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양도성 석재공급지 추정을 위한 고문헌 분석 및 암석학적 데이터베이스 구축
Analysis of Ancient Document and Establishment of Petrological Database for Presumption of Stone Source Area of the Seoul City Wall, Korea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4 no.3, 2015년, pp.193 - 207  

조영훈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한양도성 석재공급지 추정을 위해 고문헌을 분석하고 산지탐색 지점에 대한 광역조사를 수행하여 암석학적 기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고문헌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성돌은 조선 초기에 주로 도성과 인접한 석산에서 조달된 반면 후기로 갈수록 도성 외부의 고정 채석장으로부터 공급되었다. 따라서 고문헌에 기록된 채석 산지를 중심으로 암석학적 조사를 수행한 결과, 산지탐색 전역에 걸쳐 담홍색화강암과 우백질화강암이 분포하였으며, 이들 화강암류는 광물조성 및 지구화학적 거동특성이 거의 유사하였다. 그러나 담홍색화강암은 남산 북사면에서 불암산의 북동방향으로 갈수록 대자율 값이 증가하는 자철석 계열을 보였으며, 우백질화강암은 용마산을 시작으로 남산과 인왕산 등의 편마암 경계부에 주로 나타나고 티탄철석계열의 낮은 대자율 특성을 가졌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할 때, 한양도성 석재공급지 추정을 위한 중요한 암석학적 지시자는 색상과 대자율로 판단된다. 이와 함께 채석장의 석재 양, 운반거리 및 기술력 등을 고려하여 원산지 해석의 신뢰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ancient documents and established petrological database through extensive field investigation of provenance sites to presume stone source areas of the Seoul City Wall. By summarizing the ancient documents, the rampart stone was mostly supplied from a stony mountain adjacent to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산지탐색 범위에 있어 조선 후기에서 말기의 성돌 공급지로 가장 중요한 노원 일대를 고려하지 않아 시대적 산지 변화를 반영하는데 무리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한양도성의 초축부터 수백 번의 개축 과정에 사용된 축성암석의 공급지 변화를 추적하기 위해 기록의 나라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다양한 고문헌을 검색하여 성돌 관련 산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추정산지 지점에 대한 광역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도성 일대 서울화강암체의 암석학적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과학적 기초자료를 확보하였다.
  • 특히 화성암의 화학조성은 기원 마그마의 성질 및 암석의 생성과정을 반영하므로 원산지를 규명하는데 매우 중요한 성분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양도성 산지탐색 지점들의 동질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주성분, 미량 및 희토류 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2). 이 결과, 담홍색 및 우백질화강암은 대부분 SiO2(72.
  • 이 연구에서는 한양도성의 석재공급지 추정을 위한 암석학적 기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고문헌, 지질도, 지형도 및 영상지도를 토대로 지정학적 가능성이 높은 66 지점에 대해 야외 정밀조사와 과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산지 관련 고문헌 분석 결과, 한양도성은 태조 5년(1396)부터 숙종 8년(1682) 이전까지 도성 5리 내외에 분포하는 석산을 사용하였고, 이후 숙종 30년(1704)까지 홍제원(서쪽)과 약 30리 밖에 있는 노원(동쪽)까지 원거리 채석이 가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울 한양도성의 초축 및 보수는 언제 이루어졌는가? 서울 한양도성(사적 제10호)은 태조 이성계가 한양 천도를 단행한 후 수도를 지키기 위해 쌓은 조선시대의 대표적 성곽이다. 이 성곽은 북악산을 주산으로 낙산, 남산, 인왕산의 자연지형을 그대로 이용하여 약 18 km에 걸쳐 조성되었으며, 태조 때 초축된 이후 세종, 숙종 및 순조 연간 등에 수축 및 보수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와 서울의 산업화를 거치면서 산악 지역을 제외한 도심부 성곽은 상당 부분 훼철되었다.
남산 화강암의 특징은 무엇인가? 산지탐색 지점을 대표하는 시료를 선택하여 광물학적 특성을 밝히고자 편광현미경 관찰을 실시하였다. 먼저 남산 화강암은 퍼사이트화가 진행된 알칼리장석이 두드러지고, 봉합상 조직의 석영과 취편쌍정의 사장석이 관찰되며, 갈색 간섭색의 흑운모 함량은 높지않다(Fig. 6a).
서울 한양도성을 쌓은 이유는 무엇인가? 서울 한양도성(사적 제10호)은 태조 이성계가 한양 천도를 단행한 후 수도를 지키기 위해 쌓은 조선시대의 대표적 성곽이다. 이 성곽은 북악산을 주산으로 낙산, 남산, 인왕산의 자연지형을 그대로 이용하여 약 18 km에 걸쳐 조성되었으며, 태조 때 초축된 이후 세종, 숙종 및 순조 연간 등에 수축 및 보수가 이루어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apedri, S. and Venturelli, G., 2003, Trachytes employed for funerary artefacts in the Roman Colonies Regium Lepidi (Reggio Emilia) and Mutina (Modena) (Italy): provenance inferred by petrographic and chemical parameters and by magnetic susceptibility.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4, 319-328. 

  2. Cheong, S.W. and Chung, S.Y., 2002, Properties of discontinuity for the Seoul granite in the northeastern part of Seoul city.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12, 2, 167-178. 

  3. Columbu, S., Antonelli, F., Lezzerini, M., Miriello, D., Adembri, B. and Blanco, A., 2014, Provenance of marbles used in the Heliocaminus Baths of Hadrian's Villa (Tivoli, Italy).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49, 332-342. 

  4. Hong, S.H., Lee, B.J. and Hwang, S.K., 1982,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Korea (1:50,000), Seoul Sheet.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1-44. 

  5. Jo, Y.H., Lee, C.H. and Shim, H.Y., 2013, Reconsideration and conservational scientific diagnosis of Silla stone monument in Bongpyeong-ri, Uljin.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6, 3, 48-67. 

  6. Jo, Y.H., Lee, C.H., Yoo, J.H., Kang, M.K. and Kim, D.M., 2012, Petrological classification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the Sungnyemun stone block foundation, Korea.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5, 3, 174-193. 

  7. Jo, Y.H., Lee, M.S., Choi, G.E. and Lee, C.H., 2011, Precise deterioration diagnosis and restoration stone suggestion of Jungdong and Banjukdong stone aquariums in Gongju, Korea.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4, 3, 92-111. 

  8. Kim, O.J., Lee, D.S. and Jeong, B.I., 1984, The petrological and geomechanical studies of rock masses in the site area of the 3rd and 4th Seoul subway lines for an engineering classification of rock masses. Mining Geology, 17, 1, 57-78. 

  9. Kim, S.W., Hwang, G.H., Moon, S.W. and Jwa, Y.-J., 2015,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estimation on the stone artefacts from the Pocheon Neulgeori prehistoric site, Korea.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4, 1, 1-10. 

  10. Lee, C.H., Kim, M.Y., Jo, Y.H. and Lee, M.S., 2011, Conservation treatment based on material characteristics, provenance presumption and deterioration diagnosis of the seven-storied Jungwon Tappyeongri stone pagoda, Chungju, Korea.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3, 3, 4-25. 

  11. Lee, C.H., Kim, R.H. and Eo, E.I., 2014, Interdisciplinary study on bronze age artifacts in midwestern Korea: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presumption for stone artifacts of the Sinsongri site in Seosan.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0, 2, 205-217. 

  12. Moon, S.W., Kim, M.J., Kim, J.J. and Jwa, Y.-J., 2014, Petrological study and provenance estimation on the stone materials from the rampart of the Yeongsan-eupseong.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3, 4, 367-373. 

  13. Nockolds, S.R., Average chemical compositions of some igneous rock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Bulletin, 65, 1007-1032. 

  14. Park, S.-C., Moon, S.W., Kim, S.-D. and Jwa, Y.-J., 2015, A petrological study of stones used in the three storied stone pagoda of Bulguksa Temple.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4, 1, 11-24. 

  15. Pearce, J.A., 1983, Role of sub-continental lithosphere in magma genesis at active continental margines. In Hawkesworth, C.J. and Norry, M.J. (eds.), Continental basalts and mantle xenolith, Shiva, 230-249. 

  16. Taylor, S.R. and McLennan, S.M., 1985, The continental crust: Its composition and evolution. Blackwell, Oxford, 312. 

  17. Uchida, E. and Shimoda, I., 2013, Quarries and transportation routes of Angkor monument sandstone block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40, 1158-1164. 

  18. Won, C.K., Paik, K.H., Chi, J.M., Ku, M.O. and An, H.R., 1981, Geological map of Korea (1:50,000), Ddugseom Sheet.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