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단 오르기 시 발뒤꿈치 접지 방법이 정상인의 복부 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단면 예비연구
Effects of Heel Contact Methods of Stair Ascent on Abdominal Muscle Activation in Healthy Subjects: A Cross-Sectional Pilot Study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2 no.1, 2017년, pp.1 - 8  

강정현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재활과학전공, 늘찬병원 물리치료센터) ,  김창용 (고려대학교 보건과학연구소 생체역학 및 운동재활연구실) ,  김재환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재활과학전공, 늘찬병원 물리치료센터) ,  김형동 (고려대학교 보건과학과 보건환경융합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hanges of abdominal muscles activation according to the heel contact methods of stair ascent in healthy young adults. METHODS: 33 healthy young subjects (mean age: $26.37{\pm}9.72$ years, age range: 20-32 years) volunteered under two condition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계단 오르기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발뒤꿈치의 접지 방법에 따른 복부 근육의 활성도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발뒤꿈치를 모두 접지하고 계단 오르기 과제를 수행한 방법과 발뒤꿈치를 접지하지 않고 전족과 중족(metatarsus)을 이용하여 계단 오르기 과제를 수행하였을 때 표면 근전도(surface electromyography) 장비를 사용하여 복부 근육의 활성도 차이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이를 위하여 발뒤꿈치를 모두 접지하고 계단 오르기 과제를 수행한 방법과 발뒤꿈치를 접지하지 않고 전족과 중족(metatarsus)을 이용하여 계단 오르기 과제를 수행하였을 때 표면 근전도(surface electromyography) 장비를 사용하여 복부 근육의 활성도 차이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계단 오르기 동안 발뒤꿈치를 모두 접지하였을 때 복부 심부 근육의 활성도는 더 증가되고 표면근육의 활성도는 더 감소될 것이다라고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계단 보행 훈련의 이점은 무엇인가? 계단 보행 훈련은 수평보행 훈련과 더불어 일상생활에서 흔히 이루어지는 기능적 활동으로 쉽고 저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유산소 운동을 통한 심혈관계의 건강 증진(Meyer 등, 2009), 골밀도 증가, 그리고 균형 능력 향상을 통한 낙상 예방(Borschmann 등, 2012) 등 다양한 이점이 있다. 특히, 계단 오르기(stair ascent) 과제 동안 하지의 신전근들(extensor)은 신체를 수직 및 전방으로 가속(acceleration)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생체역학적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체간 및 하지의 근력 훈련에 적합하다(Riener 등, 2002; Yoon 등, 2009).
척추의 중심 안정화를 위한 근육 중 표면근육은 무엇이 포함되는가? 척추의 중심 안정화를 위한 근육들은 크게 두 가지 그룹으로 나뉘는데, 부착 부위에 따라 척추에 가깝게 부착되어 있는 심부근육(deep muscle)과 비교적 척추와 멀게 부착되어 흉부와 골반 사이에 위치하는 표면근육(superficial muscle)이 있다. 심부근육은 척추 분절의 안정화에 기여하는 복횡근(transverse abdominis), 내복사근(internal oblique), 다열근(multifidus) 등이 포함되고, 표면근육은 인체 움직임의 큰 움직임을 담당하며 외복사근(external oblique), 복직근(rectus abdominis), 장늑근(iliocostalis)등이 포함된다. 동시수축의 증가와 같은 특성은 심부근육과 표면근육의 부적절한 조절을 암시하고(Radebold 등, 2000), 요추 분절에 가해지는 압박 부하를 증가시킨다(Gardner-morse와 Stokes, 1998).
심부근육에는 무엇이 포함되는가? 척추의 중심 안정화를 위한 근육들은 크게 두 가지 그룹으로 나뉘는데, 부착 부위에 따라 척추에 가깝게 부착되어 있는 심부근육(deep muscle)과 비교적 척추와 멀게 부착되어 흉부와 골반 사이에 위치하는 표면근육(superficial muscle)이 있다. 심부근육은 척추 분절의 안정화에 기여하는 복횡근(transverse abdominis), 내복사근(internal oblique), 다열근(multifidus) 등이 포함되고, 표면근육은 인체 움직임의 큰 움직임을 담당하며 외복사근(external oblique), 복직근(rectus abdominis), 장늑근(iliocostalis)등이 포함된다. 동시수축의 증가와 같은 특성은 심부근육과 표면근육의 부적절한 조절을 암시하고(Radebold 등, 2000), 요추 분절에 가해지는 압박 부하를 증가시킨다(Gardner-morse와 Stokes,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orschmann K, Pang MY, Bernhart J, et al. Stepping towards prevention of bone loss after stroke: a systemic review of the skeletal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after stroke. Int J Stroke. 2012;7(4):330-5. 

  2. Choi SA, Cynn HS, Yi CH, et al. Isometric hip abduction using a Thera-Band alters gluteus maximus muscle activity and the anterior pelvic tilt angle during bridging exercise. J Electromyogr Kinesiol. 2015; 25(2):310-5. 

  3. Cholewicki J, McGill SM. Mechanical stability of the in vivo lumbar spine: implications for injury and chronic low back pain. ClinBiomech. 1996;11(1):1-15. 

  4. Crisco JJ, Panjabi MM. The intersegmental and multisegmental muscles of the lumbar spine. A biomechnical model comparing lateral stabilizing potential. Spine. 1991; 16(7):793-9. 

  5. Faul F, Erdfelder E, Lang AG, et al.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 Res Methods. 2007;39(2):175-91. 

  6. Feldwieser FM, Sheeran L, Meana-Esteban A, et al.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trunk-muscle activity during stable, unstable and unilateral bridging exercises in healthy individuals. Eur Spine. 2012; 21(2):171-86. 

  7. Gardner-Morse MG, Stokes IA. The effects of abdominal muscle coactivation on lumbar spine stability. Spine. 1998;23(1):86-92. 

  8. Gardner-Morse M, Stokes IA, Laible JP. Role of muscles in lumbar spine stability in maximum extension efforts. J Orthop Res. 1995;13(5):802-8. 

  9. Hides JA, Richardson CA, Jull GA. Multifidus muscle recovery is not automatic resolution of acute, first-episode low back pain. Spine. 1996;21(23):2763-9. 

  10. Juker D, McGill S, Kropf P, et al. Quantitative intramuscular myoelecric activity of lumbar portions of psoas and the abdominal wall during a wide variety of tasks. Med Sci Sports Exerc. 1998;30(2):301-10. 

  11. Kim H, Kim CY, Kang JH, et al. Influence of the supplementary Ki-hap technique and verbal encouragement on abdominal muscle activation during crunch exercise in healthy subjects: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Korean Soc Phys Med. 2016;11(2):53-62. 

  12. Lee AY, Kim EH, Cho YW, et al. Effects of abdominal hollowing during stair climbing on the activations of local trunk stabilizing muscles: a cross-sectional study. Ann Rehabil Med. 2013;37(6):804-13. 

  13. Lee JK, Desmoulin GT, Khan AH, et al. Comparison of 3D spinal motion during stair-climbing betwee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low back pain. Gait Posture. 2011;34(2):222-6. 

  14. Meyer P, Kayser B, Mach F. Stair use for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Eur J Cardiovasc Prev Rehabil. 2009;16(2):17-8. 

  15. Ng JK, Richardson CA, Parnianpour M, et al. EMG activity of trunk muscles and torque during isometric axial rotation exertion: a comparison between back pain patients and matched controls. J Orthop Res. 2002; 20(1):112-21. 

  16. Page P, Frank CC, Lardner R. Assessment and treatment of muscle imbalance: the Janda approach. USA. Human Kinetics. 2010. 

  17. Radebold A, Cholewicki J, Panjabi MM, et al. Muscle response pattern to sudden trunk loading in healthy individuals and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Spine. 2000;25(8):947-54. 

  18. Rao S, Carter S. Regional plantar pressure during walking, stair ascent and descent. Gait Posture. 2012;36(2): 265-70. 

  19. Richardson C, Hodges PW, Hides J. Therapeutic exercise for lumbopelvic stabilization: a motor control approach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low back pain (2nd ed). London. Churchill Livingstone. 2004. 

  20. Richter P, Hebgen E. Trigger points and muscle chains in osteopathy (2nd ed). Germany. Thieme. 2007. 

  21. Riener R, Rabuffetti M, Frigo C. Stair ascent and descent at different inclinations. Gait Posture. 2002;15(1): 32-44. 

  22. Smeets RJ, Hijdra JM, Kester AM, et al. The usability of six physical performance tasks in a rehabilitation population with chronic low back pain. ClinRehabil. 2006;20(11):989-97. 

  23. Stokes IA, Henry SM, Single RM. Surface EMG electrodes do not accurately record from lumbar multifidus muscles. ClinBiomech (Bristol, Avon). 2003;18(1): 9-13. 

  24. Yoon JY, An DH, Yoo WG. Differences in activities of the lower extremity muscles with and without heel contact during stair ascent by young women wearing high-heeled shoes. J Orthop Sci. 2009;14(4):418-22. 

  25. Youn HJ, Kim JS. The effect of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and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 i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low back pain. J Korean Soc Phys Med. 2016;11(1):56-6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