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literature related to nursing team effectiveness and to summarize the definition variables included, measurement tools, and findings. Basic data on operation and research for team effectiveness in nursing units was sought. Methods: A literature sear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팀 효과성을 다룬 국내외 연구논문을 탐색하고,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팀 효과성의 개념과 팀 효과성을 측정한 변수들을 고찰한 서술적 문헌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 ․ 외에서 간호사를 대상으로 팀 효과성을 조사한 논문을 검색하고 분석하여, 업무 팀으로서 간호단위의 팀 효과성 개념을 파악하고 특히 팀 효과성 모형의 결과변수에 초점을 맞추어 팀 효과성의 측정변수를 고찰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팀 효과성을 조사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팀 효과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된 변수들과 측정도구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간호단위의 팀 효과성 측정도구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간호사를 대상으로 팀 신뢰성을 측정한 국내논문과 2008년 이후 국외논문을 검색하여 총 10편의 간호사 대상 팀 효과성 논문을 분석한 결과, 국외에서 팀 효과성은 의사결정, 의사소통, 응집력, 문제해결, 환자와 보호자 중심의 치료와 간호의 개선, 간호사의 직무만족, 임파워먼트, 간호의 효과성, 팀 기능성, 역동성 등으로 측정되었으며, 국내에서 팀 효과성은 동료 만족, 팀 만족, 팀 몰입, 팀 성과로 측정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만을 대상으로 팀 효과성을 조사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팀 효과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된 변수들과 측정도구를 분석하여 간호조직에서의 팀 효과성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관련 연구에 기초를 제공하는 것이다.
  • 그러므로 향후 국내 간호조직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간호단위 팀 효과성의 개념분석 연구가 필요하며, 실제적으로 간호단위의 팀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개발 연구도 필요하다. 아울러 본 연구는 간호단위를 하나의 팀으로 정의하고 관리할 필요성을 제안하였으며, 간호단위의 팀 효과성의 개념과 측정변수들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간호단위 팀 효과성 연구의 기초를 제공하였다는 데 그 의의를 갖는다.
  • 이 리더십 훈련에서의 팀 효과는 적용 전보다 적용 후에 점수가 상승된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팀 효과를 가능성, 역동성, 효과성을 측정하였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겠다. 또한 직무만족 변수는 여러 연구에서 팀 효과성 결과에 중요 변수로 지적하고 있다[19,20,12].
  • 특히 일반기업과 달리 간호조직은 고유한 업무특성과 조직문화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간호단위의 팀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간호업무의 특성과 팀 효과성에 대한 간호사들의 인식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간호사 대상의 팀 효과성의 개념, 측정변수 및 측정도구를 살펴봄으로써, 간호단위의 팀 효과성 개념을 탐색하고, 향후 간호단위의 팀 효과성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Mathieu 등[11]은 1997년부터 2007년까지 IMO 모형을 활용한 팀 효과성 관련 연구들의 각 요인별 주요 변수들을 고찰한 결과, 최근 팀 효과성의 개념이 더욱 복합적으로 발전되었고 측정기준이 진화되었으나 팀 효과성 모형의 투입, 매개, 결과 과정에서 결과요인으로 업무수행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고 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단위의 팀 효과성을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팀 효과성 모형에서 주로 팀 효과성의 결과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측정개념과 변수를 고찰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탐색적 고찰 연구로서 최근 논의되고 있는 간호사 대상의 팀 효과성 논문을 조사하고 연구에 사용된 팀 효과성의 개념, 측정변수, 측정도구를 확인하기 위하여, BuljacSamardic 등[6]의 연구결과를 활용하고 검색 기간을 2008년 이후로 제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단위의 근무 특징은? 간호단위의 목표는 환자에게 최상의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고, 상호협력을 통하여 직접적인 간호제공과 다양한 간호지원활동, 다학제 간의 조정과 협력을 포함한 의사소통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한다[3]. 특히 간호단위는 일반적인 기업의 팀과 달리, 간호사들이 24시간 3교대 근무를 통해서 업무의 연속성을 유지하며, 인수인계를 통해서 대상자의 건강문제 사정, 간호계획 수립, 간호 제공 및 간호를 평가하는 일련의 간호과정을 공동으로 수행한다. 이와 같이 간호단위의 업무는 상호의 존적이고 간호사들의 협동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므로, 간호단위를 하나의 팀으로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
팀이란? ‘팀(team)’은 조직 내에서 자신들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하나의 사회적 실재로 여겨지는 사람들의 집합으로, 상호의존적인 과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대하여 책임을 나눈다[1]. 이 팀 중에서 업무 팀(work team)은 할당된 과업을 수행하도록 정해진 집단을 말한다[2].
간호조직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간호단위 팀 효과성 개념분석 연구가 필요하며, 실제적으로 간호단위의 팀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개발 연구도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간호 관련 팀 효과성 국내외 문헌을 분석한 결과 국외문헌은 간호사를 포함한 다양한 조직에서 다양한 조사도구를 이용하거나 리더십 프로그램이나 새로운 간호전달체계를 이용한 후 그 결과를 팀 효과성으로 파악하려는 연구들인 반면에 국내에서는 간호 관련 팀 효과성을 일반병동, 수술실, 중환자실 등에서 거의 비슷한 도구를 이용하여 팀 만족, 동료만족, 팀몰입, 팀성과 등을 팀 효과성으로 파악하려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므로 향후 국내 간호조직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간호단위 팀 효과성의 개념분석 연구가 필요하며, 실제적으로 간호단위의 팀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개발 연구도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Cohen SG, Bailey DR. What makes teams work: Group effectiveness research from the shop floor to the executive suite. Journal of Management. 1997;23(4):238-290. http://dx.doi.org/10.1177/014920639702300303 

  2. Kozlowski SWJ, Bell BS. Work groups and teams in organizations. In Borman WC, Ilgen, DR, Klimoski RJ. editors. Handbook of psychology: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London: Wiley; 2003. p. 333-375. 

  3. Jung MS, Park KO, Kim SY, Kim EK, Kim EY, Kim JK, et al. Nursing management. 2nd ed. Seoul; Hyunmoonsa; 2016. p. 1-704. 

  4. Lemieux-Charles Louise, Wendy L. McGuire. What do we know about health care team effectiveness? A review of the literature. Medical Care Research and Review. 2006;63(3):263-300. http://dx.doi.org/10.1177/1077558706287003 

  5. Heinemann GD, Zeiss AM.(Eds.) Team performance in health care: Assessment and development. Berlin: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2. p. 1-404. 

  6. Buljac-Samardzic M, Dekker-van Doorn CM, van Wijngaarden JD, van Wijk KP. Interventions to improve team effectiveness: A systematic review. Health Policy. 2010;94(3):183-195. http://dx.doi.org/10.1016/j.healthpol.2009.09.015 

  7. Hackman R. The design of work teams. Lorsch J, editor. Handbook of Organizational Behavior. New Jergy: Prentice-Hall; 1987. pp. 315-342. 

  8. Lee SM. Relationships of nurses' teamwork skills to team effectiveness in nursing units [master's thesis]. Busan: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2013. 

  9. McGrath JE. Social psychology: A brief introduction.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1964. p. 1-164. 

  10. Ilgen DR, Hollenbeck JR, Johnson M, Jundt D. Teams in organizations: From input-process-output models to IMOI model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2005;56:517-543. http://dx.doi.org/10.1146/annurev.psych.56.091103.070250 

  11. Mathieu J, Maynard MT, Rapp T, Gilson L. Team effectiveness 1997-2007: A review of recent advancements and a glimpse into the future. Journal of Management. 2008;34(3):410-476. http://dx.doi.org/10.1177/0149206308316061 

  12. Hoegl M, Gemuenden HG. Teamwork quality and the success of innovative projects: a theoretical concept and empirical evidence. Organization Science. 2001;12(4):435-449. http://dx.doi.org/10.1287/orsc.12.4.435.10635 

  13. Nieva VF, Fleishman EA, Rieck A. Team dimensions: Their identity, their measurement, and their relationships. Final Technical Report for Contract No. DAHC19-78-C-0001.Washington, DC: Advanced Research Resources Organizations; 1978. 

  14. Bommer WH, Johnson JL, Rich GA, Podsakoff PM, MacKenzie SB. On the interchangeability of objective and subjective measures of employee performance: A meta-analysis. Personnel Psychology. 1995;48(3):587-605. http://dx.doi.org/10.1111/j.1744-6570.1995.tb01772.x 

  15. Beal DJ, Cohen RR, Burke MJ, McLendon CL. Cohesion and performance in groups: A metaanalytic clarification of construct rel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003;88(6): 989-1004. http://dx.doi.org/10.1037/0021-9010.88.6.989 

  16. Kirkman BL, Rosen B, Tesluk PE, Gibson CB. The impact of team empowerment on virtual team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 of face-to-face interac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004;47(2):175-192. http://dx.doi.org/10.2307/20159571 

  17. Jehn KA, Shah PP.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ask performance: An examination of mediation processes in friendship and acquaintance grou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7;72(4):775-790. http://dx.doi.org/10.1037/0022-3514.72.4.775 

  18. Kirkman BL, Rosen B. Beyond self-management: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eam empower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1999;42(4):58-74. http://dx.doi.org/10.1037/0022-3514.72.4.775 

  19. Kirkman BL, Tesluk PE, Rosen B. The impact of demographic heterogeneity and team leader-team member demographic fit on team empowerment and effectiveness.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2004;29(3):334-368. http://dx.doi.org/10.1177/1059601103257412 

  20. Mathieu JE, Gilson LL, Ruddy TM. Empowerment and team effectiveness: An empirical test of an integrated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006;91(1):97-108. http://dx.doi.org/10.1037/0021-9010.91.1.97 

  21. Chen G, Kirkman BL, Kanfer R, Allen D, Rosen B. A multilevel study of leadership, empowerment, and performance in team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007;92(2):331-346. http://dx.doi.org/10.1037/0021-9010.92.2.331 

  22. Barrick MR, Stewart GL, Neubert JM, Mount MK. Relating member ability and personality to work team processes and team effectiven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98;83(3): 377-391. http://dx.doi.org/10.1037/0021-9010.83.3.377 

  23. Hiller NJ, Day DV, Vance RJ. Collective enactment of leadership roles and team effectiveness: a field study. Leadership Quarterly. 2006;17(4):387-397. http://dx.doi.org/10.1016/j.leaqua.2006.04.004 

  24. Van der Vegt GS, Bunderson JS. Learning and performance in multidisciplinary teams: The importance of collective team identific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005;48(3): 532-547. http://dx.doi.org/10.5465/AMJ.2005.17407918 

  25. Tesluk PE, Mathieu JE. Overcoming roadblocks to effectiveness: Incorporating management of performance barriers into models of work group effectiven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99;84(2):200-217. http://dx.doi.org/10.1037/0021-9010.84.2.200 

  26. Barrick MB, Bradley BH, Kristof-Brown AL, Colbert AE. The moderating role of top management team interdependence: Implications for real teams and working group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007;50(3):544-557. http://dx.doi.org/10.5465/AMJ.2007.25525781 

  27. Balkundi P, Harrison DA. Ties, leaders, and time in teams: Strong inference about network structure's effects on team viability and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006;49(1):49-68. http://dx.doi.org/10.5465/AMJ.2006.20785500 

  28. Lester SW, Meglino BM, Korsgaard MA.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group potency: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newly formed work group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002;45(2):352-368. http://dx.doi.org/0.2307/3069351 

  29. Stewart GL, Barrick MR. Team structure and performance: assessing the mediating role of intra team process and the moderating role of task typ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000;43(2):135-148. http://dx.doi.org/10.2307/1556372 

  30. Schofield RF, Maryann A. Interdisciplinary teams in health care and human services settings: Are they effective?. Health & Social Work. 1999;24(3):210-219. http://dx.doi.org/10.1093/hsw/24.3.210 

  31. Lemieux-Charles L, McGuire WL. What do we know about health care team effectiveness? a review of the literature. Medical Care Research and Review. 2006;63(3):263-300. https://doi.org/10.1177/1077558706287003 

  32. Weisman CS, Gordon DL, Cassard SD, Bergner M, Wong R. The effects of unit self-management on hospital nurses' work process, work satisfaction and retention. Medical Care. 1993; 31(5):381-393. http://dx.doi.org/10.1097/00005650-199305000-00001 

  33. Cassard SD, Weisman CS, Gordon, DL, Wong R. The impact of unit based self-management by nurses on patient outcomes. Health Services Research. 1994;29(4):415-433. 

  34. Ling CW. Performance of a self-directed work team in a home health care agency.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1996; 26(9):36-40. http://dx.doi.org/10.1097/00005110-199609000-00008 

  35. DiMeglio K, Padula C, Piatek C, Korber S, Barrett A, Duncharme M, et al. Group cohesion and nurse satisfaction. Examination of a team-building approach.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5;35(3):110-120. http://dx.doi.org/10.1097/00005110-200503000-00003 

  36. Gibson CB. Me and us: differential relationship among goalsetting training, efficacy and effectiveness at the individual and team level.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001;22(7):789-808. http://dx.doi.org/10.1002/job.114 

  37. Kim SH.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team effectiveness, patient's satisfaction in a team-centered hospital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4. 

  38. Hong, E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ICU team effectiveness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3. p. 1-107. 

  39. Kim KO.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nursing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ype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m effectiveness at operating rooms [master's thesis]. Seoul:Hanyang University; 2004. p. 1-104. 

  40. Cioffi J, Ferguson L. Team nursing in acute care settings: nurses' experiences. Contemporary Nurse. 2009;33(1):2-12. http://dx.doi.org/10.5172/conu.33.1.2 

  41. Wells J, Manuel M, Cunning G. Changing the model of care delivery: Nurses perceptions of job satisfaction and care effectivenes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1;19(6):777-785.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1.01292.x 

  42. Kilpatrick K. How do nurse practitioners in acute care affect perceptions of team effectivenes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3;22(17-18):2636-2647. http://dx.doi.org/10.1111/jocn.12198 

  43. La Sala R, Boninsegni K, Tani A, Rasi A, Sansovini L, Scarpelli G, et al. A cross selectional survey in a critical care: The job satisfaction and functioning team of the health professionals. Acta Bio Medica Atenei Parmensis. 2016;86(3 Suppl):183-188. 

  44. Wallis A, Kennedy K. Leadership training to improve nurse retention.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3;21(4):624-632.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2.01443.x 

  45. Kim JH, Kim J. Path diagram for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team effectiveness of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Health & Fundamental Medical Science. 2009;2(3):175-182. 

  46. Hastings C. Differences in professional practice model outcomes: The impact of practice setting. Critical Care Nursing Quarterly. 1995;18(3):75-86. http://dx.doi.org/10.1097/00002727-199511000-00011 

  47. LaFasto F, Larson C. When teams work best: 6,000 team members and leaders tell what it takes to succeed. Thousand Oaks, CA: Sage; 2001. 

  48. Mueller CW, McCloskey JC. Nurses' job satisfaction: A proposed measure. Nursing Research. 1990;39(2):113-117. 

  49. Mellin EA, Bronstein L, Anderson-Butcher D, Amorose AJ, Ball A, Green J. Measuring interprofessional team collaboration in expanded school mental health: model refinement and scale development.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2010;24(5):514-523. http://dx.doi.org/10.3109/13561821003624622 

  50. Ahn SY. Mediating effect of conflict typ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terogeneity perception with coworker in team and team effectiveness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1. p. 1-96. 

  51. Locke EA.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976;1:1297-1343. 

  52. Mowday RT, Steers RM, Porter LW.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979;14(2):224-247. http://dx.doi.org/10.1016/0001-8791(79)90072-1 

  53. Shortell SM, Zimmerman JE, Rousseau DM, Gillies RR, Wagner DP, Draper EA, et al. The performance of intensive care units: Does good management make a difference?. Medical Care. 1994;32(5):508-525. 

  54. Yun WJ. Development of scale for individual's teamwork skill and study for validity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007. p. 1-99. 

  55. Sundstrom E, De Meuse KP, Futrell D. Work teams: applications and effectiveness. American Psychologist. 1990;45(2):120. http://dx.doi.org/10.1037/0003-066X.45.2.1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