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실험을 통한 축산시설로부터 배출되는 축산악취의 확산 평가
Evaluation of Odor Dispersion from Livestock Building through Field Experiment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61 no.6, 2019년, pp.21 - 30  

여욱현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인복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Institute of Green Bio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하태환 (Animal Environment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데카노 크리스티나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락우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상연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준규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최영배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박유미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vestock odor is comprised of mixed type of odorous compounds. Among these, ammonia ($NH_3$) and hydrogen sulfide ($H_2S$) are the two known major odor causing substances. Because high odor concentration reduces productivity of livestock and causes damage to the surrounding co...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상지역을 선정함에 있어서 주변농가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축산냄새의 간섭을 배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풍하측 방향으로 현장실험이 용이한 곳을 선정하고자하였다. 이러한 기준에 부합하는 시설로서 충청북도 보은군 소재의 양돈장을 선정하였으며 양돈장을 기준으로 동서 방향에는 산이 위치하고 남북 방향에는 대추 재배를 위한 비가림 시설이 위치하고 있다 (Fig.
  • 실험돈사에서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NH3 가부지경계선에서 돈사 내부 평균 농도와 비교하여 91% 낮은 농도가 측정되었고 부지경계선 이상의 이격거리에 대해서는 농도가 측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장실험을 통하여 돈사 외부로 배출되는 NH3 의 확산 경향을 반복 실험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2차 현장실험 (2018년 8월 8일)부터는 NH3 농도와 더불어 복합악취시료를 포집하고 공기희석관능법을 통하여 복합악취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돈사 내부 환경과 기상조건을 고려한 실험돈사 주변으로의 악취 확산에 대한 평가 및 NH3 와 복합악취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NH3는 복합가스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복합악취는 현장에서 악취공기 시료를 포집하여 관능시험법 절차를 따라 정량적 평가되었다.
  • 개별 오염물질은 낮은 농도로 분포하지만 전체 혼합물은 강한 악취를 유발하게 된다. 복합악취는 배출 허용기준을 판단할 때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대상시설 및 주변에서 발생하는 복합악취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Jang et al.
  • (2008)은 축산악취의 경우에는 발생원과 영향범위가 산업악취와 비교 하여 발생원의 영향 범위가 넓지 않기 때문에 적정높이까지의 대기안정도 분포와 확산성을 고려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 라고 언급하였고, 기온의 연직 분포를 직접 측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또한 기온의 연직 분포를 현장실험 에서 직접 측정하기 위하여 풍선에 헬륨가스로 채운 뒤 대기 중으로 상승하게 하였다. 이 때, 풍선은 대상시설 주변으로 최대한 장애물이 없는 지면에 고정하였으며 줄에는 일정 높이 간격으로 소형 온⋅습도센서를 이용하여 5.
  • 본 연구에서는 돈사 내부 환경과 기상조건을 고려한 실험 돈사 내부 및 부지 경계 및 인근지역에서의 악취 확산을 평가하고 NH 3 와 복합악취에 대한 관계를 파악하였다. 그러나 현장실험 여건을 고려하였을 때 풍향에 따른 확산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함에 한계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축산악취란 무엇인가? 축산악취는 두 가지 이상의 악취물질이 복합적으로 존재하며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로서 축산냄새, 복합악취 등으로 일컫는다. 사육시설 및 분뇨, 퇴⋅액비화 과정에서 악취가 주로 발생하며, 주된 발생원은 분뇨로 구분된다.
축산악취가 발생하는 이유는? 축산악취는 두 가지 이상의 악취물질이 복합적으로 존재하며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로서 축산냄새, 복합악취 등으로 일컫는다. 사육시설 및 분뇨, 퇴⋅액비화 과정에서 악취가 주로 발생하며, 주된 발생원은 분뇨로 구분된다. 축산업의 발전과 함께 가축 사육두수가 증가하여 필연적으로 가축분뇨의 발생량이 증가하였다.
축산악취로 인한 지역 민원 현황은? 축산업의 발전과 함께 가축 사육두수가 증가하여 필연적으로 가축분뇨의 발생량이 증가하였다. 이로 인하여 2017년 전체 악취관련 민원 중에서 축산악취 관련 민원은 26.7%으로 축산악취로 인한 지역주민의 민원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ME, 2019). 2016년 기준 177,393 m3 ⋅day-1의 가축분뇨가 국내에서 발생하였으며, 이 중에서 약 5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oi, E. S., J. H. Kim, I. Choi, H. M. Ahn, J. I. Dong, and H. O. Kim, 2015. Microbial additives in controlling odors from stored swine slurry. Journal of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226(104): 1-13. doi:10.1007/s11270-015-2357-y. 

  2. Golder, D., 1972. Relations among stability parameters in the surface layer. Boundary-Layer Meteorology 3(1): 47-58. doi:10.1007/BF00769106. 

  3. Ha, D. M., and D. H. Kim, 2019. Effect of the liquid manure circulation system o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swine farm.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28(1): 137-145 (in Korean). 

  4. Ha, D. M., and D. H. Kim, 2015. The effect of liquid manure circulation system on the odor reduction of swine farm.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49(4): 57-64. doi:10.5322/JESI.2019.28.1.137 (in Korean). 

  5. Han, J. S., and S. J. Park, 2012.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odor intensity and the concentration of sulfur compounds, $NH_3$ , and TM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11(4): 87-93. doi:10.11161/jkosore.2013.12.1.8 (in Korean). 

  6. Hartung, E., T. Jungbluth, and W. Bascher, 2001. Reduction of ammonia and odor emissions from a piggery with biofilters. Transactions of the ASAE 44(1): 113-118. doi:10.13031/2013.2302. 

  7. Hayes, E. T., T. P. Curran, and V. A. Dodd, 2006. Odour and ammonia emissions from intensive pig units in Ireland. Bioresource Technology 97(7): 940-948. doi:10.1016/j.biortech.2005.04.023. 

  8. Hong, S. W., I. B. Lee, H. S. Hwang, I. H. Seo, H. J. Kwon, J. P. Bitog, J. I. Yoo, K. S. Kwon, T. H. Ha, and Y. H. Kim, 2008. Field experiment for developing and atmospheric diffusion model of a livestock od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77-88. doi:10.5389/KSAE.2008.50.4.077 (in Korean). 

  9. Jang, Y. K., B. J. Jung, J. Kim, K. B. Song, H. J. Kim, and Y. H. Yoo, 2010. Assessment of odor characterization and odor unit from livestock facilities by anima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9(1): 29-38 (in Korean). 

  10. Jeong, C. H., M. J. Park, and D. W. Jeong, 2019. Reduction of odor from swine manure using soil micro organisms on liquid manure circulation system. Journal of Water Treatment 27(2): 97-106 (in Korean). 

  11. Kim, D. H., I. B. Lee, D. Y. Choi, J. I. Song, J. H. Jeon, and D. M. Ha, 2013. A survey on current state of odor emission and control from livestock operations. Journal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19(2): 123-132. doi:10.11109/JAES.2013.19.2.123 (in Korean). 

  12. Kim, K. Y., H. J. Ko, and H. T. Kim, 2012. Comparison of seasonal concentration of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in swine house according to pig's growth stage.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46(2): 163-168 (in Korean). 

  13. Lee, C. B., and Y. G. Kim, 1990. Evaluation of pasquill stability class with monin-obukhov length and estimation scheme of stability parame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6(2): 168-175 (in Korean). 

  14. Lim, T. T., Y. J, J. Q. Ni, and A. J. Heber, 2012. Field evaluation of biofilters in reducing aerial pollutant emissions from a commercial pig finishing building.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112: 192-201. doi:10.1016/j.biosystemseng.2012.04.001. 

  15. McCrory, D. F., and P. J. Hobbs, 2001. Additives to reduce ammonia and odor emissions from livestock wastes.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30(2), 345-355. doi:10.2134/jeq2001.302345x. 

  16. Melse, R. W., and J. M. G Hol, 2017. Biofiltration of exhaust air from animal houses: Evaluation of removal efficiencies and practical experiences with biobeds at three field sites.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159: 59-69. doi:10.1016/j.biosystemseng.2017.04.007.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A Study on Improvement of Odor Measurement Method Using Olfactory Odor Method in the Field, 1-3. Sejong, Korea. 

  18. Ministry of Environment, 2019. Odor complaints, Http:://stat.me.go.kr. Accessed 29 July. 2019. 

  19. Ogink, N. W. M., and P. W. G. Groot Koerkamp, 2001. Comparison of odour emissions from animal housing systems with low ammonia emission.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4(9): 245-252. doi:10.2166/wst.2001.0551. 

  20. Pasquill, F., 1961. The estimation of the dispersion of windborne material. Meteorological Magazine 90: 33-49. 

  21. Seinfeld, J. H., 1986.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of air pollution, Wiley. doi:10.1029/EO068i046p01595-02. 

  22. Sun, G., H. Guo, J. Peterson, B. Predicala, and C. Lague, 2008. Diurnal odor, ammonia, hydrogen sulfide, and carbon dioxide emission profiles of confined swine grower/finisher rooms. Journal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58(11): 1434-1448. doi:10.3155/1047-3289.58. 11.1434. 

  23. Sung, H. G., S. B. Cho, S. S. Lee, Y. J. Choi, and S. S. Lee, 2017. Study on korean commercial additives and agents for reducing odor of manure in animal farm.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51(3): 95-104 (in Korean). 

  24. Xu, W., K. Zheng, X. Liu, L. Meng, R. M. Huaitalla, J. Shen, E. Hartung, E. Gallmann, M. Roelcke, and F. Zhang, 2014. Atmospheric $NH_3$ dynamics at a typical pig farm in China and their implications. Atmospheric Pollution Research 5(3): 455-463. doi:10.5094/APR.2014.053. 

  25. Yoo, J. H., J. S. Suh, and E. Y. Lee, 2010. Study on the reduction of malodor produced from pig excreata using microbial agent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9(4): 203-207 (in Korean). 

  26. Zhao, Y., A. J. A. Aarnink, M. C. M. De Jong, N. W. M. Ogink, and P. G. Koerkamp, 2011. Effectiveness of multi-stage scrubbers in reducing emissions of air pollutants from pig houses. Transactions of the ASABE 54(1): 285-2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