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외 요양시설 디자인가이드라인에 나타난 치유성능 연구
Healing Performance Shown in International Design Guidelines for Nursing Homes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6 no.1 = no.120, 2017년, pp.43 - 52  

오아연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장미선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이연숙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nursing homes where physically weak seniors live must be planned as an healing environment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holistic health conditions of the senior residents, many of the nursing homes in Korea are currently placed in poor environment due to lack of minimum criteria or desig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간은 위치, 건물외부, 공간기능에 따른 분류로 입구, 침실, 간호스테이션 등을 포함하고, 일반적인 지침은 방화시설, 마감재, 가구, 조명 등의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가이드라인 B는 호주의 Queensland에서 노인 요양시설의 주거공간과 서비스 제공 개선을 위한 모델개발 시 활용할 설계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가이드라인은 General Principles 특별 관리가 필요한 치매, 정신질환자 케어를 위한 항목으로 분류되어 있었으며, General Principles에서 디자인 이슈, 사이트 선정, 건물 외관과 인테리어에 대해 디자인 요소에 따라 다루고 있었고, 세부설명과 디자인 다이어그램이 함께 제시되어 있었다.
  • 널싱홈에 대한 소개를 시작으로 계획과 디자인, 사이트 계획, 인테리어, 건축시스템 계획에 대한 요소를 공간별로 다루고 있으며, 세부설명과 공간별 예시 이미지를 함께 제시하고 있다. 가이드라인 D는 캐나다의 Department of Social Development에 서 Province of New Brunswick의 널싱홈 설계 시 요구되는 건물 성능과 품질, 기능에 대한 요구사항을 제시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집같은 분위기와 안전,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시스템 구축을 목적으로 하며, 자연채광을 극대화하는 디자인을 필수적 요소로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국외 요양시설 디자인 가이드라인 항목에 나타난 치유 성능을 종합하여 체계화함으로써 앞으로 국내 요양시설의 디자인에 있어 치유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차원에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기존 가이드라인을 분석하는 문헌분석연구이다. 내용분석방법은 문헌연구의 한 종류로서 특정한 내용의 속성 또는 측면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서술하는 방법이다.
  •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가이드라인을 개발한 영국, 호주, 미국, 캐나다의 복지선진국들은 우리나라보다 앞서 재택서비스시설, 주간보호시설, 그룹홈, 장기요양시설, 데이센터 등 다양한 유형의 노인공간환경을 다루어 온 경험을 토대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개발․보급해왔고, 이 가이드라인들은 노인요양시설 디자인을 위한 포괄적인 범주를 다루고 있어 이 가이드라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들의 개요는 다음의 과 같다.
  • 우리나라의 노인인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고령자가 편안하고 안전한 생활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노인복지를 구현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요양시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치유의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개별 공간에 따라 혹은 요구되는 치유 성능에 따라 적용이 가능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요양시설의 디자인을 담당하는 전문가들이 요양시설 계획 시 어떠한 건강차원을 배려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어떠한 성능을 반영해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길러줄 수 있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본 장에서는 치유성능 특성에 따른 가이드라인 항목 분석결과를 건강차원 및 치유성능, 그리고 공간에 따른 가이드라인 분포를 각각 살펴본 후 공간과 치유성능에 따른 가이드라인의 분포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국외의 선도적인 가이드라인은 효과적인 요양시설 디자인을 위한 지침 및 안내서로서, 구체적인 디자인요소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어 적용에 용이한 특징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복지 선진국가들이 공공의 차원에서 개발하여 요양시설의 계획에 적극 활용하고 있는 요양시설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내재된 치유성능을 도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치유란 신체적·정신적·사회적 건강증진을 의미한다.
  • 가이드라인 D는 캐나다의 Department of Social Development에 서 Province of New Brunswick의 널싱홈 설계 시 요구되는 건물 성능과 품질, 기능에 대한 요구사항을 제시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집같은 분위기와 안전,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시스템 구축을 목적으로 하며, 자연채광을 극대화하는 디자인을 필수적 요소로 구성하였다. 가이드라인은 공간구성기준과 건축성능기준에 따른 항목으로 분류되며, 공간구성기준 부분에서 공간별 구성요소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세부 설명과 도면을 함께 제시하고 있다.
  • 여기서 치유란 신체적·정신적·사회적 건강증진을 의미한다. 치유성능은 첫째, 어떠한 건강 차원을 지향하고 있는지, 둘째, 어떠한 치유성능개념 (construct)을 지향하고 있는지, 셋째, 어떠한 공간에서 추구되고 있는지, 넷째, 위의 세 가지 특성간의 관계는 어떠한지의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요양시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포괄적인 치유의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할 것이며, 앞으로 이를 종합적으로 체계화한다면 국내 노인 요양시설의 치유성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향을 모색함에 있어 건축·실내건축·디자인 분야의 전문가들이 활용할 수 있는 지식기반이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유환경이란? 치유환경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되어 왔다. Clare Cooper Marcus는 치유환경은 환자의 질병을 직접 고칠 수는 없으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안정감을 주며 건강상태가 호전될 수 있도록 돕는 환경이라고 정의하였다.7) Jain Malkin은 치유환경은 물리적인 환경과 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한 심리적 지원을 하는 환경으로 환자가 스스로를 제어하고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웃음, 휴식과 영적인 회복을 통해 삶의 질 향상을 경험하도록 하는 환경이라고 정의하였다.8) Terri Zborowsky는 ‘to make whole’이라는 치유의 어원을 바탕으로 치유환경은 마음, 몸, 정신의 조화와 균형을 촉진하는 환경이며 이는 불안과 스트레스를 줄이고 회복을 도울 수 있어야 주장하였다.
노인인구 증가 원인은? 생활수준 향상과 의료기술의 발전에 따라 평균수명이 높아지면서 노인인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을 기준으로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인 구의 13.
노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요양시설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심신의 쇠약정도가 심각한 노인들이 거주하는 주거공간은 보다 높은 수준의 환경 지원성(Environmental Affordance)이 요구된다.3) 이에 치매를 포함한 중증질환이 있어 자립적인 생활이 어렵고, 가족들로부터 지속적으로 돌봄을 받기 어려운 노인들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요양서비스와 주거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시설들이 운영되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차배근, 사회과학연구방법, 전정판, 세영사, 서울, 1991 

  2. 김태혁, 치유(therapy)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욕실 공간 연구 : 자연 이미지 디자인 연출이 놔파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경성대 석사논문, 2010 

  3. 권순정, 노인전문요양시설 건축모델연구 : 디자인 가이드라인, 의료.복지 건축 제12권 제1호, 2006.6 

  4. 김선경, 노인복지관의 실내 환경 지원성 평가와 이용자의 시설 만족도, 한국주거학회, 제21권 제2호, 2010.4 

  5. 김정곤, 노인시설의 커뮤니티 증진을 위한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23권 제2호, 2014.4 

  6. 김태민, 노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요양시설 친환경 설계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0권 제6호, 2011.12 

  7. 김현태, 노인전문요양시설 욕실의 이용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제6권 제2호, 2004.5 

  8. 김혜신, 자택에서의 노후생활을 위한 노인거주자와 노인동거가족의 욕실디자인 요구에 대한 비교 연구, 대한건축학회, 제29권 제10호, 2013.10 

  9. 김흥기, 고령화에 따른 중소규모 노인요양원의 건축환경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제17권 제1호, 2015.2 

  10. 문창배, 노인전문요양시설의 건축계획기준에 대한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9권 제2호, 2003.2 

  11. 성윤정, 치유환경을 위한 지원적 디자인의 개념, 특성 및 가이드라인 제안, 디자인학연구, 제26권 제1호, 2013 

  12. 손지혜, 국내 의료시설 기본설계 과정에서 나타나는 치유환경개념의 반영 특성에 관한 연구, - 2000년 이후 의료시설 설계 경기 당선작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제28권 제7호, 2012.7 

  13. 신경림, 지역사회 여성 노인의 낙상실태 및 관련 주거환경 요인 탐색, 대한여성건강학회, 제12권 제1호, 2011.12 

  14. 이승헌, 노인공동주거에 있어 '치유(therapy)디자인' 개념의 적용에 관한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3권 제2호, 2013.4 

  15. 이연숙, 국내 노인요양시설 디자인에 대한 요양보호사의 평가 및 요구, 대한건축학회, 제27권 제12호, 2011.12 

  16. 이완건, 노인요양시설의 건축현황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9권 제3호, 2010.6 

  17. 임채숙(2011), 한국형 노인복지시설을 계획하기 위한 유니버설 공간.환경 디자인 지침 제안, 한국디자인학회, 제24권 제4호, 2011.11 

  18. 장재혁, 노인장기요양보험 추진현황과 발전방향, 보건복지포럼, 제142호, 2008.8 

  19. 정희다, 도심실버타운의 치유환경적 건축설계에 대한 연구, 한양고령사회논집 제3권 제1호, 2012.6 

  20. 한혜경,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수준과 영향요인, 한국 노년학회, 제29권 제3호, 2009 

  21. 황원경, 한국 노인주택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노년학회, 제20권 제3호, 2000 

  22. 황연숙, 여성전문병원 병동부의 치유환경요소 평가에 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5권 제5호, 2006.10 

  23. Murtha, Dimensions of User Benefit,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ure, Washinton. D.C., 1976 

  24. Alan Dilani, Psychosocially Supportive Design-As a Theory and Model to Promote Health, The International Academy for Design and Health, 2005 

  25. Andrew Pleasant, Literature review: Environmental design and research on the human health effects of open spaces in urban areas, Human Ecology Review, 제20권 제1호, 2013 

  26. Clare Cooper Marcus, Healing Gardens in Hospitals, Interdisciplinary Design and Research e-Journal 제1권 제2 호, Design and Health, 2007.1 

  27. David E Jacobs, Health and housing outcomes from green renovation of low-income housing in Washington, DC,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제76권 제7호, 2014.3 

  28. Jain Malkin, The Business Case for Creating a Healing Environment, Business Briefing: Hospital Engineering and Facilities Management, 2003.1 

  29. Roger S. Ulrich, Effects of interior design on wellness: Theory and recent scientific research, Journal of health care interior design 제35권 제5호, 1991.2 

  30. Roger S. Ulrich, Effects of Healthcare Environmental Design on Medical Outcomes, The International Academy for Design and Health, 2001 

  31. Terri Zborowsky, People, Place, and Process: The Role of Place in Creating Optimal Healing Environments, Creative Nursing, 제15권 제4호, 2009 

  32. 보건복지부, 요양병원 시설기준 세부 안내 

  33. 통계청. 2015 고령자통계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