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남육괴에 분포하는 쥐라기 춘양화강암의 지화학적 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Jurassic Chunyang Granites in Northeastern Part of the Yeongnam Massif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8 no.1, 2017년, pp.49 - 63  

강민영 (토월고등학교) ,  김윤지 (대구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위수민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남육괴 북동부에 위치하는 춘양화강암은 비알칼리계열 중 칼크-알칼리계열에 해당하는 I-type의 화강암류이며, 고알루미나질이다. 주성분원소 및 미량원소의 함량변화는 체계적인 연속성을 보이며, 일반적인 남한의 쥐라기 화강암류의 분화경향과 유사하다. 미량원소 중 유동성을 가지는 LILE (Sr, K, Rb, Ba)는 부화되어 있는 반면, 비유동성을 나타내는 HFSE 중 Ta, Nb, P, Ti의 함량은 상대적으로 결핍되어 있다. HREE에 대한 LREE의 강한 부화($(La/Lu)_{CN}=41.8-73.2$)와 Eu 부(-)이상[$(Eu/Eu^*)_{CN}=0.89-1.10$]은 남한에 분포하는 쥐라기 화강암류의 패턴과 매우 유사하다. 이러한 춘양화강암을 암체의 서쪽에 위치하며 영주저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석심성암체와 비교하면 주성분원소 및 미량원소의 Harker 성분변화도에서 $SiO_2$ 함량에 따른 상관관계를 인지할 수 없어 두 암체는 성인적으로 무관한 별개의 암체로 사료된다. 춘양화강암은 지구조 판별도에서 화산호 환경에 도시되고 따라서 춘양화강암의 지화학적 특성을 종합해보면 쥐라기 고태평양판이 섭입하는 활동성 대륙주변부 환경에서 생성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eochemical results of the Chunyang granites located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Yeongnam Massif, indicate that these rocks have characteristics of calc-alkaline series in the sub-alkaline field, I-type and peraluminous. Most of the geochemical features in major and trace elements show sys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논문에서는 춘양화강암의 암석기재, 지화학적 특성, 지구조적 생성환경 및 성인을 고찰하였다. 또한 연구결과들을 영주저반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춘양심성암체와 접해있는 영주지역 부석심성암체에 대한 암석학적 특징 및 지화학적 특성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춘양심성암체와 부석심성암체가 단일 또는 별개의 암체인지에 대해 규명하였다.
  • 본 연구지역의 쥐라기 심성암류에 대한 암석화학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야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보다 정확한 화학성분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가능한 변질 받지 않은 신선한 시료를 채취 하였다. 미량원소 및 희토류 원소는 캐나다 소재 Activation Lab에 분석을 의뢰하여 유도결합 질량분석기(ICP-MS)를, 주성분원소와 일부 미량원소(Ba, Sr, Y, Sc, Zr)는 한국교원대학교에 있는 X선 형광분석기(XRF)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춘양화강암의 암석기재, 지화학적 특성, 지구조적 생성환경 및 성인을 고찰하였다. 또한 연구결과들을 영주저반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춘양심성암체와 접해있는 영주지역 부석심성암체에 대한 암석학적 특징 및 지화학적 특성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춘양심성암체와 부석심성암체가 단일 또는 별개의 암체인지에 대해 규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남육괴 내 지질 분포 양상은? 한반도는 선캠브리아 기원의 편마암류와 함께 중생대 화강암류가 넓게 분포하고 있다. 옥천계와 경상분지에 의해 각각 북서부와 남동부가 경계져 있는 영남육괴 내에는 주로 편마암류와 편암류로 구성된 변성퇴적암류를 관입한 트라이아스기 내지 쥐라기 화강암류로 구성된 저반이 북동-남서 방향의 길다란 타원상으로 여러 곳에 분포한다. 영남육괴 북동부에는 영주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영주저반과 안동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안동저반이 대규모로 노출되어 있으며, 영주저반과 안동저반 사이에는 예천전단대가 발달한다(Chang, 1991).
예천전단대 북부의 영주저반의 특징은? 예천전단대 북부의 영주저반은 다양한 암상의 심성암체로 노출 규모가 1000 이상인 영남육괴에서 가장 큰 암체이다. 영주저반은 관입접촉관계에 따라 흑운모 화강암류의 부석심성암체와 춘양화강암의 춘양심성암체 및 세립질 복운모 화강암의 장수심성암체로 구분되는 심성암 복합체이며, 영주저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석심성암체는 춘양심성암체와 장수심성암체에 의해 관입되어있다(Hwang et al., 1999).
한반도의 지질 특징은? 한반도는 선캠브리아 기원의 편마암류와 함께 중생대 화강암류가 넓게 분포하고 있다. 옥천계와 경상분지에 의해 각각 북서부와 남동부가 경계져 있는 영남육괴 내에는 주로 편마암류와 편암류로 구성된 변성퇴적암류를 관입한 트라이아스기 내지 쥐라기 화강암류로 구성된 저반이 북동-남서 방향의 길다란 타원상으로 여러 곳에 분포한다. 영남육괴 북동부에는 영주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영주저반과 안동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안동저반이 대규모로 노출되어 있으며, 영주저반과 안동저반 사이에는 예천전단대가 발달한다(Chang,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rth, J.G. and Hanson, G.N., 1975, Geochemistry and origin of the early Precambrian crust of northern Minnesota.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39, 325-362. 

  2. Arth, J.G. and Baker, F., 1976, Rare earth partitioning between hornblend and dacitic liquid and implications for the genesis of trondjemitic-tonalitic magmas. Geology, 4, 534-536. 

  3. Chang, T.W., 1991, On the microstructures of mylonitic rocks -with special reference to Yechon shear zone, Ko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7, 177-190. 

  4. Condie, K.C., 1989, Plate tectonics & crustal evolution. (3ed.), Pergamon press, Oxford, 476 p. 

  5. Frey, F.A., Chappell, B.W., and Roy, S.D., 1976, Fractionation of rare earth elements in the Toulumne intrusive series, Sierra Nevada batholith, California. Geology, 6, 239-242. 

  6. Green, T.H., 1980, Island arc and continent-building magmatism: a review of petrogenetic models based on experimental petrology and geochemistry. Tectonophysics, 63, 367-385. 

  7. Hong, Y.K., 1987,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recambrian, Jurassic and Cretaceous granit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20, 35-60. 

  8. Hong, Y.K., 1992, Petrogenesis and evolution of early Proterozoic granitic rocks in the Northeastern Ryeongnam Massif, Ko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8, 571-589. 

  9. Hwang, S.K., Kim, S.W., Chang, T.W., Kim, J.M., and Lee S.K., 1999, Intrusive Phases and Igneous Pricesses in the Yeongju Batholith.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2, 669-688. (in Korean) 

  10. Hwang, S.K., Ahn, U.S., and Kim, S.W., 2000, Spatial Compositional Variations and their Origins in the Buseok Pluton, Yeongju Batholith.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3, 147-163. (in Korean) 

  11. Imai, N., Park, N.Y., Lee, H.K., Machida, M., and Higashihara, Y., 1982, Geology and metamorphic rocks in the environs of the Janggun Mine, Republic of Korea. With some comments relating to the Unazuki metamorphic rocks in Japanese. Island arc. In Geology of Japan Sea, 227-255. 

  12. Jin, M.S. and Jang, B.A., 1999, Thermal history of the Late Triassic to Early Jurassic Yeongju-Chunyang Granitoid in the Sobaegsan Massif, South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5, 189-200. (in Korean) 

  13. Kang, J.H., Kim, H.S., and Oh, S.B., 1997, Geological Structure of Precambrian to Paleozoic metasedimentary rocks in the Janggunbong area, Korea-Crustal evolution and environmental geology of the central part of the North Sobaegsan massif, Korea-.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6, 244-259. (in Korean) 

  14. Kim, G.H., 1992, Geochemical Study of Some Mesozoic Granitic Rock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25, 435-446. (in Korean) 

  15. Kim, S.W., Lee, C.Y., and Ryu, I.C., 2008, Geochemical and Nd-Sr Isotope Studies for Foliated Granitoids and Mylonitized Gneisses from the Myeongho Area in Northeast Yecheon Shear Zone.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41, 299-314. (in Korean) 

  16. Lee, C.H., Lee, H.K., and Kim, S.J., 1998, Geochemistry and mineralization age of magnesian skarn-type iron deposits of the Janggun mine, Republic of Korea. Mineralium Deposita, 33, 379-390. 

  17. Lee, H.K., Ko, S.J., and Imai Naoya, 1990, Genesis of the Lead-Zinc-Silver and Iron Deposits of the Janggun Mine, as Related to Their Structural Features Structural Control and Wall Rock Alteration of Ore-Formation.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23, 161-181. (in Korean) 

  18. Lee, S.M. and Kim, H.S., 1984, Metamorphic Studies on the so-called Yulri and Weonnam Groups in the Mt. Taebaeg A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0, 195-214. (in Korean) 

  19. Mason, B. and Moore, C.B., 1982, Principles of Geochemistry. (4ed.), John Wiley & Sons, New York. 344 p. 

  20. McCulloch, M.T. and Gamble, J.A., 1991, Geochemical and geodynamical constraints on subduction zone magmatism.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102, 358-374. 

  21. Nash, W.P. and Crecraft, H.R., 1985, Partition coefficients for trace elements in silicic magmas.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49, 2309-2322. 

  22. Nockolds, S.R. and Allen, R., 1954, Average chemical compositions of some igneous rocks. Bullentin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65, 1007-1032. 

  23. Pearce, J.A., 1983, The role of sub-continental lithosphere in magma genesis at destructive plate margins. In: C.J. Hawkesworth & M.J. Norry. (eds.), Continental basalts and mantle xenoliths. Shiva, Nantwich, 230-249. 

  24. Rollinson, H.R., 1993, Using geochemical data: Evalution, Presentation, Interpretation. Longman Scientific & Technical, John Wiley & Sons, New York, 352 p. 

  25. Song, Y.S. and Yi, K.W., 2015, SHRIMP U-Pb age of the Chunyang granite, NE Yeongnam massif,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1, 397-402. (in Korean) 

  26. Streckeisen, A., 1976, To each plutonic rock its proper name. Earth Science Review, 12, 1-33. 

  27. Sun, S.S. and McDonough, W.F., 1989, Chemical and isotopic systematics of oceanic basalts: implications for mantle composition and processes. In: Saunders, A.D. & Norry, M.J. (eds.), Magmatism in the ocean basins. Geological Society [London] Special Publication, 42, 313-345. 

  28. Taylor, S.R., 1965, The application of trace element data to problems in petrology.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6, 133-213. 

  29. Vlasov, K.A., 1966, Geochemistry and mineralogy of rare elements and genetic types of their deposits. Israel Program for Scientific Translations Ltd., 688 p. 

  30. Wee, S.M., Kim, J.Y., and Lim, S.M., 2013,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Uljin Granitoids in Northeastern Part of the Yeongnam Massi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 313-32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