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문헌 기록에 나타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지질자원 조사활동 연구
Study on Survey Activities for Geology and Mineral Resources i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Based on the Records of Ancient Literatures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0 no.1, 2017년, pp.45 - 59  

원병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글로벌협력부) ,  이성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글로벌협력부) ,  김성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미래정책부)

초록

이 연구에서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역사서 중 객관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는"고려사"와 "조선왕조실록"을 이용하여 지질자원과 관련된 역사 기록들을 발췌하고 당시의 국가적인 인식과 사회 상황을 파악하였다. 기록 발췌를 위해서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시스템을 이용하였고 키워드(화산, 채광, 온천, 운석) 검색을 통해 관련 기록들을 수집하였다. 기록에 의하면, 화산과 운석과 같은 지질 현상을 실록에 기록할 만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국가의 관리들이 현장에 파견되어 현상을 조사하였다. 온천의 경우, 왕의 명령으로 온천 탐사를 진행하고 발견된 유망한 지역을 개발하는 현장에 관한 기록이 있다. 지질자원에 관련된 기록 중 채광에 관련한 기록이 가장 많은데, 발견된 광물의 종류와 지역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특히, 조선 후기의 채광 역사를 통해서 지질자원 개발의 자본주의적인 흐름과 개발을 위한 근대적인 조직 개설 등의 지질자원 발달사를 파악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research, we have extracted historical records regarding the geotechnology from the Goryeosa and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hich are rated as ancient books that have objective views in the Goryeo Dynasty and the Joseon Dynas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ional awareness and the so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지진을 제외한 주요 지질자원 분야의 과거 기록을 발췌하고 이런 내용으로 인한 현상이 발생될 당시의 지질자원 분야에 대한 국가적인 인식 및 사회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그리고 발췌된 기록들은 다양한 세부 분야 중 기존 기록 연구에서 추가로 발췌가 가능했던 화산 분화에 관한 기록과 그동안 기록 발췌가 드물었던 채광, 온천, 운석에 관한 기록 부분으로 나눠 정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고서적은? 고려시대는 918년 왕건에 의해 건국되었고 34대 공양왕까지 475년간 존속했다.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고서적은 『고려사』로서 1449년(세종 31년)에 집필을 시작하여 1451년(문종 1년)에 완성되었다. 그 당시 정치· 경제 · 사회 · 문화 등을 객관적으로 서술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남겨진 기록에는 지질자원에 관한 사건들도 포함하고 있다.
고려시대의 존속 시기는? 고려시대는 918년 왕건에 의해 건국되었고 34대 공양왕까지 475년간 존속했다.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고서적은 『고려사』로서 1449년(세종 31년)에 집필을 시작하여 1451년(문종 1년)에 완성되었다.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고서적인 고려사의 특징은?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고서적은 『고려사』로서 1449년(세종 31년)에 집필을 시작하여 1451년(문종 1년)에 완성되었다. 그 당시 정치· 경제 · 사회 · 문화 등을 객관적으로 서술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남겨진 기록에는 지질자원에 관한 사건들도 포함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n, U.S. (2016) Study of the last volcanic activity on historical records on Jeju Island, Korea,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5, n.1, p.69-83. 

  2. Chon, B.M. (1992) The 'Eun-So' and the circulation of Silver,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 v.78, p.69-106. 

  3. Gottsche, C.C. (1884) Auffindung cambrischer schichten in Korea, zeit. d. deutsche geologische gesellschaft, v.36, p.875-876. 

  4. Gottsche, C.C. (1886) Geologische skizze von Korea, sitzungsberichte der koniglich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zu Berlin (1986.07.15.), v.36, p.857-873. 

  5. Han, K.S. (2012) The history of hot springs and bathing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v.27, n.5, p.565-586. 

  6. Holland, T.H. (1891) Notes on rock-specimens collected by W. Gowland, Esquire, Associate of the R.S.O.M. (Royal School of Mines), F.I.C.(Fellow of the Institute of Chemistry), F.C.S.(Fellow of the Chemical Society) in Korea, Quarterly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v.47, p.171-196. 

  7. Kim, S.Y. and Lee, J.W. (2015) A study on advanced geoscientific research activities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by foreign geologists prior to 1945, Journal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8, p.77-88. 

  8. Kim, S.Y., Lee, J.W. and Park, J.K. (2015) Performance review of the geological research in Korean peninsula by japanese geologist Tateiwa Iwao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Journal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8, n.5, p.401-408. 

  9.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2) Historical earthquake records in Kore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p.18-276. 

  10. KMIA (Korea Mining Industry Association) (2012) 100 years of the Korean mining, Korea Mining Industry Association, p.28-33. 

  11. Lee, K.H. (1998) Historical earthquake data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v.1, n.1, p.3-22. 

  12. Miyamoto, T., Kanno, H., Okuno, M., Nasu, H., and Makohonienko, (2010) Reconstruction of volcanic activities occurring in Baitoushan volcano after 10th century huge eruption. Earth Science of Baitoushan Volcano and its Adjacent Area (Edited by Hiromitsu Taniguchi) Center of Northeast Asian Studies (CNEAS) Tohoku University, Monograph Series, v.41, p.123-141 (in Japanese). 

  13. NIKH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05) Goryeosa (URL: http://db.history.go.kr/). 

  14. NIKH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05) Goryeosajeoryo (URL: http://db.history.go.kr/). 

  15. NIKH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05)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URL: http://db.history.go.kr/). 

  16. Pak, K. and Rim, K.M. (2010) On the volcanic eruption of Paektu volcano in the historic record. Earth Science of Baitoushan Volcano and its Adjacent Area (Edited by Hiromitsu Taniguchi), Center of Northeast Asian Studies (CNEAS), Tohoku University, Monograph Series, v.41, p.113-122. 

  17. Song, S.T. (2004) A study on the geomorphology and the geology in Biyangdo,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v.6, n.1, p.263-271. 

  18. Tateiwa, I. (1976) Initial research history related to geology of korean peninsula(translated by Yangm S.-Y.(1996)), p.657. 

  19. Yun, S.H. (2013) Volcanological interpretation of historical eruptions of Mt. Baekdusan volcano,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4, n.6, p.456-469. 

  20. Yun, S.H. and Cui, Z.X. (1996) Historical eruption records on the Cheonji caldera volcano in the Mt Paektu,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17, n.5, p.376-382. 

  21. Yun, S.H. and Koh, J.S. (2014) Pe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olcanic rocks of historic era at Mt. Baekdusa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50 n.6, p.753-769. 

  22. Yun, S.H. and Lee, J. H. (2011) Volcanological interpretation of historic record of 1702 fallout-ash from the Mt. Baegdusan,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0, n.4, p.243-250. 

  23. Yu, S.J. (1979) Gold and silver mining industries in the early Yi Dynasty,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 v.27, p.91-145. 

  24. Yu, S.J. (1982) A Study on the MulJu Je of the Gold, Silver and Copper Mining in the late Yi Dynasty,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 v.36, p.105-146. 

  25. Yu, S.J (1989) The impact of trade with the Ming on domestic industry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focusing on tributes to the Ming and domestic mining industry, 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v.32, n.2, p.29-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