 이상의 경우 교육과 행복 등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그리고 연령, 소득, 행복, 조직몰입도, 고용안정성, 근로기간 및 기술수준 등이 전체 연구대상자들의 직무만족도의 결정요인들이었다. 본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독거 고령근로자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 등을 제언하였다.
그동안 선행연구들에서 고령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고령 1인가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을 분석하고, 성별과 연령에 따라서 인구 사회적 요인, 건강 심리적 요인 및 노동 관련 요인 등으로 구분하여 고령 1인 가구의 직무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의 18차 자료를 활용하였고 연구대상자는 55세 이상의 고령 1인 가구 총 3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남성 고령 1인가구의 경우 행복, 조직몰입도 및 근로기간 등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지만, 그러나 여성 고령 1인가구의 경우는 연령, 행복, 조직몰입도 및 기술수준 등이 직무만족도의 결정요인이었다. 55세-64세의 경우 소득, 조직몰입, 고용안정성 및 근로기간 등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65세-74세의 경우 교육, 조직몰입 및 기술수준 등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75세 이상의 경우 교육과 행복 등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그리고 연령, 소득, 행복, 조직몰입도, 고용안정성, 근로기간 및 기술수준 등이 전체 연구대상자들의 직무만족도의 결정요인들이었다. 본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독거 고령근로자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 등을 제언하였다.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job satisfaction among older workers living alone. This study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for older workers living alone, and the job satisfaction was analyzed by the demographic-social factors, the health-psychological factors, and labor factors regar...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job satisfaction among older workers living alone. This study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for older workers living alone, and the job satisfaction was analyzed by the demographic-social factors, the health-psychological factors, and labor factors regarding to sex and ages.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18th) used in this study, and the subjects were 308 older worker living alone and over 55 years old.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for male respondents were happi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duration of work. Howver,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for female respondents were age, happi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evels of skill. Income, organizational commitment, employment stability, and duration of work were the determinants for 55-64 years old. Educ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evels of skill were the determinants for 65-74 years old. Education and happiness were the determinants for 75 years old and over. Age, income, happi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employment stability, duration of work, and levels of skill were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for all respondents. Finally, this study proposed th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of job satisfaction among older workers living alone.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job satisfaction among older workers living alone. This study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for older workers living alone, and the job satisfaction was analyzed by the demographic-social factors, the health-psychological factors, and labor factors regarding to sex and ages.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18th) used in this study, and the subjects were 308 older worker living alone and over 55 years old.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for male respondents were happi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duration of work. Howver,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for female respondents were age, happi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evels of skill. Income, organizational commitment, employment stability, and duration of work were the determinants for 55-64 years old. Educ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evels of skill were the determinants for 65-74 years old. Education and happiness were the determinants for 75 years old and over. Age, income, happi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employment stability, duration of work, and levels of skill were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for all respondents. Finally, this study proposed th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of job satisfaction among older workers living alone.
또한 다인가구에 비해서 대다수의 고령 1인가구의 경제활동 참여율이 낮으며 소득이나 주택의 자가 소유율도 낮으며, 특히 경제활동에 참여하더라도 노동환경이 열악한 일용직, 정부 일자리, 단순 노무 및 시간제 일자리 등으로 나타났다[11]. 고령 1인가구의 경제적 문제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의 대부분 선행연구들은 일반 노인들의 경제적인 측면에 관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9][12-14].
우리나라의 고령화의 실태는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다른 나라에 비해서 매우 빠른 편이다. 2018년 현재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738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4.03%가 노인 인구인 고령사회에 진입하였다[1]. 이러한 고령화 속도에 인해 2026년에는 노인인구가 천만명인 초고령사회(Super-aged Society)로 진입할 예정이다[2]. 인구고령화와 더불어 우리나라에서는 1인가구도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직무만족도는 무엇인가?
직무만족도는 사회학, 심리학 및 경제 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요한 연구 변수로 경영학에서는 생산성의 결정변수로 사회학에서는 소외의 정도를 평가하는 변수이며 경제학에서는 효용성의 대리변수로 노동시장현상의 예측변수로 활용되어 오고 있다. 또한 직무만족도는 좋은 일자리의 개념과 깊은 연관성이 있다[27][49].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